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스마일노믹스(Smilenomics)

미소가 내뿜는 ‘따뜻함과 유능함’
불확실성 해소해 구매 자극한다

여준상,정리=장재웅 | 424호 (2025년 9월 Issue 1)

미소는 상대방에게 따뜻함과 유능함을 인식하게 하는 사회적 신호로, 특히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에어비앤비 호스트의 미소는 숙소 수요를 약 3.5% 증가시키고 크라우드펀딩 제안자의 미소는 펀딩 참여율을 5% 높이는 등 실제로 경제적 효과가 있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스마일노믹스는 ‘미소’를 따뜻함·유능함을 의미하는 사회적 단서로 보고 고객의 불확실성을 줄여 전환과 신뢰를 높이는 전략이다. 최근 라부부나 치이카와와 같이 귀여운 캐릭터가 인기를 끄는 이유 역시 팍팍하고 불안한 삶 속에서 스스로 미소 짓기 힘든 사람들이 미소를 유발하는 대리물을 찾으며 자기 위안을 얻고자 하는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스마일노믹스를 통해 기업은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매출 증대를 꾀할 수 있고 개인은 자기 관리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02 Business Trend Insight

스마일노믹스
(Smilenomics)

미소와 웃음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고 이를 비즈니스 전략에 접목하는 경영 트렌드를 지칭하는 용어. 불확실성이 높은 현대사회에서 소비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신뢰를 구축하는 비정보적 단서로서 미소가 가진 영향력을 경제적 성과로 연결시키는 것이 핵심.



그동안 우리는 웃음을 단순한 표정 변화나 행동으로만 여겨왔다. 소비자 행동의 관점에서 웃음의 의미를 탐구하고 이를 경영활동의 시사점으로 연결하려는 시도는 드물었다. 하지만 웃음은 생각보다 훨씬 다양한 형태와 맥락을 지니며 그 효과 역시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다. 사회가 고도화되고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웃을 일이 줄어들고 디지털화로 온기가 사라지며 웃음에 대한 욕구는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이제 단순한 웃음 한 번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지갑을 열게 하는 시대가 왔다. 웃음을 그저 순간적인 행위로만 보지 않고 그 경제적 가치를 인식한다면 마케팅을 포함해 경영 전반에 전략적으로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웃음과 미소의 차이점

먼저 웃음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 (표 1) 웃음은 큰 웃음과 작은 웃음으로 나뉜다. 전자는 평상시 우리가 흔히 ‘웃음’이라 표현하는 것이고 영어로는 ‘laughter’에 해당된다. 소리를 내면서 크게 웃는 행위를 말한다. 후자는 ‘미소’라고 하고 영어로는 ‘smile’에 해당된다. 조용히 입꼬리를 살짝 올리는 표정을 의미한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여준상

    여준상marnia@dongguk.edu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고려대 경영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마케팅 전공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사단법인 서비스마케팅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저명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저서로 『한국형 마케팅 불변의 법칙33』 『역발상 마케팅』 등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정리=장재웅

    정리=장재웅jwoong04@donga.com

    동아일보 기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