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Journal Watch

경영 환경 불확실성 클 때는 “업계 1위” 야심 찬 목표가 유리 外

정리=배미정,정리=백상경,정리=장재웅,정리=김윤진,정리=최호진 | 424호 (2025년 9월 Issue 1)
편집자주 | 경영 각 분야별로 최근 발간된 공신력 높은 저널을 엄선해 축약하는 형식으로 저널워치를 새롭게 개편했습니다. 소개하는 논문 편수도 확대해 독자 여러분께 더욱 풍부한 지식과 통찰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Strategy

경영 환경 불확실성 클 때는
“업계 1위” 야심 찬 목표가 유리

▶ Based on “Absolute, average-based, and rank-based aspirations”(2025) by Jerker Denrell, Axel Zeijen, Manuel Romagnoli, Luigi Marengo i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ume 46, Issue 8, pp. 1930-1946.


정리= 배미정 기자 soya1116@donga.com


오늘날처럼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목표 수준은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성과를 높이는 데 유리할까? 그동안 학자들은 환경의 변동성이 클수록 위험을 줄이려면 목표 수준을 낮추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봤다. 예컨대 시장 상황이 급변할 때는 ‘매출 100억 달성’과 같은 절대적 목표를 보수적으로 잡는 것이 안정적이다. 영국 워릭대 등의 연구진도 이 점에는 동의했다. 그런데 목표를 다른 방식으로 설정하니 결론도 달라졌다. 예컨대 ‘업계 상위 10% 진입’이라는 식으로 경쟁사 대비 상대적 순위를 목표로 정하니 환경이 불확실할수록 오히려 더 높은 순위를 목표로 하는 게 성과를 높이는 데 유리했다. 환경이 불확실할수록 과감한 탐색과 혁신을 통해 순위를 역전시킬 기회가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평균 실적 이상 달성’이라는 식으로 평균 기준으로 목표를 삼는 경우 환경의 불확실성과 관계없이 항상 ‘평균 이상’으로 성과가 일정하게 유지됐다. 주변 상황이 어떻든 평균을 기준으로 삼으면 안정적으로 성과를 관리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런 차이가 ‘파급효과(spillover effect)’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절대적 목표는 외부와 단절된 나만의 숫자지만 순위나 평균 기반 목표는 나의 성과가 다른 경쟁자에게 직접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내가 혁신에 성공해 성과를 크게 높이면 업계 평균이 올라가고 다른 경쟁자의 순위는 떨어진다. 이처럼 나의 행동이 경쟁 구도 자체를 바꿀 수 있는 불확실한 환경에서는 목표 설정 전략 또한 달라져야 한다.

모든 조직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만능 목표 설정법이란 없다. 리더는 산업의 특성과 환경의 안정성을 먼저 진단하고 시장 환경이 안정적이라면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는 절대적 목표를 높게 설정해 성장을 독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요즘처럼 기술 변화가 빠르고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는 ‘업계 1위 탈환’과 같은 순위 기반 목표를 과감하게 제시해 혁신적인 탐색 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유리하다. 어떤 상황에서든 꾸준한 개선을 원한다면 ‘평균 이상 유지’라는 평균 기반 목표를 조직문화에 내재화하기를 추천한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