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전쟁과 경영

백마고지:인해전술의 공포를 체계적 준비로 씻다

임용한 | 88호 (2011년 9월 Issue 1)

 

편집자주
전쟁은 역사가 만들어낸 비극입니다. 그러나 전쟁은 인간의 극한 능력과 지혜를 시험하며 조직과 기술 발전을 가져온 원동력이기도 합니다. 전쟁과 한국사를 연구해온 임용한 박사가 전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 코너를 통해 리더십과 조직 운영, 인사 관리, 전략 등과 관련한 생생한 역사의 지혜를 만나기 바랍니다.
 
1951년 7월 휴전 회담이 시작되면서 유엔군은 확전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의 선에서 더 이상 공격하지 말고 전선을 유지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중공군과 북한군은 이 명령을 교묘하게 이용해 충분히 준비를 한 뒤 주요 고지를 기습해서 뺏곤 했다. 그들은 철저하게 한국군이 장악한 고지를 노렸다. 우리 군의 전투력과 화력이 미군보다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것이 한국전쟁 후반부를 장식한 고지전의 원인이었다. 유엔군이 반격을 가해 고지를 탈환해도 전선 유지 명령에 의해 더 이상 진격이 불가능했다. 중공군은 북쪽 산지로 철수했다가 기회를 봐서 다시 공격했다. 반복되는 악순환에 미군 병사들까지도 불만이 많았지만 어쩔 수가 없었다.
 
군사지정학적 요충지, 백마고지
그러던 중에 중공군이 한 지역을 향해 작심하고 공세를 준비한다. 6·25 전쟁 때 대표적 격전지로 심한 포격 탓에 산등성이가 모두 벗겨져 마치 백마(白馬)가 쓰러져 누운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해 ‘백마고지’란 이름이 붙어버린 바로 그곳이다.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북서쪽으로 약 12㎞ 지점에 있는 해발 395m 고지로 불과 열흘 동안의 전투 기간 중 24차례나 주인이 바뀌었을 정도로 치열한 접전이 벌어졌던 곳이다.
 
정전협정 체결을 앞두고 군사분계선을 정하는 데 있어서 백마고지는 군사지정학적 요충지였다. 군사적으로 철원평야를 장악하면 남쪽에는 마땅히 방어선을 칠 만한 요지가 없어 국군의 방어선은 크게 후퇴하게 된다. 경제적으로도 철원평야는 한국에서 제일 비옥한 평야였다.
 
지형으로 보면 북한이 유리했다. 철원평야는 화산에서 분출한 용암이 골짜기 사이에 고인 용암호수가 그대로 굳어서 형성된 땅이다. 이 용암을 가뒀던 산들이 철원평야를 두르고 있는데 남쪽은 얕은 구릉이 섬처럼 점선으로 이어져 있는 반면 북쪽은 가파른 산맥이 빈틈없이 벽처럼 솟아 있다. 김일성 고지로부터 백마고지로 이어지는 이 산줄기는 철원평야를 완벽하게 내려다본다. 감제고지(瞰制高地)인 북쪽 방벽을 안전하게 확보하려면 좀 더 북으로 진격해서 안전지대를 충분히 확보해야 했다. 문제는 이 북쪽이 워낙 첩첩산중이라 한번 진격하면 전선 전체를 상당히 길게 끌어올려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럴 수 없는 한국군으로서는 눈 뜨고 철원평야를 내줘야 하는 판이었다.
 
그런데 이 산맥자락에 마치 방아쇠가 매달려 있듯이 남쪽으로 돌출해 있는 작은 구릉이 있다. 그곳이 백마고지다. 한국군은 이 작은 거점에 진을 치고 버팀으로써 철원평야가 북한에 넘어가는 것을 막고 있었다. 심하게 말하면 긴 암벽의 한 지점에 달라붙어 북한의 남진을 막고 있는 셈이었다. 게다가 이곳은 철원평야를 십자로 교차하는 도로망을 감제하는 곳이었다.
 
북한이 얼마나 필사적으로 요청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중공군은 북한을 위해 상당한 희생을 감수하고 이 땅을 뺏어주기로 한다. 그들은 중공군 중에서도 최정예로 꼽히는 38군의 114사단을 차출해서 3개월 동안 강도 높은 훈련을 시켰다.
한국전 초기 만연했던 대()중공군 공포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회고록을 보면 초기 한국군의 능력, 특히 중공군에 대한 한국군의 대처 능력에 대해 회의적인 서술이 가득하다. 한국군과 좀 더 밀착해서 지냈거나 개인적인 교감이 있었던 장병들은 한국군의 의지와 끈기, 감투정신을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전투 규모가 커지거나 특히 중공군을 상대할 때면 한국군은 쉽게 공황상태에 빠졌다고 입을 모았다. 미군은 한국군을 이해할 수가 없었다. 도대체 어떻게 된 군대냐는 이야기도 자주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원인이 있다. 우선 중공군의 수준이다. 그들은 결코 병력 수로만 밀어붙이는 야만적인 군대가 아니었다. 그들은 1920년대부터 전쟁을 해왔고 보병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베테랑 전사였다. 여기에 온통 산악인 한국의 지형은 흔히 인해전술이라고 불린 중공군 공격전술의 위력을 배가시켰다. 굴곡 많은 산악지형은 특정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집중공격을 가능케 했다. 주변에 병력이 있어도 측면지원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이 점을 이용해 1개, 2개 대대가 1개 중대, 1개 소대의 방어 구역으로 쇄도했다.
 
이런 공격에 대처하려면 소총이나 기관총으로는 어림도 없었다. 강력한 포격으로 적의 공격대열을 끊어 병력 투입을 저지하고 그 틈에 방어선에서 수류탄과 기관총으로 적을 소탕해야 했다. 그러나 한국군은 포병이 부족했고 중공군의 공격은 워낙 집요했다. 전투 대부분이 야간에 진행됐고 산악 지형으로 방어선 주변 상황을 잘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쉽게 지쳤다. 주변 방어선에 동요가 일거나 탄약이 부족해지면 병사들은 금세 공포에 빠졌다.
 
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지휘관의 통솔력과 신속한 판단력, 병사들의 단결력과 희생정신, 예비대의 적절한 운영과 효과적인 지원체제가 필요했다. 그러나 초기의 한국군은 이 부분에서 모두 노련한 군대와 싸우기에는 열세였다. 의지가 있어도 능력과 경험이 부족했다.
 
체계적 훈련과 전력 보강 통해 정면 승부
그러나 백마고지 전투를 앞둔 시점, 한국군은 스스로 이 같은 약점을 자가진단하고 이를 개선해나가기 위해 힘썼다. 초급 장교와 병사들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이 시행됐다. 155㎜포는 갖추지 못했지만 9사단은 이전보다 훨씬 잘 훈련된 3개 포병대대를 갖췄고 전차중대도 보유했다. 포병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화력지원 통제소도 설치했는데 이것은 한국전쟁 중 최초의 사례였다.
 
1952년 10월6일 중공군 114단 340연대의 공격으로 백마고지 전투가 시작됐다. 이날부터 10월15일까지 거의 하루도 쉬지 않고 격전이 반복됐다. 중공군은 이전과 달리 강력한 사전포격을 시행했다. 2m가 넘게 판 참호가 반이 깎여 나갈 정도였다. 한국군과 미군은 즉각 대응포격을 실시했지만 중공군이 사전에 동굴 진지를 강화하고 그 안에 포대를 설치한 탓에 끝내 포대를 파괴하지 못했다. 이것은 전투 내내 한국군에게 큰 부담이 됐다.
 
백마고지는 좁은 구릉이라 한국군, 중공군 모두 1개 연대를 교대로 투입하며 공격과 방어를 반복했다. 그런데 백마고지는 북쪽 산맥에 바짝 붙어 있어서 중공군은 완전하게 엄폐된 북쪽 산지에 공격군과 예비대를 배치해 뒀다가 빠르게 고지로 접근할 수 있었다. 중공군이 개활지를 횡단해 오면 포격에 심한 타격을 입었다. 그들은 금세 이를 알아차리고 북쪽 산맥과 이어지는 백마고지의 북쪽 능선인 화랑고지를 주공격 루트로 삼았다.
 
반면 아군은 지형상 백마고지에서 좀 떨어진 남쪽 구릉에 예비대를 배치해야 했다. 고지로 투입되는 예비대는 개활지와 하천을 건너야 했다. 이동거리가 길어서 예비대의 투입시기가 중공군보다 항상 한 발짝씩 늦었다. 한국군은 첫 번 공세는 거의 막아냈지만 중공군은 어떤 때는 30분 만에 예비대를 투입해 지친 한국군을 몰아냈다. 한국군은 예비대를 수비단계에 투입하지 못하고 다시 힘들게 고지 탈환전을 벌이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더욱이 중공군은 북쪽 고지들에서 지원 사격이 가능했기 때문에 한국군의 고지 공격은 훨씬 힘들었다.
 
이런 지형적 약점을 보완해준 것은 강력한 화력지원이었다. 열흘 동안 발사한 포탄은 중공군이 5만5000발, 아군과 미군이 21만9954발로 4배 정도 많았다. 여기에 공군과 전차대의 포격이 더해졌다. 공군은 주야로 하루에 수십 차례씩 출격해서 낮에는 네이팜과 로켓탄으로 공격했고 밤이면 조명탄을 밝혔다. 이 조명지원이 야간방어전에서 대단한 도움을 줬다.
 
한국군의 포격 능력도 대단히 향상됐다. 이전과 달리 훈련이 잘된 관측병들은 목숨을 걸고 정확한 포격을 이끌어냈다. 어떤 병사는 고지가 함락된 후에도 참호에 남아 포격을 유도했다. 처음에는 껄끄럽던 보급지원과 식사추진 체제도 날이 갈수록 원활해졌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전투는 더욱 처절해졌다. 9사단은 보충병을 거의 받지 못했다. 첫 보충병 889명은 10월10일에야 도착했는데 장교는 1명뿐이었다. 병사의 희생도 그렇지만 장교들이 보충되지 않아 지휘력과 통제력이 계속 약화돼갔다. 이전에도 몇 번 그런 적이 있었는데 장교와 고참병사가 부족하다 보니 전투 능력이 급속히 약화됐다.
 
엄청난 포격으로 산은 만신창이가 됐다. 참호도 대피호도 남아 있지를 않았다. 포격이 시작되면 개개인이 즉석에서 호를 파고 숨어들어야 했다. 대신에 산 전체가 깨진 돌가루와 흙으로 뒤덮여 삽 대신 철모와 손으로도 쉽게 개인호 정도는 팔 수 있었다고 한다.
 
10월11일 사단의 전투력이 크게 저하되자 전 중대에서 특공대를 뽑아 수류탄을 들고 적의 기관총 진지로 돌격했다. 그러나 이렇게 뺏은 고지를 또 다시 빼앗겼다.
 
목숨을 건 최후의 공세, 승리를 이끌다
일주일째 똑같은 전투가 반복되면서 9사단의 전력이 크게 떨어졌다. 중공군도 마찬가지였지만 그들은 114사단의 전 연대가 소진되자 112사단 335연대를 끌어들였다. 335연대는 전 연대가 영웅칭호를 받았다. 이런 소모전으로는 한국군이 먼저 탈진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사단 지휘부는 지금처럼 백마고지 주봉을 사수하는 전술을 버리고 과감하게 북진해 화랑고지와 북쪽 산맥의 장송고지까지 장악, 중공군의 공격루트를 차단해버리자는 작전을 구상한다. 과감한 만큼 위험도 컸다. 만약 중공군이 또 새 부대를 동원해 화랑고지와 백마고지 사이로 밀고 들어오면 화랑고지로 진출한 부대는 와해돼 버린다. 첫날 전투에서 화랑고지에 주둔했던 중대가 바로 이런 상황에 빠져 거의 전멸했다.
 
하지만 여기서 포기하면 백마고지 전투는 이전처럼 미군에게 양도해야 하고 한국군은 아직 자신의 나라를 지킬 능력이 없다는 평을 또 다시 들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9사단은 과감한 진격을 결정했다.
 
10월12일, 먼저 백마고지 주봉인 395고지의 탈환에 나섰다. 30연대 3개 대대를 투입했으나 전황이 여의치 않았다. 그러자 1대대 1중대 3소대장 강봉우 소위와 오귀봉, 안영권 하사가 수류탄을 들고 기관총 진지에 돌입해서 자폭했다. 이들의 희생으로 백마고지의 주봉을 다시 탈환했다.
 
여기서 한국군은 서둘지 않고 신속히 공격부대 일부를 교체하는 등 야간역습을 대비했다. 과연 중공군이 맹공을 퍼부었으나 체력과 경험을 비축한 한국군 병사들은 이것이 승리의 분수령임을 깨닫고 중대 병력이 3분의 1도 남지 않을 정도로 손실을 입었지만 물러서지 않았다. 백마고지 전투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극적인 방어전이었다.
 
이날 밤 30연대가 방어에 성공함으로써 28연대를 화랑, 장송고지 공격에 투입할 수 있었다. 28연대는 지친 335연대를 몰아내고 성공적으로 목표를 장악했다. 그러자 설마 했던 악몽이 닥쳤다. 중공군 112사단 336연대가 새로 전선에 등장했다. 이날 밤 장송고지를 지키던 28연대 1대대의 각 중대는 신병이 3분의 1 이상인 상황에서 남은 장교들마저 거의 다 쓰러졌다. 그러나 장교가 쓰러지면 하사관이, 하사관이 쓰러지면 사병이 지휘를 대신하며 물러서지 않았다. 며칠간의 전투가 병사들을 더욱 강인한 승부사로 바꾸어 놓았다.
 
이 격전으로 28연대는 장송고지를 사수했다. 그러나 화랑고지의 거점 세 곳은 다시 빼앗겼다. 10월14일 교대한 29연대가 화랑고지 탈환에 나섰다. 9사단으로서도 마지막 공세였다. 여기서 실패하면 더 이상 여력이 없었다. 15일 오전까지 지속된 사투 끝에 29연대는 화랑고지의 거점을 차례로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마침내 114사단에 이어 112사단도 주저앉았고 중공군 38군 전체가 공격력을 상실했다.
 
열흘간의 전투에서 아군은 3428명이 전사했다. 중공군은 8234명 전사, 포로 5097명이었다. 미군의 화력지원에 큰 도움을 받았지만 지형이 불리한 상황에서 중공군과 맞대결을 펼쳐 이런 승리를 거두기는 미군이라도 쉽지 않았다.
 
초기 한국군은 전술, 훈련, 장비, 장교들의 리더십 모두에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개전 후 약 2년의 시간이 흘러 백마고지 전투가 벌어졌을 당시 한국군은 개전 초에 비해 훨씬 잘 훈련돼 있었고 완벽하진 않지만 전력 보강도 돼 있었다. 여기에 국토를 사수해야 한다는 의지, 더 이상 중공군의 만만한 표적이 될 수 없다는 각오가 한국군에 만연해 있던 중공군 공포를 이겨낸 원동력이 됐다.
 
최근 한국전쟁 개전 초기 한국군의 행태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이 자주 표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비판은 전쟁 당시 한국군이 처한 상황을 무시하고 현상만을 꼬집어 현재의 관점에서 재단하는 처사다. 역사든 경영이든 잘못은 적출해야 하지만 기계적으로 잘못을 지적하기만 해서는 안 된다. 왜 그런 행동이 발생했고 어떤 과정과 요소에 의해 문제가 어떻게 해소돼 갔는지 과정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백마고지에서 국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중공군에 대한 공포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 문제를 정면으로 해결해 나가려 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조직이 제대로 구성되고 합리적으로 움직이자 장병 개개인의 경험의 질과 자기 성장의 속도가 확연히 달라졌다는 점이다. 즉 보병과 포병 사이의 긴밀한 협동 작전, 거듭된 고지 사수와 공격에서 28·29·30연대가 보여준 절묘한 임무 교대 등이 뒷받침되자 일개 병사들은 강인한 승부사로 바뀌었다. 그 결과 백마고지 전투 후반, 객관적으로 전력이 크게 약화됐을 때 신규 투입된 중공군 112사단의 거센 공세도 격파할 수 있었다.
 
1952년 10월6일 강원도 철원 서북방 백마고지에서 벌어졌던 전투는 한국전쟁 사상 가장 치열한 전투 중 하나로 꼽힌다. 열흘 동안 24차례나 고지의 주인이 바뀌었을 정도로 치열했던 이 전투에서 국군은 3500여 명, 중공군은 8200여 명이 각각 전사했다. 미군의 화력 지원에 큰 도움을 받긴 했지만 절대적으로 불리한 지형 조건하에서 인해전술을 펼치는 중공군과 맞대결을 해 승리를 거두기란 쉽지 않다. 한국전쟁 초기 한국군에게는 중공군에 대한 공포가 만연해 있었다. 그러나 한국군은 공포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체계적 훈련과 전력 보강을 통해 공포를 극복해 나갔다. 그 결과 객관적으로 열위에 있던 전력에도 불구하고 중공군의 공세를 이겨낼 수 있었다.
임용한 한국역사고전연구소장 yhkmyy@hanmail.net
 
필자는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에서 한국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국왕 이야기> <전쟁과 역사> <조선전기 관리등용제도 연구> <조선전기 수령제와 지방통치> 등 다수의 책과 논문을 저술했다.
  • 임용한 임용한 | - (현) KJ인문경영연구원 대표
    - 한국역사고전연구소장
    - 『조선국왕 이야기』, 『전쟁의 역사』, 『조선전기 관리등용제도 연구』, 『조선전기 수령제와 지방통치』저술
    yhkmyy@hanmail.net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