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mini box I

포스코이앤씨 사례로 본 안전사고 예방법

이규열 | 426호 (2025년 10월 Issue 1)
현장 자율에만 맡기면 위험…
본사 안전 점검 피드백 필수
참고 기사 : “‘4대 원칙’으로 안전 수칙 설계하고 중대재해 막는 ‘4중 방어막’ 전개해야”


“그룹의 모든 사업장에서 안전은 무엇과도 타협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가치이고 강건한 설비는 우리 사업 경쟁력의 근원임을 한시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올해 1월 2일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임직원들에게 보낸 신년사 중 일부다. 포스코그룹은 2025년 중점적으로 추진할 첫 번째 과제로 안전을 꼽았다. 단기적인 성과보다 안전의 중요성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관련 설비에 투자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굳은 다짐에도 불구하고 신년사 발표 보름 후인 1월 16일 50대 협력업체 직원 1명이 경남 김해 아파트 신축 공사 현장에서 작업 중 추락해 사망했다. 이어 4월에는 경기도 광명시 신안산선 건설 붕괴 사고, 대구시 주상복합 신축 현장 추락사고가 발생하며 각각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7월에는 경남 의령군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60대 직원이 건설 기계에 끼어 숨졌다. 그달 29일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가 잇따른 산업재해에 대한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그로부터 엿새 후인 8월 4일 광명시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미얀마 국적의 30대 근로자가 감전돼 8일 동안 의식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 올해 포스코이앤씨에서 발생한 중대재해 사고만 해도 5건, 사망자는 4명에 달한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포스코이앤씨를 직접 겨냥해 “아주 심하게 얘기하면 법률적 용어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며 강력하게 질타했으며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 보고할 것”이라고 강력히 지시하기도 했다. 이에 정 대표이사는 스스로 사의를 표했고 안전 분야 전문가인 송치영 포스코 안전특별진단 태스크포스(TF) 팀장 부사장이 신임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포스코이앤씨가 유독 집중적인 비판을 받는 데 재계 일각에서는 “정권 초기마다 반복되는 포스코그룹 길들이기의 연장 아니냐”는 정치적 해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형 건설사의 안전사고를 근본적으로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 강화가 시급하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함께 나오고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