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페이지 맨 위로 이동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ase Study

세계 1위 드론 기업 中 DJI의 혁신 성장

이규열 | 430호 (2025년 12월 Issue 1)
5~6개월 만에 드론 새 모델 출시 속도전
액션캠-자율주행 등 다각화로 리스크 분산
Article at a Glance

중국의 드론 기업 DJI는 ‘완제품 드론’ 시장을 자체적으로 개척해 전 세계 드론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했다. 초기 드론 시장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등 각 요소가 분리돼 있었다는 점을 주목해 이를 하나로 통합하고 요소를 자체 개발해 가격을 크게 낮춘 완제품을 선보이며 마니아층부터 대중까지 고객으로 끌어들였다. 약 6개월 주기로 신제품을 빠르게 출시해 후발 주자들과 격차를 벌리며 DJI만의 해자를 구축했다. 나사의 조임 정도까지 고민하는 극한의 완벽주의를 추구하고 높은 연봉과 자유로운 조직문화로 우수한 엔지니어를 채용하며 탄탄한 기술력을 갖췄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되고 드론이 무기가 될 수 있다는 안보 리스크가 커지는 가운데 DJI는 위기 분산과 매출 다각화를 위해 드론 개발 과정에서 확보한 기술을 바탕으로 촬영 장비, 자율주행 시스템 등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드론계의 애플’ ‘엔지니어들의 에덴동산’.

중국의 드론 기업 DJI에 따라붙는 수식어들이다. 애플처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유기적으로 통합한 독자적 생태계를 구축했고 높은 연봉과 자유로운 조직문화로 엔지니어들이 일하기 좋은 환경이라는 의미다. DJI가 애플에 비유되는 까닭은 성장 전략에서도 엿볼 수 있다. DJI는 화웨이나 샤오미 등 기존 중국 제조 빅테크와는 다른 길을 걸어왔다. 저렴한 인건비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선진국이 구축한 시장을 추격하는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 접근이 아니라 조종 가능한 완제품(Ready-to-fly) 드론 시장을 처음 개척한 ‘퍼스트 무버(First Mover)’에 더 가깝다.

글로벌 조사 기관 리서치앤마켓에 따르면 드론 시장에서 DJI의 점유율은 70% 이상으로 알려졌으며 드론 연구기관 로얄티드론리서치는 DJI의 미국 시장점유율을 약 80%라고 밝혔다.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며 매출의 80%가량이 해외에서 발생한다는 점 또한 든든한 내수 시장을 본진 삼아 해외로 눈을 돌리는 다른 중국 기업과는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실적 또한 눈부시다. 중국의 테크 전문 미디어 36KR은 2024년 DJI의 매출을 500억 위안(약 9조4000억 원), 순이익률은 무려 40%에 달한다고 밝혔다. 왕타오 DJI 창업자 겸 CEO 또한 과거 WSJ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기업들이 저렴한 버전의 제품을 내놓을 때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고 강조한 바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K-FOCUS 서비스 오픈
인기기사

아티클 AI 요약 보기

GO

K-FOCUS TOP 5

지금 주목해야 할 산업과 기업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