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페이지 맨 위로 이동
검색버튼 메뉴버튼

당시 만든 적합도 지수 화면 예시

271호 (2019년 4월 Issue 2)

김성준
국민대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필자는 현재 국민대 경영대학원에서 조직문화와 리더십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리더의 불안을 주제로 여러 학술지에 연구 논문을 출간했다. LG그룹, CJ그룹, 세아그룹, 기아에서 인사 자문을 했다. 저서로는 『AI가 바꾸는 일터의 미래』 『전략적 사고의 11가지 법칙』 『최고의 조직: 리더가 지켜야 할 것과 버려야 할 것』 『조직문화 통찰』 등이 있다.
leadership@kookmin.ac.kr
당시 만든 적합도 지수 화면 예시

먼저 삼국지 고사를 떠올렸다. 적벽대전에서 100만 명이나 되던 조조 군은 유비-손권 연합군에 크게 패한다. 제갈공명은 화용도(華容道)로 빠져나간 조조를 잡기 위해 장수들에게 작전 지시를 내리는데 유독 관우에게만 군령을 내리지 않는다. 제갈공명은 관우가 과거에 조조에게 은혜를 입었던 사실을 알고 있었고, 관우의 성격상 조조를 죽이지는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