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at a Glance
대우조선해양은 2015년 2분기 약 3조4000억 원의 영업손실을 발표하면서 자사가 경영 위기에 처해 있음을 알렸다. 2010∼2012년 무렵 무리하게 수주한 해양플랜트 물량에서 예상 이상의 비용이 발생했고 이를 회계처리하지 않고 있다가 CEO가 바뀐 다음에야 한꺼번에 계상한 것이다. 채권단은 물론 언론과 정부, 대다수의 임직원들까지도 쇼크에 빠졌다. 책임자들과 담당 회계법인은 회계부정 혐의로 구속됐다. 만일 ‘발생주의’로 적는 손익계산서가 아닌 ‘현금주의’로 적는 현금흐름표에 주목했더라면 이해관계자들이 이 위기를 좀 더 빨리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었을 것이다.
2016년 10월31일,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차관과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4개 부처의 차관급 공무원이 한데 모인 이유는 대우조선해양의 운명을 발표하는 자리였기 때문이다. 불과 1개월 전, 정부의 용역을 받아 조선업계 전반을 진단한 글로벌 컨설팅사 맥킨지는 정부가 대우조선해양을 정리(분할 매각)하고 조선산업을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빅 2’ 체계로 구조조정해야 한다고 보고했다. 맥킨지의 권고와 달리 이날 정부가 발표한 해결책은 대우조선해양의 독자생존과 ‘빅 3’ 체제 유지였다. 다만 3사의 직접 고용 인원을 현재의 6만2000여 명에서 4만2000여 명 수준으로, 또 독(dock) 수도 총 31개에서 24개까지 축소하도록 유도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런 결정에 대해 여론은 찬반으로 갈렸다. ‘이럴 거면 왜 컨설팅을 맡겼느냐’ ‘언젠간 해야 할 산업 구조조정을 미루는 임시방편일 뿐이다’이라는 비판도 있었던 반면 ‘옳은 결정이다. 지금 대우조선해양을 없애면 글로벌 조선업 경기가 살아날 때 크게 후회할 것’이라는 찬성론도 나왔다. 재무상황이 어렵기는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은 여전히 수주잔량 기준으로 조선(操船)업계 글로벌 1위 기업이라는 점도 지적됐다.
1
이런 정부의 결정은 회사와 채권단이 자체적으로 추진해오던 자구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일단은 임직원 감축과 일부 사업의 축소, 정부의 자금 지원으로 시간을 벌면서 조선업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버티고 동시에 회사의 빚을 대신 갚아줄 수 있는 새로운 주인을 찾아보자는 것이다. 정부는 2015년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에 4조2000억 원을 지원해준 데 이어 3조 원의 추가 자본을 마련해주기로 했다. 최대 부실 원인으로 지목됐던 해양플랜트 산업 역시 완전 철수가 아니라 사업을 축소하고 비용을 조절하는 방향으로 결정됐다. 회사는 임직원 약 3000여 명을 명예퇴직 혹은 분사의 형태로 구조조정하는 것 외에도 모든 사무직 임직원이 2017년 1월부터 한 달씩 무급 순환휴직을 실시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글로벌 선두지위를 유지하던 한국의 조선 3사가 급격히 어려워진 데 대해서 전문가들은 크게 두 가지 이유를 꼽는다.
2
첫째, 경험이 부족했던 해양플랜트 공사를 너무 쉽게 봤다. 과거 선박 건조 분야에서 그랬던 것처럼 해양플랜트 분야에서도 일단 수주를 해놓으면 일을 하면서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리라는 자신감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2010∼2012년 해양플랜트를 대량 수주했다. 한국 업체들끼리 저가 수주 경쟁까지 붙었다. 하지만 실제 공사에 들어가니 인력이나 기술 측면에서 부족함이 드러났다. 설계 변경과 일정 지연으로 추가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두 번째는 경영진의 욕심이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처럼 정부가 임명해 3년 정도 근무하고 나가는 경영자 입장에서는 최대 5년까지 걸리는 해양플랜트 공사를 수주하면 자신의 임기 중 적자를 드러내지 않으면서 실적을 올릴 수 있다.
운영 측면의 문제 외에 회계 차원의 문제도 함께 부각됐다. 대우조선해양의 생존 위기는 2015년 2분기에 느닷 없이 매출 1조6564억 원에 3조399억 원의 영업손실을 발표하면서 여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전 분기(2015년 1분기)의 매출이 4조4860억 원, 영업손실이 430억 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엄청난 추락이다. 너무 큰 변화였기 때문에 당시 금융감독원과 언론에서는 회사 측이 장부를 조작한 것이 아닌지 의심했다. 이른바 ‘회계절벽’ 사건이었다. DBR은 2015년 11월 1호(189호)에서 이를 다룬 바 있다.
3
이 아티클의 필자인 서울대 경영학과 최종학 교수는 (1) 과거의 손실을 숨겨오다가 늦게야 공개했거나 (2) 손실을 부풀려서 실제보다 과장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대우조선의 전현직 경영진은 이런 의혹들을 부인했다. 또 설령 회계장부가 부정확하게 기록됐다고 해도 그것이 대우조선 사업의 근본적인 문제는 아니라고도 이야기했다. 회계상 손실은 회계처리 기준에 맞게 기록한 것일 뿐이고 진짜 문제는 글로벌 조선 경기 침체라는 것이다.
과연 대우조선의 ‘회계절벽’은 회계만의 문제였을까? 경영자는 이 사례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 1년여가 지난 지금 당시의 회계 조작 의혹이 어떻게 전개됐는지, 또 기업 경영자는 이 사건으로부터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