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olumn

AI 시대, ‘몸의 서사’로 ‘보람’ 찾기

조욱형 | 428호 (2025년 11월 Issue 1)

“그래도 아직, 우리는 괜찮지 않을까?”

3년 전 여름, 방송사에서 함께 일하던 예능 PD와 나눈 대화였다. 당시 인공지능(AI)이 인간의 일자리를 빠르게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연일 쏟아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예능을 비롯한 콘텐츠 연출 분야만큼은 마지막까지 인간의 영역으로 남을 거라 믿을 수 있었던, 어쩌면 마지막 순간이기도 했다.

우리는 AI가 기획부터 촬영, 편집까지 제작 전 과정을 대신할 수 있으리란 예측은 아직 이르다고 생각했다. 20시간 분량의 촬영본을 90분짜리 프로그램으로 압축하며 기승전결의 흐름과 감정의 리듬을 살려내는 일은 오직 인간의 눈과 뇌로만 가능하다고 믿었다. ‘창의’야말로 인간이 결코 내줄 수 없는 최후의 보루이자, 그래야 한다는 믿음은 다가올 변화를 직시하지 못하게 만든 일종의 자기 위안이었다.

최근 장강명 작가의 화제작 『먼저 온 미래』를 읽으며 3년 전 여름의 대화를 떠올렸다. 2016년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 이후 AI는 가장 먼저 바둑계와 산업 전반을 뿌리째 흔들었다. 수천 년에 걸쳐 인간의 지혜와 창의로 개발해 낸 정석들이 가장 먼저 버려졌다. 오직 승리 확률에 기반한 AI식 포석과 운용은 기사들 고유의 기풍을 싸그리 지워버렸다. 이제 대부분의 기사가 AI식 포석을 외워서 둔다. 바둑 교육, 인간 사범의 의미와 위상도 초라해졌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조욱형

    조욱형ultravivid@naver.com

    예능 PD

    MBC 프로듀서로 ‘무한도전’ ‘쇼! 음악중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작에 참여했다. CJ ENM에서 Mnet의 대표 흥행 프로그램인 ‘퀸덤’ ‘로드 투 킹덤’을 연출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CP(책임PD)로 재직했다. 최근 연출한 연애 리얼리티 예능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 싶어’가 국내 넷플릭스 1위, 글로벌 톱10 TV쇼 비영어 부문 10위에 오르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K-FOCUS 서비스 오픈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