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 Management
‘불치하문(不恥下問)’이라는 말이 있다. 중국 춘추시대 위나라에 공어(孔圄)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문(文)이라는 시호를 얻어서 사람들이 그를 공문자(孔文子)라고 불렀다. ‘문(文)’이라는 시호는 가장 훌륭한 인물에게 부여됐는데 그렇게 훌륭하다고 칭송하기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던 모양이다. 그래서 공자의 제자인 자공(子貢)이 어느 날 공자에게 그 점에 대해 물었다. 이에 대한 공자의 대답이 “그는 머리가 명민하면서도 배우는 것을 좋아해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문(文)이라고 한 것이다(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였다. 무릇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나이나 신분, 지위의 높고 낮음을 가리지 않고 자신보다 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아야 하며 학문을 하는 사람에게는 이것이야말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훌륭한 자세라는 것이다.
실제로 ‘공자천주(孔子穿珠)’라는 말은 공자 스스로 불치하문의 자세를 실천했음을 보여준다. 공자가 어떤 사람에게서 진귀한 구슬을 하나 얻었는데 그 구슬의 구멍에는 아홉 번이나 돌아가는 굽이가 있어서 도저히 실을 꿸 수가 없었다. 이런저런 방법을 다 동원하고도 실패한 공자는 길옆에서 뽕잎을 따고 있는 아낙을 떠올리고는 아낙들이 바느질을 잘하니 그 방법을 알지 않을까 생각해 물었다. 아낙은 꿀과 개미를 이용해보라고 가르쳐줬다. 아낙의 말을 듣고 공자는 구멍 한쪽에 꿀을 묻혀 놓고 허리에 실을 묶은 개미를 다른 구멍으로 넣으니 개미는 꿀을 찾아 구멍을 타고 나가서 실을 꿸 수 있었다. 이 이야기는 무언가를 배우는 데는 나이나 신분, 학문의 높고 낮음이 관계없다는 것을 깨우쳐준다. 당대의 지식인인 공자도 모르는 것의 답을 찾으려고 신분이 낮고 배움이 적은 아낙에게 거리낌없이 물었던 것이다.
GE와 P&G의 역멘토링
불치하문의 자세를 현대적인 경영 기법으로 발전시킨 것이 ‘역멘토링(Reverse Mentoring)’이다. 원래 멘토링(Mentoring)의 어원인 멘토(Mentor)라는 말은 호메로스의 ‘오딧세이’에 나오는 사람의 이름이다. 고대 그리스 이타카 왕국의 오디세우스 왕이 트로이전쟁에 출전하면서 아직 어린 나이인 아들 텔레마쿠스 왕자의 교육을 자신이 가장 믿는 친구인 멘토(Mentor)에게 맡겼다. 오디세우스가 전쟁과 온갖 고난을 치르면서 20년 만에 이타카로 돌아올 동안 멘토는 스승이자 아버지, 때로는 상담자이자 친구로서 자신의 모든 것을 전수해 텔레마쿠스 왕자를 지혜롭고 현명한 왕으로 성장시켰다. 이후 멘토라는 그의 이름은 ‘지혜와 신뢰로 한 사람의 인생을 이끌어주는 지도자’라는 의미로 사용됐다. 즉, 멘토는 현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상담 상대, 지도자, 스승, 선생의 의미로 쓰이며 그 상대방인 도움을 받는 사람을 가리켜 멘티(Mentee)라고 한다. 현대적 의미에서 멘토링은 멘토(Mentor)와 멘티(Mentee)가 합의된 목표하에 상호인격을 존중하며 일정 기간 동안 멘티의 잠재능력을 개발해 핵심인재로 육성하는 체계적인 활동을 일컫는다.
GE의 전임 CEO인 잭 웰치(Jack Welch) 회장은 고위 간부들로 하여금 부하직원들로부터 인터넷 등 신기술을 1대1로 배우게 했다. 자신도 이를 실천함으로써 기존 멘토링 제도의 멘토(Mentor)와 멘티(Mentee)의 역할을 뒤바꾼 것이 역멘토링의 시초가 됐다. 잭 웰치는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GE의 중요한 경영 전략 중 하나로 e-Business를 삼았는데 사실 GE는 그 전에 정보기술과는 거리가 먼 사업을 주로 영위했다. 내부적으로 정보기술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가진 경영진도 부족했다. 잭 웰치는 그 점을 솔직히 인정하고 정보기술에 능통한 일반 사원을 멘토로 선정해 인터넷 관련 지식을 학습했다고 한다. 그 후 GE는 약 600여 명의 임원이 최소 1∼2주에 1회 이상 일반 사원으로부터 1대1로 정보기술을 교육받는 리버스 멘토링 제도를 전사적으로 확대했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로 디지털 환경 속에서 태어나고 자란 신입 및 하급직원들이 아날로그 시대의 기술과 환경에 익숙한 선배사원들보다 정보나 기술에 대한 이해와 숙달도가 앞서는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환경 속에서는 선배가 후배에게 배우는 것이 당연한 현상일지도 모른다. 이처럼 역멘토링은 상사가 자신보다 아랫사람인 일반 사원들과 1대1 관계를 맺음으로써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 아이디어를 획득하는 학습의 방법으로 시작됐다.
역멘토링을 활용하고 있는 또 다른 대표적 기업으로 세계적 생활용품 업체인 P&G(Proctor & Gamble)를 들 수 있다. P&G는 연구개발을 통한 제품의 혁신을 50% 이상 아웃소싱함으로써 괄목할 성과를 내는 소위 Connect & Develop 정책으로도 유명하다. 이것이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배우는 것이라면 ‘Mentoring Up’이라고 명명한 역멘토링은 위로부터가 아닌 아래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이 회사는 경영이나 관리 활동에는 능통하지만 의약이나 제품 관련 지식이 부족한 경영진을 위해 연구소의 연구원들을 1대1로 매칭시켜 생명공학 기술이 실제 사업과 어떻게 연계되고 운영되는지에 대한 지식을 전수하고 있다. 또 경영진으로 하여금 현장에서 여성 인력과 관련된 이슈에 대해 실제 체험하고 이를 반영한 의사결정을 하도록 유도하는 차원에서 회사 경영진과 여성관리자들을 매칭시키기도 한다. 이를 통해 여성관리자들은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경영진은 여성과 남성 간 차이에 대한 이해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처럼 역멘토링은 경영에 있어서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GE나 P&G의 사례처럼 경영진이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이나 외부의 신선한 아이디어를 학습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한 조직이나 분야에 오랜 기간 동안 몸담아 생각의 폭이 좁아지거나 타성에 빠진 경영진이 스스로 외부의 급격한 환경의 변화나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기술을 탐색하고 받아들이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이때 젊은 세대들은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신선한 자극과 활력을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훌륭한 멘토가 될 수 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