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 18일 오후 10시(현지 시각) 미국 차량 공유 업체 우버의 자율주행자동차가 보행자 사망 사고를 낸 데 이어, 5일 만에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의 ‘모델 X’가 자율주행모드로 주행하던 중 고속도로에서 사망 사고를 내면서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자율주행차 인명사고, 원인은우버의 사고는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인근 지역의 교차로에서 발생했다. 횡단보도 바깥으로 걷던 보행자가 갑자기 도로로 뛰어들면서 직진하던 차량이 보행자를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차량은 ‘볼보 XC90’으로, 우버의 센서를 장착하고 자율주행모드로 운행되고 있었다. 자율주행자동차에 의한 첫 번째 보행자 인명 사고였다.
테슬라 모델 X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고속도로에서 중앙 분리대를 들이받고 뒤에 오던 차량 두 대와 잇따라 충돌한 뒤 폭발했다. 사고 당시 차량은 테슬라의 자율주행모드인 오토파일럿(autopilot) 상태였고, 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두 사건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우버와 테슬라에 적용된 자율주행모드가 레벨2에 불과해 운전의 주도권이 여전히 운전자에게 있었다고 지적한다.
미국 자동차공학회(SAE)는 자율주행 기술 수준에 따라 자율주행자동차를 총 5단계로 나눴다. 그 중 레벨2는 운전자가 차량을 통제하는 상황에서 간단한 자율주행 기능이 추가됐을 뿐 엄밀하게는 자율주행자동차라고 할 수 없다.
차량 통제권이 차량으로 옮겨지는 단계는 레벨3부터다. 상용화된 자율주행자동차 중 레벨3을 구현한 사례는 아직 없다.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볼보, 현대자동차 등이 레벨3으로 넘어가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여전히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다.
사람이 운전하기 쉬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안전기술로도 운행이 가능하지만 눈이 오거나 빛이 너무 많이 들어오는 등 가혹한 환경에서는 안전 장비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김시호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는 “여러 극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안전 장비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며 “이들 기술이 안정적인 수준에 이르러야 완전한 의미의 레벨3 자율주행자동차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인간을 보호할 수 있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대표적인 안전 기술을 정리했다.
CASE 1시야가 제한적일 때_ 야간, 눈비, 역광빛이 적은 야간이나, 눈비가 너무 많이 와서 차선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사람도 운전이 쉽지 않다. 자율주행자동차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 가지 다른 점이 있다면 야간에는 사람의 눈보다 자율주행자동차의 ‘눈’이 조금 더 낫다는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의 눈은 크게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LiDAR·레이저 레이더) 등 세 가지로 이뤄진다. 이 셋이 상호보완적으로 눈의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