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하버드경영대학원의 Case Method

’더 나은 대안’ 찾는 하버드의 토론식 교육경영교육을 공연예술로 승화시켰다

조진서 | 194호 (2016년 2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지난 114일 열린 DBR/HBR Korea 월간 정기 세미나에는 HBS 정덕진 교수의 케이스스터디 시범강의가 있었다. HBS는 교수들이 작성하는 교육용 케이스를 전 세계 경영대학과 기업 등에 연간 1200만 건(2014년 기준) 판매한다. 하버드가 전파한 케이스 교수법은 현실 기업의 사례를 놓고 참석자 간 토론을 통해더 나은 대안을 찾는 것이 특징이다. 교수는 강연자가 아닌 토론 사회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참석자들의 수준 높은 코멘트를 유도하기 위해 하버드대는 속기사를 매 강의에 참석시키고 수업 중 나오는 모든 코멘트에 점수를 매겨 성적에 50% 반영하는 시스템을 갖춰놓았다.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양원철(건국대 기술경영학과 3학년), 김나경(고려대 심리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경제학, 경영학 수업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것 중 하나가 독과점이다. 정통 경제학에서는 독점을 악()으로 여긴다. 소비자와 사회 전체에 돌아가야 할 효용의 상당 부분을 소수 기업이 가로채기 때문이다. 반대로 경영학과와 MBA 과정에서는 모든 기업이 가치 차별화를 통해 특정 시장, 혹은 특정 고객군을 독점하라고 가르친다. 남들이 따라 하고 싶어도 따라 할 수 없는 가치를 소비자에게 제공해서 긍정적인 독점 효과를 만들어내라는 뜻이다.

 

이런 경영 이론을 스스로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경영교육 기관이 있다. 바로 하버드경영대학원(HBS)이다. 이 학교는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수업방식을 창안하고 보급시켰으며 케이스 판매에서 다른 학교가 넘보지 못하는 독보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다.

 

하버드가 만드는 케이스스터디는 실제 기업에서 경영자 혹은 관리자가 맞닥뜨리는 경영적 판단의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도록 만든다. 예를 들어삼성전자가 소니와 합작 LCD 공장을 지어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주변 정황과 회사 내부 상황을 제시해주는 것이다. 이런 수업 방식은 1912년에 시작됐고 이젠 대부분의 톱 MBA/EMBA 과정이 하버드 케이스스터디를 구매해 사용한다. <블룸버그비즈니스위크>에 따르면 2014년 전 세계 4000여 개 학교와 교육기관이 약 1200만 건의 하버드 케이스를 샀다. 판매액은 약 3000만 달러( 360억 원).1 케이스 판매 2위인 버지니아대 다든경영대학원의 2014년 판매부수는 70만 건으로 하버드의 6% 수준이다.

 

물론 이런케이스 메소드(case method)’ 교수법에 비판론도 있어왔다. HBS의 원로교수인 제임스 헤스킷은 2008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 낸 아티클2 에서 케이스 교수법은 1) 가르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2) 개별적일 수도 있는 여러 경영적 안건을 하나로 뭉뚱그려 보여주며 3) 정량적(quantitative) 기법을 가르치기에 부적절하고 4) ‘경영에 정답은 없고 다른 대안보다 더 나은 결정만 있을 뿐이라는 인식을 심어준다고 말했다. 그러나 헤스킷 교수의 자아비판 이후에도 하버드에서 제작하는 케이스의 인기는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지위가 공고해지는 추세다.

 

케이스 수업의 사업적 성공은 이 학교 교수들이 작성하는 케이스의 높은 완성도, 그리고 독특한 수업방식 덕분이다. 최근 DBR은 케이스스터디의 효과를 경험할 수 있도록 HBS의 정덕진(Doug J. Chung) 교수를 초대해 시범 수업을 가졌다. 이날 수업은 하버드 강의실과 흡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는 고려대 경영대학원 LG-포스코관 강의실에서 진행됐고 선착순으로 신청한 90여 명의 DBR/HBR Korea 정기구독자들이 참여했다. 유료 강좌였고 SNS를 통해서만 홍보했지만 수십 명의 대기자가 나올 정도로 관심을 끌었다. 다뤄진 케이스는 미국 티타늄 가공업체인 타이테크(Ti Tech) B2B 마케팅 사례였다. 케이스는 강의 1∼2주 전에 참석자들에게 영어와 한국어 요약본으로 배포됐고 당일 수업에선 따로 설명해주지 않았다. 토론은 한국어로 진행됐다. 고객가치(value), 가격결정(pricing) 등에 대한 경영학 이론 설명도 중간중간 곁들여졌다.

 

한국 사람들에게는 낯설 수 있는 참여형, 토론형 수업이 잘 진행될 것인지, 참석자들이 케이스를 충실히 읽어올 것인지에 대한 의심은 기우로 끝났다. 다양한 직무 경험을 가진 참석자들은 케이스의 내용에 대한 논리적인 분석에 자신만의 견해를 더해 의견을 발표했고 때론 서로 반박했다. 정 교수는 토론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참석자들의 발언을 정리해주고 논의를 다양한 각도로 발전시켜나갔다. 강의실 구석구석을 뛰다시피 돌아다니며 분위기를 활기차게 만들었고 소수의 참석자가 논의를 독점하지 않도록 발언권을 조절했다. 판서도 많이 했다. 강의실 전면을 다 덮는 대형 칠판을 몇 번이나 지워야 할 정도였다.

 

참석자들은 사후평가에서 100%의 만족도를 보였다. ‘매우 만족 62.5%, ‘만족 37.5%였다. 2014 2월 시작한 DBR/HBR Korea 월간 정기 세미나 사상 최고 평점이다. ‘다시 케이스스터디 특강이 열리면 참석하겠는가라는 질문엔그렇다 100%였다. 시간이 짧아 아쉬웠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 참석자는열정적으로 강의장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참가자 곁에 가서 질문을 하고 진행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강단에 서서 학생들이 듣든 말든, 졸든 말든 신경 쓰지 않는 여타 강의실의 모습과는 대조적이었다는 후기를 남겼다. “동일한 사안을 다양한 시각에서 판단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됐다는 감상도 있었다.

 

특히참가자들의 준비성에 놀랐고, 아주 구조화된 과정진행에 매우 만족했다는 참석자 의견은 국내 대학과 경영교육 기관들에게 시사점을 남겼다. 최근 국내 주요 대학의 MBA 과정들은 글로벌 랭킹과 입학경쟁률 측면에서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13개 한국형 MBA 과정의 2015학년도 경쟁률은 1.641, 전년도 1.741에서 소폭 감소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가 선정하는 ‘2015 세계 경영대학원 순위에서는 4년 만에 처음으로 100위권에서 한국 대학들이 사라졌다. 학교마다 영어강의를 늘리거나 외국인 학생을 유치하려 애쓰고 태블릿 같은 IT 장비를 수업에 도입하기도 하지만 교육의 기본은 역시 강의의 품질과 수업 몰입도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