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Letter
2025년 10월 발표된 노벨경제학상은 혁신이 어떻게 경제의 성장 경로를 스스로 재편하는지를 정교하게 규명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습니다. 이들은 기술의 축적과 새로운 기업의 진입이 경쟁을 촉발하고 그 과정에서 기존 기술과 산업 질서가 대체되는 ‘내부 혁신의 순환’을 수학적, 역사적, 제도적 관점에서 입증했습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흐름은 과학철학자 토머스 쿤이 말한 ‘패러다임 전환’의 원리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과학이 누적된 변칙 사례를 계기로 낡은 이론을 밀어내며 진화하듯 경제도 스스로의 질서를 새롭게 만들어가는 존재라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된 셈입니다. 이로써 혁신은 성장을 보조하는 부수적 요소가 아니라 경제를 진화시키는 핵심 메커니즘이라는 사실이 다시 한번 강조됐습니다.
하지만 기술 변화는 빠르게 진행되는 데 비해 기업들은 여전히 기존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도 변화가 정착되지 않는 이유는 기술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변화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관점이 바뀌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DBR 편집진은 이번 스페셜 리포트를 ‘기법’이 아닌 ‘관점’을 되짚는 기획으로 설계했습니다. 변화에 쫓겨 최신 도구만 소개하는 대신 경영·경제·과학철학을 구축해온 석학들의 공고한 이론으로 돌아가 AI 시대의 경영자가 무엇을 다시 질문해야 하는지 차분히 짚어보고자 했습니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길을 잃지 않기 위해 필요한 ‘초심의 좌표’를 사상가들에게서 다시 소환하는 시도입니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경제·경영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