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ompetitive Strategy in Practice

‘후발자 우위’ 전략이 빛을 발할 때…

문휘창 | 70호 (2010년 12월 Issue 1)

편집자주

전략 경영 이론의 의미와 배경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실전에서 기업이 피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전략 경영 분야에서 두드러진 연구 성과를 내온 문휘창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Competitive Strategy in Practice’ 코너를 통해 경영 전략 이론의 분석 틀과 그 올바른 활용법을 제시합니다. 고전 이론뿐만 아니라 최신 경영 이론도 함께 소개하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한국 경제는 지난 반세기 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1962년 경제 성장을 시작할 무렵 약 100 달러에 불과했던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15년 후인 1977년에 1000 달러로 늘었다. 1995년에는 1만 달러, 최근에는 2만 달러를 돌파했다. 50년도 채 안 되어 국민소득이 200배 증가한 나라가 한국인 셈이다. 필자는 국내외에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강의할 기회가 많은데, 이때마다 한국의 사례를 가장 좋은 경제 발전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실제 한국 기업의 발전전략을 자세히 살펴보면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은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 비해 기술은 떨어지고 중국과 같은 개발도상국보다 임금 수준은 높다. 어떻게 이 와중에 한국이 이렇게 괄목할 만한 성공을 이룩할 수 있었을까? 선진 기술을 빨리 습득하고, 임금이 싼 개도국에 해외 투자를 했기 때문이다. 즉 효율성을 높이면서 일을 재빠르게 처리하는 한국 특유의 경영 능력이 바탕이 됐다.

문제는 이 능력만으로 한국이 미래의 경영 환경에도 제대로 대처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점이다. 현재 IT(Information Technology), BT(Bio Technology), NT(Nano Technology) 이외에 CT(Cognitive Technology), GT(Green Technology) 등 세계적으로 새로운 기술 혁명이 대대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에 한국 기업들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이는 사실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고 국가의 문제다. 정부, 기업, 학자들이 함께 연구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한국 정부의 국가미래 기술지원 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다른 국가들과 비교 분석한 후, 한국 기업의 미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미래 기술 지원전략

한국의 미래 기술 지원 전략은 대통령이 위원장인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발표한 577전략에 기초하고 있다. 2012년까지 한국의 GDP 대비 미래기술에 대한 R&D 투자비율을 5%까지 확대, 주력 기간산업 및 신산업 창출을 위한 원천 기술과 응용기술을 중심으로 7대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세계적 과학기술인재 등 7대 시스템을 선진화해 2012년까지 과학기술 7대 강국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이다.

국무총리가 공동위원장인 녹색성장위원회에서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자원 관련 27대 중점 녹색기술 개발전략을 수립해 2020년까지 세계 7, 그리고 2050년까지 세계 5대 녹색기술 강국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기술 개발, 태양전지 기술, 바이오 에너지 기술 등의 융복합 기술이 모두 포함된다.

한국의 미래 기술에 관한 또 다른 중요한 기관은 기초기술 연구회다. 이 연구회는 정부설립 특별법인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13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육성 및 관리하는 기관이다. 설립 목적은 소관연구기관 및 산학연 간 협동연구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데 있다. 특히 국가적 미래기술사안 및 글로벌 이슈 대응을 위한 13개 연구기관이 함께 연구·개발할 수 있는 문제, 그리고 해결형 융복합 기술에 관한 연구를 중점 추진하고 있다.

, 한국 정부의 미래기술지원 전략은 두 가지의 큰 목표를 갖고 있다. 첫째, 세계 7대 또는 5대의 기술강국이 되는 것, 둘째,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즉 응용 또는 융복합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두 가지 목표가 과연 제대로 세워졌는가를 평가해보기 위해 우선 주요 선진국이 어떻게 미래 기술 지원 전략을 수립했는지 살펴보자.

선진국의미래 기술 지원전략

2001년 미국은 NT, BT, IT, CT의 융합 기술(Converging Technology)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 전략을 세웠다.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미래 신성장 동력 산업에 융합 기술을 활용하는 전략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융합 기술이란 크게 문화와 예술을 포함한 모든 학문 영역과 기술의 융합을 의미하지만 좁게는 과학 기술 간의 융합을 의미한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기초기술 확립이 잘 돼 있어 융복합 기술 발전이 가능하나 한국은 아직 기초가 약한 상태여서 융복합 기술에 지나친 중점을 두면 불안한 점이 많다.

이번 577 전략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융합 기술과 더불어 원천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1) 한국 정부는 R&D 평균 증가율 이상으로 투자를 확대해 2012년까지 국가연구개발(R&D)에서 원천 기술 연구 투자 비중을 50%까지 늘릴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비중은 크지만 절대적 액수에서는 아직 많이 부족한 게 사실이다.

일본의 사례를 보자. 일본의 총 연구비는 1681 3000만 달러 정도로 현재 우리나라의 5.66배를 투자하고 있다. 기초 연구에 대한 미래기술 전략도 우리와는 매우 다르다. 2006년도에 발표한 일본의 미래기술 전략의 기본인 ‘Innovation 25’에서는생기 있는 경제와 사회(vibrant economy and society)’를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기술투자의 중복과 낭비를 제거하겠다(Eliminate duplication or waste)’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일본은 응용 또는 융합 기술에 중점을 두기보다 오히려 기초에 충실하겠다는 속내를 드러내고 있다.

더 흥미로운 점은 일본이 다른 나라와 달리 기초(基礎) 기술이라는 단어 대신 기반(基盤) 기술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기반 기술은 기초 과학(basic science)과 분석 과학(analytical science)을 합한 개념이다. 특히 일본은 분석 과학에도 상당한 투자를 집행해 오랫동안 기술 경쟁력 기반을 다져 왔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일본이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많이 배출하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운 현상이다.(그림1) 과학 분야의 노벨상 수상자가 한 명도 없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일본에서는 1901년에서 1999년까지 5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특히 2000년부터 올해까지는 현재 미국 국적인 난부 요이치로를 포함해 무려 10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2000년대 들어 1년에 1명 꼴로 노벨상이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과학 분야에서 50년 동안 30명의 노벨상을 배출하겠다는 일본의 국가 과학전략인 ‘50-30 프로젝트의 역할이 컸다. 일본 정부는 기반 연구에 대한 투자를 국가적 인프라로 여겨 계속되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총 연구개발비의 약 40%를 이에 투자하고 있다.

노벨상의 의미는 학문적으로만 끝나지 않는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단순히 학문적으로 큰 공헌을 했기 때문이 아니라 오랫동안 상용화되고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을 발명했기에 이 상을 탄다. , 기초 기술이 원천 기술 및 응용 기술로 연결돼 경쟁력 있는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내는 밑거름이 된다는 뜻이다. 노벨화학상을 받은 스즈키 교수가 고안해낸 유기합성법은 액정표시장치(LCD)와 유기 전기발광소자(EL)등을 탄생시켜 현재 TV, 핸드폰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국가 전략은 물론 일본 기업 또한 기반 연구를 중요시한다. 도요타의 중앙연구소에는 기초 연구를 통한 비전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놨다. 첫째, 도요타 제품의 미래를 지탱하는 기초 기술 개발, 둘째, 도요타 제품의 개발 개량 등에 관한 기초가 되는 기술의 연구 개발, 셋째, 새로운 산업을 위한 기초 탐색이다. 세 가지 비전을 제시한 이유는 탄탄한 기반 연구가 선행돼야 새로운 파생 기술 및 혁신적인 응용 기술도 나오기 때문이다.

필자는 얼마 전 도요타 본사를 방문해 매우 인상적인 연구를 목격했다. 도요타 연구진들은도로 교차로에서 신호체계 없이 자동차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자유롭게 달릴 수 없을까를 연구하고 있었다. 얼핏 보면 말도 안 되는 이야기 같지만 실제로 현실에서는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음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바로 물 속에서 서로 부딪치지 않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물고기 떼들이다.

도요타 연구진들은 이 현상을자연의 지혜(Nature’s Wisdom)’라고 부르며 그 비밀을 캐기 위한 기초 연구를 하고 있었다.(그림2) 최근 리콜 사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 정도 수준의 기초 연구를 계속해서 상당한 기술을 축적한 도요타는 결코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문제는 기반 연구가 상당한 투자액과 시간을 요한다는 점이다. 때문에 한국 기업이 기반 연구보다는 파생 기술 및 융합 기술에 중점을 두는 일을 무작정 탓할 수도 없다. 문제는 국내 기업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응용 기술마저 주로 선진 기술 및 장비의 도입과 모방에 의존하거나 일부 특정 부문에서만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연구 개발 성과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응용 기술을 통한 국내 기업의 매출 성과는 좋을지 모르나 핵심 부품과 소재를 외국에서 수입하거나 기술 이전료(로열티)를 지불하는 바람에 완제품 매출액의 상당 부분이 해외 부품업체로 유출되고 있다.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인 LCD 산업의 소재 국산화율은 불과 30% 수준이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의 국산화율은 26%에 불과하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LCD TV 업체지만 LCD의 핵심 재료와 부품을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이게 바로 한국이 미국과 같은 선진국과의 교역에서 상당한 기술무역 적자를 기록하는 이유다. <2>에서 보듯 특히 대일 기술무역 적자가 엄청난 수준이다. 2006년 이후 대일 기술무역의존도는 꾸준히 증가해 2009년 부품소재부문 대일무역적자가 201억 달러에 달했다. 한국이 IT 강국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핵심 기술과 관련된 수입이 많아 이에 따른 기술 무역적자를 기록하는 IT 기술 약소국임을 부인할 수 없다.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떤 식의 미래기술 발전 방향을 정해야 할 것인가? 주요 선진국들은 고유의 특수한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기술에 주력한다. 일본은 자연재해가 많기 때문에 다른 나라보다 지진 관측 및 복구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 미국은 911테러 이후 국방 및 테러 관련 기술에 주안점을 두고 있고, 유럽은 환경 기술에 남다른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특히 눈 여겨 볼만한 나라는 싱가포르다.

싱가포르는 기술과 국제 경영 전략을 적절하게 결합시킨 좋은 사례다. 싱가포르는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 아직 뛰어난 기초 기술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몇 가지 기술 즉, 바이오, 의료 및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주변국들과 연결하는 통합 시스템을 발전시키고 있다. 이를 비즈니스에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비즈니스 생태계(business eco-system)를 구축했고, 해외 대학과 연구소, 기업들을 유치해 싱가포르의 부족한 기술력과 인력을 효과적으로 보충하고 있다. 금융과 비즈니스의 허브에서 이제는 과학 의료 기술의 허브로 도약하는 중이다. 과거 기술 발전(intelligent island)만 목표로 내세우던 싱가포르가 이제는 기술을 통한 국제 사회의 중심 국가(connected island)로 국가 발전을 꾀하겠다는 야심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의 시사점

그렇다면 한국은 어떤 기술에 주안점을 둬야 할 것인가? 바로 현재 한국의 주요 산업인 교통 관련 산업(조선, 자동차, 기계 등) 및 통신 관련 산업(컴퓨터, 반도체, 전자 등)과의 연관 기술이다. 최근 한국의 주요 대기업들은 잇따라 신성장 동력 사업들을 발표하고 있다. 하지만 핵심 역량과 동 떨어진 다른 분야로 진출하는 일은 매우 위험하다. 장래성이 아무리 높은 미래 산업이라 해도 자사의 핵심 사업과 관련한 분야로 진출해야 성공 가능성이 높고 지속가능한 경쟁력도 가질 수 있다. 물론 보충적으로 다른 산업도 따라줘야 관련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과 기술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국가적으로도 이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우선 각자의 독특한 기초 기술을 바탕으로 확실한 경쟁 우위를 확보한 후 다각화해야 미래 불확실성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기반을 다질 수 있다.

만약 한국의 주요 대기업들이 과거처럼남이 하면 나도 따라 한다라는미투전략(Me-too strategy)’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정한다면 많은 낭비는 불 보듯 뻔하다. 예를 들어 대다수 기업들이 모두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투자한다면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물론 어느 정도의 중복과 경쟁은 필요하지만 미래 첨단 산업의 기술은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 중복과 경쟁이 심하면 많은 비용을 치를 수밖에 없다. 때문에 무조건 선도자 우위(first-mover advantage) 전략을 추구하기보다 후발자 우위(late-comer advantage) 전략을 적절히 섞어 활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선도자로서의 시행착오를 우리 모두 겪을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기존 사업의 핵심 분야에서는 당연히 선도자가 돼야 하지만 관련 및 보조 분야에서는 후발자 전략이 유용할 때가 훨씬 많다.

필자가 DBR 63호에 기고한 <스티브 잡스, 작은 약점이 많은 장점을 가려요> DBR 66호에 기고한 <빌 게이츠, 또는 소비자가 원하는 기술>에서도 제시했듯, 스티브 잡스와 빌 게이츠의 경쟁력은 모든 기술 분야에서 독보적 경쟁력을 갖는 게 아니라 주요 기술 경쟁력 외에는 후발자 우위 전략을 적절히 사용한 데서 나왔다. 스티브 잡스는 그의 핵심 경쟁력인 디자인 기술을 중심으로 다른 기업의 기술을 적절히 조합해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만들었다. 빌 게이츠 또한 모든 기술면에서 경쟁력을 갖기보다 경쟁사들의 뛰어난 제품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는윈도 플랫폼을 표준화해 윈도 제국을 건설했다.

결국 우리나라 기업들이 미래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한 효율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경쟁력 있는 주요 분야를 강화하고 확장시켜야 한다. 한국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한다면 선도자의 우위를 노릴 수 있다. 둘째, 경쟁력이 없는 관련 및 보조 분야에서는 오히려 후발자 우위 전략을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관련 없는 분야에서 무분별하게 선도자의 우위를 노릴 경우 오히려 많은 비용을 치르기 때문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융합 기술시대에는 무엇보다도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분야와 없는 분야를 정확히 구별해 선도자와 후발자 우위를 선택적으로 노리는 일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속시키는 방안이다.

따라서 응용 기술에만 지나치게 치우치거나 단순히 시장 선점을 위해 원천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비를 늘리는 일은 미래 기술의 기반 연구를 고도화하는 데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정부는 국내 기업의 연구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577과 같은 국가적 목표 하에 산학연이 협력할 수 있도록 경영환경을 조성하고, 올바른 기술 전략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본과 같이 튼튼한 기반 연구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응용기술과 신산업도 창출해야 한다. 비핵심 영역에서는 싱가포르와 같은 에코 시스템 환경을 조성해 해외 기업, 연구소와 학교를 유치, 우리나라 기업들과 학계가 후발자 우위를 효과적으로 누리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게 바로 한국이 진정한 기술 강국으로 도약하고 동북아시아의기술 및 비즈니스 허브가 되는 방법이다.

문휘창 교수는 미국 워싱턴대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워싱턴대, 퍼시픽대,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헬싱키 경제경영대, 일본 게이오대 등에서 강의했다. 주 연구 분야는 국제경쟁력, 경영전략, 해외직접투자, 문화경쟁력 등이다. 현재 국제학술지편집위원장도 맡고 있다. 다수의 국내외 기업, 말레이시아 및 두바이 정부, 세계은행(IBRD)과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등 국제기구의 자문을 담당했다.

 

  • 문휘창 문휘창 | - (현)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 (현) 국제학술지 편집위원장
    - (전)미국 워싱턴대, 퍼시픽대,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헬싱키 경제경영대, 일본 게이오대 등 강의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