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기술의 획기적 발전을 가져온 것은 도시 전체를 쑥대밭으로 만든 19세기 후반 미국 시카고 대화재였습니다. 중세 흑사병 참사는 노동력 감소로 인한 농민들의 임금 상승과 교회 권위의 약화를 불러와 봉건제를 무너뜨린 촉매제가 됐습니다. 참담한 비극을 불러온 재앙이 역사 발전의 계기가 된 것입니다. 세계 경제가 지금 충격과 공포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재앙이 역사의 경로를 어떻게 바꿀지 알 수 없습니다. 분명한 것은 재앙 속에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려는 리더의 위대한 노력은 지속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위기의 한가운데 동아비즈니스리뷰(DBR)는 구매 혁신을 제안합니다. 직접적이고 강력한 원가절감 효과뿐 아니라 제품과 서비스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전환을 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구매 혁신의 비법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구매 역량이 부상하고 있다. 구매는 최종 제품의 품질과 가격에 결정적 역할을 끼친다. 구매는 특히 최근 환율 급등과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기업에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경쟁력 강화 대안을 제시해 준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이마트 등 구매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는 대표 기업들의 혁신 사례를 분석했다.
삼성전자의 개발·구매 협력 시스템
이미 1990년대 초부터 우수 인력을 구매 부서에 전진 배치한 삼성전자는 국내 기업 구매 혁신의 모델로 불린다. 삼성전자는 e프로큐어먼트(e-procurement) 등 IT 인프라의 전사 구축을 완료한 현재 구매 혁신의 다음 단계로 전략구매 부문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새로운 구매 혁신의 핵심은 구매 부서가 개발 초기 단계에 참여해 원가절감 및 부품 최적화 효과를 달성하고, 협력업체와 구매 및 물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개발·구매 협력 시스템(PES)을 구축했다. PES는 개발 부서와 구매 부서가 제품 개발의 초기 단계부터 공동으로 부품 정보 관리와 공급업체 선정 등을 하는 것이 핵심이다. 개발 및 구매 부서의 협력은 경쟁력 있는 부품 과 업체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시판 이전부터 제품의 원가 경쟁력을 높이고 △제품 설계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궁극적으로는 개발 기간을 줄여 제품을 적기에 시판하는 장점이 있다.
삼성전자는 이를 위해 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 구매 부문이 반드시 참여하도록 업무 절차를 시스템화했다. PES는 구체적으로 개발과 구매의 공동 목표 수립 → 부품의 글로벌 소싱과 최적화를 위한 제안 활동 → 경영진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성과관리 → 공용성이 높은 최적의 부품을 선정하는 평가체계 등 4개 핵심 요소로 이뤄진다. 삼성전자는 2004년 프로세스 설계에 착수했으며, 지난해 국내 전 사업장에 설치가 완료됐다.
PES는 실제 현장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삼성전자 컴퓨터시스템 사업부는 본사 구매전략팀과의 협업을 통해 컴퓨터 시장에서 적기 제품 생산과 개발기간 단축이란 성과를 냈다. 컴퓨터는 제품 라이프사이클이 6∼12개월로 짧으며 부품 수가 2000개가 넘어 적기 시판이 매우 어렵다. 심지어 새 부품 조달이 늦어져 신제품을 팔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김재묵 삼성전자 구매전략팀 전략소싱그룹장은 “PES의 성과는 개발 초기 단계에 공용성이 높은 최적의 부품을 선택하는 ‘원칙’과 ‘프로세스’ 덕분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은 회장직에 취임하자마자 협력사와의 상생과 구매 혁신의 상충된 관계를 두고 “구매는 (상생까지 고려하는) 예술의 경지에 이르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LCD 총괄은 협력업체와 상호 협조해 부품과 공급망을 개선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부품 개선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자주연구회’의 운영이다. 자주연구회는 삼성전자가 기술 전문가를 협력회사에 파견하고, 이들이 협력업체 담당자들과 태스크포스팀(TFT)을 만들어 부품을 개선하는 활동을 한다. 예전에 삼성전자에 LCD 섀시를 공급하는 업체는 총 4개였다. 기존에는 각 업체의 섀시 두께와 치수가 달랐지만 자주연구회 프로젝트를 통해 섀시의 표준화가 이뤄졌다. 이는 도요타자동차와 협력업체와의 상생모델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