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영조와 정조를 통해 본 리더십

영조와 상극인 어사 박문수 독설 퍼붓고도 총애 받았다

노혜경 | 163호 (2014년 10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 HR, 인문학

영조와 박문수의 관계는 조선시대를 통틀어 가장 불가사의한 관계였다. 영조는 결코 호락호락하거나 관용적인 왕이 아니었다. 그런 영조에게 박문수는 독설에 가까운 직언은 물론 거침없는 막말도 서슴지 않고 해댔다. 그런데도 영조는 박문수를 총애했다. 영조가 박문수를 귀히 여긴 까닭은 무엇일까. 바로 박문수의 성품이 영조와 상극이었기 때문이다. 영조는 자신과 정반대의 성향을 가진 박문수야말로 진정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아줄 수 있는 참모라고 생각했다. 오늘날보검의 손잡이역할을 할 참모를 찾고자 하는 리더들이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대목이다.

 

 

편집자주

영조와 정조가 다스리던 18세기는 조선 중흥의 시대라 불립니다. 하지만 이런 타이틀은 결코 쉽게 얻어진 게 아닙니다. 노론과 소론 간 권력 투쟁이 극에 달했던 시기에 즉위한 두 왕은 군왕의 소임이란 특정 당파의 이익을 대변하는 게 아니라 도탄에 빠져 있는 조선과 백성을 위해 있는 자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당시로선 너무나 혁명적인 선언인 탓에 수많은 방해와 반대에 직면했지만 이들은 포기하지 않고 자신들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지혜와 용기, 끈기로 무장해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끌어 낸 두 임금, 영조와 정조의 기록을 통해 진정한 리더의 자질에 대한 통찰을 얻어 가시기 바랍니다.

 

어사 박문수는암행어사 출두야!” 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르는 이름이다. 암행어사의 이미지는 권력에 굴복하지 않고 불의와 타협하지 않으며 탐관오리를 처벌해 약한 자를 돕고 억울한 사람을 구해주는, 한마디로조선시대판 슈퍼 히어로. 변장을 하고 보통 사람처럼 지내다가 갑자기 히어로로 변신하는 점도 비슷하다.

 

역사 속 실존인물인 박문수는 사실 암행어사를 한 적이 없다. 다만 영남안집어사, 영남감진어사, 북도진휼사, 관동영남균세사 등 일반어사 임무를 띠고 파견된 적은 있다. 일반어사의 임무는 암행어사의 임무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탐관오리를 조사하고 처벌하는 게 아니라 국왕이 지정한 임무를 시행하는 것인데, 거의 흉년이 들어 굶주린 백성을 구휼하는 것을 감독하는 임무였다.

 

암행어사 박문수의 이야기는 일제 때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설에서 유래됐다. 저자는 누구인지 알 수 없다. 그렇다면 작자미상의 저자는 왜 자신의 작품의 히어로로 암행어사를 한 적도 없는 박문수를 선택했을까? 이름 모를 저자는 역사에 대해, 혹은 박문수에 대해 상당한 지식이 있었던 것 같다. 박문수는 암행어사 경력은 없었지만, 슈퍼 암행어사에게 꼭 필요한 특별한 자질과 성격을 소유하고 있었다.

 

직언을 넘어 독설도 서슴지 않았던 박문수

박문수는 영조 때의 인물이다. 영조가 왕세제로 책봉됐을 때 세자시강원 설서로 임명되면서 영조를 보필하게 됐다. 세자시강원은 세자를 교육하는 기관이고, 설서는 세자의 교육과 관리를 담당하는 가정교사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박문수는 당시 보통의 관료들에게서는 보기 힘든 아주 특별한 개성과 성격의 소유자였다. 일단 겁이 없고 당당했다. 왕명도 틀렸다고 여러 번 거부하다가자신은 길들일 수 없는 산짐승과 같다라고 말하며 사직서를 내고 낙향하기도 했고 파직된 적도 있다. 영조가 박문수의 고집을 꺾는 데 실패하자경의 고집은 정말 큰 병이다라고 탄식했다는 일화도 있다. 한번은 박문수가 고집을 꺾자경도 고집을 꺾을 때가 있는가?”라고 말하며 영조가 말렸다고 한다.

 

말하는 태도도 거침이 없었다. 영조가 왕위에 오른 뒤에도 영조 앞에서 고개를 쳐들고 말하는 유일한 신하였다. 원래 조선은 왕을 하늘처럼 받드는 나라였다. 신하가 왕 앞에서 얘기할 때에는 왕을 감히 쳐다보지 못하고 얼굴을 땅에 대고 얘기했다. 심지어 왕을 가르치는 경연 자리에서도 코를 마루에 대고 사서삼경을 강론해야 할 정도였다. 그런데 박문수는 영조 앞에서 꼿꼿하게 고개를 쳐들고 말했다. 고개를 쳐드는 정도가 아니었다. 요즘도 높은 분들 앞에서 이야기할 때는 단어를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박문수는 왕에게 말할 때도이건 경종과 전하가 당파 사람들 손바닥 안에서 놀아난 꼴입니다” “대신이 무식해서 그렇습니다라는 말을 할 정도로 거침이 없었다. 사관이 말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 왕이 손바닥 안에서 놀아났다거나 누가 무식하다는 표현은 조선시대에 탄핵감이었다. 실제로 탄핵도 여러 번 당했다. 이 정도가 아니었다. 영조에게 듣기 싫은 소리도 마구 했고 농담에 우스갯소리까지 겁 없이 해댔다. 심지어 영조와 서로 상기된 얼굴빛으로 목소리를 높여가며 언쟁을 벌이거나 비아냥거리기까지 하는 막장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조선시대 국왕과 신하의 대화 장면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을 정도였다.

 

이런 박문수를 보며 주변 사람들은 공포에 떨었다. 영조는 결코 호락호락하거나 관용적인 왕이 아니었다. 영조가 탕평군주로 알려져 있고 조선시대의 명군 중의 한 명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영조는 당연히 인자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영조는 예의범절을 굉장히 따졌던 인물이며 의식이 조금만 틀리거나 자세가 조금만 잘못된 것을 발견하면 즉시 처벌하고 심지어 파면하기도 했다. 대화에도 상당히 예민했다. 머리가 비상해서 사소한 말에도 트집을 잡아 신하들을 처벌하는 경우가 많았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노혜경hkroh68@hotmail.com

    - (현) 호서대 인문융합대학 교수
    - 강남대, 광운대, 충북대 강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 덕성여대 연구교수
    - <영조어제해제6> 저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