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Interview: 조너선 레빈 체이널리시스 공동 창업자 겸 CEO

“AI 에이전트와 융합될 스테이블코인
규제-보안 리스크 넘으면 엄청난 잠재력”

장재웅 | 425호 (2025년 9월 Issue 2)

스테이블코인이 거래소 보조 수단을 넘어 결제·정산 인프라로 확산되면서 아시아는 거래와 유동성, 미주는 결제·송금·탈중앙 금융 등으로 활용이 다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준비자산, 환매, 브리지 보안 등 전통 금융과 기술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온체인 데이터 기반의 사전 탐지와 주소 동결 같은 집행력이 신뢰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스테이블 코인의 도입은 게임·SaaS 같은 디지털 네이티브 산업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무역·제조 등 전통 산업은 파일럿을 거쳐 표준화와 확산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르고 있다. 나아가 낮은 수수료, 즉시 정산, 프로그래머블 속성 덕분에 스테이블코인은 AI 에이전트 기반 기계 간 결제의 최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이 암호화폐 거래소의 경계를 넘어 실물경제 영역으로 진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세와 함께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불법 활동의 온상이 될 수 있다는 디스토피아적 우려도 커지고 있다.

가장 심각한 우려는 전통 금융 시스템을 위협하는 잠재적 리스크다. 총발행량이 2000억 달러에 육박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이미 웬만한 중견 국가의 경제 규모를 넘어선 상태다. 만약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 1위 업체인 테더(USDT)에서 준비금에 문제가 발생해 대규모 환매 사태, 즉 ‘디지털 뱅크런’이 일어난다면 어떨까. 글로벌 경제는 돌이킬 수 없는 파국을 맞을 수밖에 없다. 테더가 준비금으로 보유한 수백억 달러 규모의 미국 단기 국채를 시장에 급하게 내다 팔기 시작하면 이는 미국 단기 자금 시장의 금리를 급등시키고 금융시장 전체에 충격파를 던질 수 있다. 또한 준비금 자산의 만기와 스테이블코인 부채의 만기가 일치하지 않는 ‘만기 불일치’ 문제는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이 겪어온 위험과 본질적으로 같다.

국가 통화 주권에 대한 정면 도전 역시 피할 수 없는 과제다. 특정 개발도상국에서 국민들이 자국 화폐를 불신하고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일상적인 거래와 저축 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면 해당 국가의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조정과 같은 전통적인 통화 정책의 영향력을 상실하게 된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