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sed on “How do CEOs seek advice from CMOs vs. CTOs in radical innovation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2025) by Ralf Wilden, Nidthida Lin, Francesco Chirico and Saad Khan in Research Policy, Volume 54, Issue 10.
급진적 혁신을 추진할 때 CEO가 누구의 조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혁신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맥쿼리대 경영대학 연구진은 호주 내 CEO 570명을 대상으로 실험과 설문, 심층 인터뷰를 병행해 이들의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했다. 특히 최고마케팅책임자(CMO)와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상반된 조언을 제공하는 상황에서 CEO가 어떤 선택을 내리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봤다.
연구 결과, 기술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CEO는 CTO의 조언을 우선적으로 따르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CTO가 찬성하는 프로젝트는 CMO가 반대하더라도 선택되는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CEO가 기술 실행 가능성과 확장성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보여준다. 반면 시장 불확실성이 높을 때 CMO의 조언이 CEO의 혁신 결정에 영향을 줄 것이란 예측과 달리 실제로는 유의미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기술 기반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장 가능성만으로는 혁신 결정을 내리기 어렵다는 CEO들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더 흥미로운 점은 외부 전문가의 조언이 내부 조언자의 영향을 증폭시킨다는 사실이다. CEO가 CTO 또는 CMO의 조언을 따르더라도 동시에 외부 전문가의 조언을 함께 수용할 경우 혁신 성과가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기술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는 CTO와 외부 기술 전문가의 조언을 모두 반영한 경우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고 시장 불확실성이 큰 경우에는 CMO와 외부 시장 전문가의 의견을 결합한 전략이 효과적이었다. 이는 기업 내부의 조언이 종종 제한된 정보나 조직 내부의 관성에 기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외부 시각이 CEO의 판단을 보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급진적 혁신이라는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CEO가 단순히 조직 내 조언자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을 넘어 어떤 조언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판단 능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내부와 외부 조언의 조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CEO가 조직 내외의 정보 네트워크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혁신 성공의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줬다. 이처럼 급진적 혁신은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나 기술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결국 혁신의 성패는 CEO가 어떤 조언을 듣고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Copyright Ⓒ 동아비즈니스리뷰.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