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DBR Column

Leader가 Reader가 돼야 하는 이유

이진용 | 423호 (2025년 8월 Issue 2)
조직 안팎에서 ‘문해력(Literacy)’을 둘러싼 소리 없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사흘’을 4일로, ‘금일(今日)’을 금요일로 오해하는 웃지 못할 사례는 더 이상 청소년만의 문제가 아니다. ‘심심(甚深)한 사과’에 담긴 깊은 유감의 뜻을 헤아리지 못하고 글자 그대로의 ‘지루함’으로 받아들이는 현상은 세대 간 의사소통 단절이 심각하다는 신호다. 이런 문해력의 위기는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2024년 와이즈앱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1위는 카카오톡을 제친 유튜브(월평균 약 42시간)로 전 연령대가 영상 콘텐츠에 압도적인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2023년 통계청 사회조사는 13세 이상 인구 절반 이상이 연간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않는 ‘독서 절벽’의 현실을 보여준다. 텍스트를 통한 깊이 있는 사고와 정보 습득 능력의 저하가 가속화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더 큰 문제는 최근 리더 그룹의 연령대가 낮아지면서 사회 전반의 지적인 문해력 저하 현상이 리더십에도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급변하는 기술과 시장 트렌드를 담은 신조어에 어두워 전략적 논의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을 종종 목격한다. 최근 동종 업계 리더들과 함께하는 모임에서 가장 뜨거운 화두는 단연 AI(인공지능)다. 하지만 많은 리더가 ‘지브리풍 이미지 생성’과 같은 피상적 유행만 알고 있을 뿐 비즈니스의 판도를 바꿀 ‘AI 에이전트(AI Agent)’나 ‘피지컬 AI(Physical AI)’와 같은 핵심 패러다임에 대해 무지했다. 이는 곧 다가올 미래의 비즈니스 기회를 선점할 기회를 놓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리더의 지적 무관심은 단순한 소통의 불편함을 넘어 조직의 생존을 위협하는 ‘전략적 리스크’로 직결된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개인의 신념과 취향을 소비에 반영하는 ‘가치 소비’가 거대한 흐름이 됐음에도 많은 기업이 여전히 가격 경쟁력이라는 낡은 프레임에 갇혀 있다. 윤리적, 환경적 가치를 도외시한 전통적 세일즈 방식은 이제 예기치 못한 브랜드 위기의 도화선이 되고 있다.

리더의 자리는 과거의 성과에 대한 보상이자 인정이다. 그러나 그 자리에 안주해 지적 성장을 멈추는 순간, 리더십은 유효기간을 다하게 된다. 더 높은 단계로의 성장은 고사하고 현상 유지조차 버거워지는 것이 냉혹한 현실이다.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기술과 개념이 쏟아져 나오는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학습은 선택이 아닌 리더의 가장 중요한 책무다.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같은 기술 용어는 물론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미코노미(Me-conomy)’와 같은 소비 트렌드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시대에 맞는 의사결정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이끌었던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모든 독서가가 리더는 아니지만 모든 리더는 반드시 독서가다(Not all readers are leaders, but all leaders are readers)”라는 말을 남겼다.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던 안중근 의사의 결의, “하버드 졸업장보다 소중한 자산은 독서 습관이었다”는 빌 게이츠의 고백은 시대와 분야를 초월한 진리다.

결국 성공적인 리더십의 본질은 ‘읽고, 배우고, 적용하는’ 과정의 즐거움과 효용성을 아는 데 있다. 리더의 서재가 채워지고 지적 자본이 축적될 때 조직의 미래가 밝아질 것이다.
  • 이진용

    이진용

    스와치그룹코리아 ‘해밀턴’ 브랜드총괄

    서강대에서 영문학과 경제학을 전공하고 로레알코리아, 아모레퍼시픽, 리치몬트 등 뷰티와 럭셔리 업계에서 일하면서 세일즈와 마케팅 전문성을 쌓았다. 현재 스와치그룹코리아에서 해밀턴 브랜드를 총괄하고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