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The Economics of Well-Being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저스틴 폭스 | 111호 (2012년 8월 Issue 2)




편집자주
이 글은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 2012 1-2월 호에 실린 저스틴 폭스(Justin Fox)의 글 ‘The Economics of Well-Being’을 전문 번역한 것입니다. ⓒ 2012 Harvard Business School Publishing Corp

 

돈이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국가의 성공을 측정하는 데 있어 돈은 상당 기간 유일한 기준이었다. (물론 스포츠보다는 낫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한 국가의 경제적 산출량을 달러로 환산한 GNP(Gross National Product·국민총생산)가 구체적인 기준으로 사용됐고 GDP(Gross Domestic Product·국내총생산)가 그 뒤를 이었다.

 

국력을 평가하는 데 가장 오래 사용됐던 군사력보다는 한층 발전된 기준이다. 그리고 GNP GDP 시대는 전 세계적인 생활수준의 향상 및 부의 증가로 대변된다.

 

그러나 현재 GDP는 공격당하고 있다. 경제학자와 국가 지도자들이 국가의 위상을 다른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그 기준으로행복이라는 애매모호한 개념까지 언급된다. 2008년 니콜라 사르코지(Nicolas Sarkozy) 프랑스 대통령이 GDP를 대체할 새로운 기준을 연구하라고 지시하면서 2009년부터 관련 연구가 시작됐다. 연구는 경제학자 아마르티아 센(Amartya Sen)과 조셉 스티글리츠(Joseph Stiglitz), -폴 피투시(Jean-Paul Fitoussi)가 주도했고 이는 곧 전 세계적으로 확대됐다. 2011 10월에는 세계 선진국 클럽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회원국의 행복 지수를 측정한당신의 삶은(How’s Life)?”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민간 경제연구기관 레가툼 연구소(Legatum Institute) 2007년부터 경제지수와 그 밖에 다른 다양한 지수를 결합해 만든 세계번영지수(Prosperity Index)를 매년 발표하고 있다. 개별 국가 또한 이런 흐름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가장 선두에 선 사람은 데이비드 캐머런(David Cameron) 영국 총리다. 그는 자국 행복 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국가적 계획을 발표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미 수십 년 전에 도입된 GDP 대체 기준도 있다. UN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나 부탄에서 GDP GNP 대신 내세우며 최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국민총행복(Gross National Happiness·GNH)’ 지수가 그 좋은 예다.

 

기업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듯 경영은 측정 대상을 관리하는 행위다. GDP 대체 지수에 대한 논의가 비현실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중요한 의사결정 집단이 대체 기준을 논의한다면 이는 결국 경제 정책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기업의 경영회의실에서도 성공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을 논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행복을 측정하기 위한 노력이 어떻게 시작됐고, 어디로 향할지 탐구하는 것은 그만한 의미가 있다. (성과 측정 기준의 확대가 경영의 우선순위를 어떻게 바꾸는지에 대해서는 같은 호 66쪽에 실린 크리스토퍼 메이어(Christopher Meyer)와 줄리아 커비(Julia Kirby)의 기사고삐 풀린 자본주의(Runaway Capitalism)’ 참조)

 



행복 계산에서 GDP까지

‘행복’의 개념은 1781년 공리성(utility) 개념을 수립한 영국 철학자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에서 시작한다. 벤담은 특정 행동의 유익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 행동이 가져온 행복의 양, 즉 공리성을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에는 계몽사상이 유행하고 있었고 사상가들은 의사결정과 삶의 기준을 종교에 기반한 사회적 관습에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지침으로 바꾸고자 했다. 벤덤은 행동의 결과로 생긴 행복을 측정할 때 12가지 고통(감각적 고통, 어색함의 고통 등) 14가지 쾌락(친목의 쾌락, 부의 쾌락 등)을 조화시킨 계산법을 제안했다.

 

공리성의 개념은 널리 전파됐지만 공리를 성취하기 위해 벤담이 내세운 방식은 호응을 얻지 못했다. 서로 다른 사람의 쾌락과 고통을 계산해서 비교하는 작업 자체가 너무 어렵고 복잡했기 때문이다. 이에 벤담이 내세운 개념을 가장 열렬히 수용했던 경제학자들은 대신 인간의 필요와 욕구에 대한 구체적 표현 방식, 다시 말해어디에 돈을 쓰고 싶어 하느냐에 초점을 두기 시작했다.

 

이 작업은 1930년대 들어서면서 극에 달했다. 특히 폴 사무엘슨(Paul Samuelson)은 행복 경제학을 순수한 수학적 개념과 용어로 풀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그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미국의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Simon Kuznets)와 영국의 리처드 스톤(Richard Stone) GNP GDP의 도출 기반이 된 국가 회계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들은 공리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다. 정책 입안자들이 전쟁이나 금융위기 기간에 국가 경제를 잘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 그러나 단순하고 확실한 지표가 개발되면서 소비 패턴이 경제의 모든 상황을 보여준다는 경제학자의 확신이 커졌고 이것이 갈수록 확대된 경제학자의 영향력, 권위 등과 합쳐지면서 변화가 시작됐다. 1940년대 설립된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과 세계은행(World Bank) GNP를 주요 경제성장 지수로 채택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GNP는 성공과 복리(well-being)를 나타내는 대표 지수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단기적 경제 변화를 측정하는 원래 목적만 두고 봤을 때 GDP가 조만간 다른 기준으로 교체될 가능성은 낮다. GDP의 활용처는 오히려 확대될 것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와 중앙은행 사이에서 위기 때 인플레이션이 아닌 GDP 성장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문제를 두고 논의를 계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의 단기 변동을 넘어서 시각을 확대하면 상황은 훨씬 복잡해진다. “GNP는 대기오염과 담배 광고, 고속도로 사고를 수습하기 위한 앰뷸런스 출동까지 포함한다.” 로버트 K 케네디(Robert F. Kennedy) 의원이 1968년 대선에 도전하면서 한 연설이다. “대문에 특수 자물쇠를 채우는 일, 이를 부수고 들어간 사람들을 잡아 교도소에 집어넣는 일, 삼나무 삼림이 파괴되는 일, 난개발 속에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사라지는 일도 GNP는 포함한다. 그러나 우리 아이들의 건강,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질, 아이들이 놀면서 느끼는 즐거움은 GNP에 포함되지 않는다.”

 

당시에는 케네디 의원의 비판이 그리 주목받지 못했지만 지금은 그의 발언이 아주 유명해졌으며 그도 그럴 만하다. GDP에 대해 제기될 만한 비판을 간결하게 담고 있기 때문이다. 세 가지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DP는 자체적으로 결함이 있다. (2) GDP는 지속가능성이나 연속성을 측정하지 못한다. (3) 성장이나 개발은 다른 기준으로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세 가지 쟁점을 자세히 살펴보자.

 

측정의 오류. GDP 지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선택할 사항이 많다. 게다가 합리적인 선택을 하더라도 결과는 왜곡될 수 있다. 통계학자들은 당연히 거래 대상이 된 재화 및 서비스를 계산에 포함하는 것을 선호한다. 시장 가격으로 가치를 쉽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격이 지불되지 않는 경제 활동은 그 가치를 추정해야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가사 노동이다. 가사 노동은 상당한 경제적 중요성을 갖고 있지만 GDP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의료보험 제공과 같은 정부 프로그램이나 여가 생활의 가치 등은 일반적으로 평가 절하된다. 반면 GDP에 포함되더라도 추산의 기준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주택 소유자가 자신의 주택을 보유하지 않을 경우 얼마를 지불할 용의가 있는지 추산하는 귀속 임대료(imputed rent)는 미국 GDP의 약 10%를 차지하기도 한다.

 

GDP의 또 다른 불가피한 자의성은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GNP에서 GDP로 전환되면서 발생했다. GNP는 한 국가 국민의 소득을 계산했다. 그 사람이 어디에서 돈을 버는지는 신경 쓰지 않았다. 글로벌 교역과 투자가 늘어나면서 고용이나 산업 생산 등 순수 국내 지수와 GNP를 조율하는 일이 점점 어려워졌다. 그러자 자국 내 생산량만 측정하는 GDP로의 전환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그런데 GDP로의 변화는 상당 국가의 성장 궤도를 변형시키기 시작했다. 외국인직접투자가 높은 개도국의 경우 GNP보다 GDP가 훨씬 빠르게 증가한다. 그러나 GDP 증가의 혜택은 주로 다국적 기업으로 돌아가지 국민에게 가지 않는다.

 

지속가능성. 케네디 의원의 발언이 명확히 보여주듯 GDP는 국가의 부를 늘리는 경제 활동과 자연 자원 파괴(삼나무 벌목)나 질병, 공해(향후 처리 비용 발생), 재해 및 사고를 수습하기 위한 활동(앰뷸런스)을 구분하지 못한다. 이런 지속가능성(환경 등의 분야)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추정이 필요하다. 녹색 GDP라 불리는 새로운 지수를 주창한 경제학자 조셉 스티글리츠(Joseph Stiglitz)는 지속가능성 추산이 현재 GDP에 포함된 다른 추산치보다 더 부정확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자원 고갈과 지속가능성을 계산하는 일은 꽤 쉬운 편이라고 최근 필자와의 인터뷰에서 말하기도 했다. 에너지 사용이나 공해를 추적하는 일이 엄청나게 어려운 것은 물론 아니다. 그러나 이를 허용하기 위한 정치는 아주 까다롭다. 클린턴 행정부는 집권 초기 미국 GDP를 측정하는 상무부 경제분석국(Bureau of Economic Analysis)에 녹색 GDP 지수를 개발하라는 지시를 내린 적이 있다. 그러나 웨스트 버지니아주 의원이 나서서 이를 제지했다. 지역구 경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석탄 산업이 타격을 받을까 우려했기 때문이다. 중국 또한 녹색 GDP를 추진해서 상당한 진전을 이룰 뻔했으나 반대 세력의 저지에 의해 결국 좌초되고 말았다.

 

다른 측정 기준. 삶에서 가치를 갖는 많은 것들이 GDP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 하지만 이런 가치들은 건강이나 교육, 정치적 자유 등의 다른 지수를 통해 측정 가능하다. 아마르티아 센은 1980년대부터 GDP에 포함되는상품(commodities)’ GDP에 반영되지 않는역량(capability)’과 구분하기 시작했다. 수년 뒤, 센은 대학 친구 마흐붑 울 하크(Mahbub ul Haq)가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 자신의 생각을 실행에 옮길 수 있었다. 센이 연구를 통해 내놓은 결과는 GDP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제안 중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울 하크는 1970년대 로버트 맥나마라(Robert McNamara) 세계은행 총재의 수석자문관이었다. 1980년대에는 파키스탄의 재무 장관을 지냈고 1989년에는 UN 개발계획(Development Programme·UNDP)에 합류했다. 그는 파키스탄을 비롯한 빈국들이 GDP로만 측정되는 성장을 달성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점에 답답함을 느꼈다. 그래서 발전 정도를 좀 더 잘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만들어 센을 비롯한 저명 경제학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연구진은 기대수명이나 교육 성취 등 전 세계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는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GDP를 대체할 측정 기준을 만들기로 했다. 그리고 측정 숫자들을 하나로 모아 국가별 순위를 매길 수 있는 간단한 지수를 만들었다. 이렇게 구체적인 결과물을 뽑아낸 데는 마흐붑 울 하크의 기여가 컸다.

 

“마흐붑에게이봐, 자네는 복잡한 현실을 GDP 같은 하나의 수치로 나타내는 일이 얼마나 저급한지 충분히 알지 않나라고 말했다. 그러자 그가 다시 전화해서 이렇게 말했다. ‘아마르티아, 자네 말이 맞아. 인간개발지수를 만드는 일은 분명 저급해. 나는 GDP처럼 저급하지만 더 나은 가치들을 대변할 수 있는 지수를 원해. 그것을 만드는 일에 함께해 주게’”라고 센은 UNDP와의 인터뷰에서 회상했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인간개발지수는 1990년에 처음 발표됐다. 1인당 GDP에서 명실상부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던 미국이 이 지수에서는 일본과 캐나다, 호주, 유럽의 일부 작은 국가들보다 떨어지는 10위를 기록했다. 또한 스리랑카와 베트남, 중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는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무게감보다 훨씬 우월한 생활수준을 보이며 두각을 나타냈다. 인간개발지수는 현재 개도국 사이에서 국가 위상을 보여주는 주요 지수로 사용되고 있다. 아직 주요 지수는 바뀌지 않았지만 매년 발간되는 인간개발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는 지속가능성이나 소득 분배 등 다양한 지수를 소개한다. 가장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은 인간개발지수 4위로 올라섰지만불평등을 반영한 조정 지수에서는 23위에 그쳤다.

 

인간개발지수의 성공으로 수많은 모방 지수가 뒤를 이었다. 단일 항목만 포함된 헤리티지 재단(heritage Foundation)경제자유지수(Index of Economic Freedom)’와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를 비롯해 행복의 포괄적 항목을 모두 포함한 레가툼 연구소의세계번영지수(앞서 언급)’ 등이 있다. 충분한 통계역량과 시간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우선순위에 맞는 지수로 국가별 순위를 비교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OECD 웹사이트에 가면 통계 기술이 없는 사람도 자신에게 어떤 지수가 가장 중요한지 결정하고 개인화된 지수에 따라 전 세계 국가 순위를 찾아주는 프로그램이 있다. (내 지수에서는 호주가 1위를 했다.)

 



행복의 수량화

다양한 수치를 입력해 하나의투박한지수를 만들어내는 방식이 불만스럽다면 같은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시할 더 나은 방법을 찾으면 된다. 1990년대 말, 수십 년간 개도국에서 의술을 실천한 한스 로슬링(Hans Rosling)은 스웨덴 캐롤린스카 연구소(Karolinska Institute)에서 세계 보건 강의를 맡았다. 자신이 목격한 개도국 발전의 복잡한 면모를 보여주기 위해 애쓰다가 그는 예술가였던 아들과 며느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들은 함께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이후 이 소프트웨어는 구글에 인수됐다). 이 소프트웨어는 서로 다른 지수의 통시적 추이를 보였다. 로슬링이 거침없는 스포츠 아나운서 중계톤으로 해설을 곁들인 이 소프트웨어는 믿기 어려울 만큼 설득력 있는 GDP 대안을 제공했다. 얼마나 설득력이 있냐고? 2006 TED를 통해 로슬링이 한 강연은 지금까지 380만 번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

 

경제 및 기타 분야에 관한 자료를 단 하나의 수치나 순위보다 다양한 지수를 함께 볼 수 있는 계기판(dashboard)을 통해 보다 잘 파악할 수 있게 하자는 생각은 전문가나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이전부터 오가던 이야기였다. 사르코지 대통령이 지시한 2009년의 GDP 대안 보고서를 보면계기판이라는 말이 무려 78회 등장한다. 그러나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은 것은계기판이 아니라 29번밖에 등장하지 않은 말, ‘행복이었다(심지어 대부분은 참고문헌 목록에 수록됐다).

 

이는 그리 놀라운 결과가 아닐지 모른다. 제러미 벤담이 활동했던 그 옛날부터 행복은 최대화해야 할 대상이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심리학자와 사회학자들은 과연 행복을 정량화할 수 있을지 재점검했는데 당시 대중의 마음을 가장 잘 보여주는 연구 방식으로 각광받던 여론조사(최종 결정의 근거로 사용되기도 했다)가 도구로 가장 많이 활용됐다.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Richard Easterlin) 1974년 행복에 관한 토론을 경제학에 접목해 국가행복지수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가 1인당 소득과 상관성이 낮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같은 국가 내에서는 부유층이 빈곤층보다 전반적으로 더 행복했지만 부자 나라라고 반드시 가난한 나라보다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주장이었다. 게다가 일단 특정 수준을 넘어서면 소득 상승은 행복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를 지칭하는이스털린의 역설이 즉각 다른 경제학자의 관심을 끌지는 못했다. 그러나 심리학 연구 결과를 심각하게 분석하는 행동 경제학이 최근 새롭게 부상하면서 행복과 복지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기 시작했다. 이는 부탄 사례로 한층 더 활발해졌다. 부탄은 1970년대 국왕 지그미 싱그에 왕추크(Jigme Singye Wangchuck)가 즉위한 직후 국민총행복(GNH)을 논하기 시작한 나라다. 1987 <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와의 인터뷰에서 왕추크 국왕은 자신의 견해를 전 세계에 알렸고 이후 많은 사람들이 행복 순례를 위해 부탄을 방문하기 시작했다. 고무된 왕추크 국왕은 GNH를 개발 지수 및 여론 조사를 통해 측정 가능한 구체적 대상으로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행복 연구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스털린의 역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결과도 나오기 시작했다. 수십 년간의 설문조사 결과를 재평가한 경제학자 벳시 스티븐슨(Betsey Stevenson)과 저스틴 울퍼스(Justin Wolfers) 2008년 이스털린의 역설에서 부유한 국가의 국민들이 빈국 국민보다 행복하지 않다는 부분을 반박했다. 이들은 소득의 증가가 특정 수준을 넘어서면 행복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이스털린의 주장을 완전히 뒤집지는 못했지만 주장과 다른 증거를 제시하며 이는 분명히 결론을 내릴 수 없는 문제라는 점을 지적했다. 다른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현재의 삶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 묻는 설문조사와 특정 시기 응답자의 감정적 상태에 집중한 설문을 명확히 구분 짓기 시작했다. 전자에 대한 답은 소득과 긴밀히 연관되지만 후자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심리학자이자 선구적 행동경제학자인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오바마 행정부 경제자문위원회(Council of Economic Advisers) 경제 수석 보좌관을 맡고 있는 경제학자 앨런 크루거(Alan Krueger)는 미국의국가시간계정(national time accounts)’ 개설을 개발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2003년부터 실시한 시간활용 조사 결과를 경제 가치 및 행복 측정 결과와 종합해서 수치화한 계정이다. 노동통계청이 사용하는 정밀한 수치계산법을 행복에 적용하되 다른 단위, 다시 말해(minutes)‘을 기준으로 삼는다는 생각이다. 이 새로운 기준의 좋은 점은 이익집단이 반대할 어떤 구실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경제분석국(Bureau of Economic Analysis)의 추진 의지에 따라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경제분석국 관료들이 공동 작성한 2010년 논문을 보면 GDP의 개념을 확대하려는 시도는비시장(non-market) 및 근시장(near-market) 활동의 경제적 면모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이들 상호작용이 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된다. 또한 새로운 계정을 만든다고 하더라도기존 GDP 계정을 유지, 업데이트,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을 희생시키면서까지 해당 지수를 만들어 GDP의 측정 범위를 넓혀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돈으로는 행복을 살 수 없다. 그러나 행복을 측정하는 능력은 살 수 있을지 모른다.

 

번역 |우정이 woo.jungyi@gmail.com

 

 

 

저스틴 폭스 (Justin Fox)

필자는 <죽은 경제학자들의 만찬(The Myth of the Rational Market)>의 저자이자 <하버드비즈니스리뷰> 그룹의 편집 디렉터다.

  • 저스틴 폭스 | - <죽은 경제학자들의 만찬(The Myth of the Rational Market)>의 저자 - <하버드비즈니스리뷰> 그룹의 편집 디렉터.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