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EO를 위한 인문고전 강독

초과 에너지로 인한 재앙 막으려면…

강신주 | 43호 (2009년 10월 Issue 2)
19세기 이후 산업자본주의의 발달로 우리는 ‘생산’과 ‘축적’의 신화를 갖게 됐다. 부단히 생산해 부를 축적하고, 그 부를 토대로 다시 새로운 것을 생산해야 한다는 말이다. 이러한 끊임없는 생산과 축적은 인류 발전의 원동력으로까지 추앙받는다. 우리 사회가 근면하게 일하는 사람과 소득을 낭비하지 않는 사람을 높이 평가하는 이유도 여기서 비롯된 것 같다.
 
그런데 이러한 우리의 생각은 과연 타당할까? 부단한 생산과 축적으로 인류는 무한히 발전할 수 있을까? 바로 이 때문에 철학자 조르주 바타유(1897∼1962)를 주목해야 한다. 그는 이례적으로 생산과 축적보다는 ‘소비’와 ‘낭비’가 더 중요하다고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흔히 바타유를 ‘에로티즘의 철학자’라고 일컫는다. 그는 “금기가 없다면 에로티즘도 없다”면서 에로티즘이 문화적, 사회적 차원이라고 주장했다. 금기란 문화적, 사회적 층위이기 때문에 인간의 에로티즘은 동물적인 성행위와 다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과잉 에너지의 비극
바타유의 진정한 중요성은 그가 ‘생산’과 ‘축적’의 신화를 해체했다는 데 있다. 무슨 이유로 그는 남들이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을 비판했던 것일까? 그의 말을 직접 들어보자.
 
지표면의 에너지 작용과 그것이 결정짓는 상황 속에서 살아가는 유기체들은 원칙적으로 삶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받아들인다. 그때 초과 에너지는 체계의 성장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그 체계가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다면, 또한 그 초과분이 그 체계의 성장에 완전히 흡수될 수 없다면, 초과 에너지는 기꺼이든 마지못해서든 또는 영광스럽게 재앙을 부르면서든 간에 반드시 대가 없이 상실되고 소모돼야만 한다. - <저주의 몫>
 
바타유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자본주의 문명을 생태학적 시선으로 바라봐야 한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자신의 힘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다. 물론 인간도 예외가 아니다. 다른 식물이나 동물과 마찬가지로 인간도 다른 유기체를 잡아먹고 공기와 물을 마셔야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들의 궁극적인 에너지다. 그것은 바로 태양으로부터 나온다.
 
바타유는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가 항상 과잉이라고 지적한다. 이것은 태양 에너지가 지구상의 생명체들이 필요로 하는 것 이상으로 지구에 도달하고 있음을 뜻한다. 그래서 지구상의 모든 유기체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초과된 에너지, 즉 이 과잉된 에너지를 처리해야 한다. 물론 바타유가 말했듯 이 초과된 에너지를 체계의 성장에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체계의 성장이 멈췄을 때 생긴다. 바타유가 다음과 같은 의문을 던진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만약 그 체계가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다면, 또한 그 초과분이 그 체계의 성장에 완전히 흡수될 수 없다면 과연 어떻게 될까?”
 
간단한 예로 어떤 아이에게 너무 많은 음식을 준다고 하자. 이 아이는 결국 과잉 영양분을 섭취하는 셈이다. 일단 아이는 과잉 영양분을 자신이 성장하는 데 이용할 것이다. 그리하여 다른 아이보다 덩치와 키가 더 커질 것이다. 과잉 에너지를 체계의 성장에 잘 이용한 모범적 사례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계속 과잉 영양분을 공급해준다고 해서 이 아이가 무한히 자랄 수 있을까? 체계에 흡수되지 않은 에너지는 아이를 뚱뚱하게 만들고, 아이의 몸을 지탱하고 있는 뼈는 얼마 지나지 않아 비만을 감당하지 못할 것이다. 그럼에도 계속 영양분을 과잉 섭취한다면 아이는 끝내 죽음을 맞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아이는 이런 비극적 상황에 빠져들지 않을 수 있을까? 대답은 단순하다. 아이는 어떻게 해서든 자신 안에 쌓인 과잉 에너지를 계속 바깥으로 배출해줘야 한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