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퍼슨(Key Person) 보험’이 있다. 유명 할리우드 배우나 스포츠 선수들이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드는 보험이다. 신체가 가장 중요한 재산인 연예인이나 운동선수가 이런 보험에 가입하는 것은 이상하지 않다. 하지만 기업 경영자에게도 이런 보험이 필요할까? 한국에서도 키 퍼슨 보험에 가입한 최고경영자(CEO)가 있다. 바로 송명림 파맥스 오길비 헬스월드 대표다. 1997년 헬스케어 전문 마케팅&리서치 업체 파맥스를 설립한 송명림 대표는, 2007년 파맥스를 다국적 광고회사인 오길비&매더 그룹에 매각했다.
당시 오길비는 2가지 조건을 내걸었다. 인수 후 최소 5년간 파맥스 오길비 헬스월드의 경영을 송 대표가 계속 맡아야 하며, 그녀의 업무 능력과 관련해 100만 달러 이상의 보험을 들어야 한다는 조건이었다. 제약업계 마케팅 분야의 베테랑인 송 대표의 능력을 믿고 회사를 인수했기 때문에, 그녀의 신상 변화에 대한 위험관리를 철저히 하겠다는 의미였다. 그만큼 송명림 대표의 능력을 믿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송 대표가 걸어온 길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안전지대 탈출’이다. 이화여대 약대를 졸업한 그녀는 대학 졸업 직후 결혼했다. 약사이자 교수 부인으로 편안한 삶을 살 수도 있었지만, 끊임없이 새로운 일에 도전했다. “사회가 정해놓은 틀을 깨는 걸 두려워하지 않아야 도약할 수 있다”는 송 대표의 성공 비결을 분석했다.
제약 마케팅 분야에 몸담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많은 한국인들이 그렇듯 저도 부모님의 권유로 약대에 갔
습니다. 하지만 약국 개업이나 병원 및 제약회사 근무라는 천편일률적인 약사의 직능이 전혀 제 가슴을 뛰게 하지 못했어요. 어렸을 때부터 예술에 관심이 많아 대학교 4학년 때 약사 시험 준비와 대학원 준비를 병행했습니다.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에 진학했는데 정말 좋더라고요. 아이디어는 결국 틀을 깨는 과정에서 나오잖아요. 남들이 다 옳다는 걸 부정하면서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시간이 행복했던 거죠. 대학원 졸업 후에는 남편이 있는 캔자스대로 가서 사진 전공으로 예술사(art history) 석사 학위를 받았어요. 어른들이 하지 말라는 일만 계속한 셈이죠.(웃음) 부모님과 기성세대가 생각하는 안전지대에는 한 번도 발을 들여놓은 적이 없습니다.
졸업 후 계속 예술 관련 일을 하고 싶었지만, 아이가 갑자기 아파 1년 정도 쉬게 됐습니다. 이런저런 연유로 미국 약사 시험에 응시하려 했는데, 그 와중에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어요. 1992년 가족들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왔고, IMS 데이터라는 헬스케어 전문 리서치 업체에 입사하면서 이 분야에 발을 들였습니다. IMS와 다국적 제약회사 MSD를 거쳐 1997년 파맥스를 설립했습니다.”
의사, 약사들을 상대로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점도 많을 것 같습니다.
“의사, 약사, 간호사, 보건복지부 관계자 등 저희가 상대하는 분들이 다 전문직이다 보니, 확실히 일반인을 대상으로 할 때보다 힘이 듭니다. 의사들의 일상이 무척 고되잖아요. 쉴 틈 없이 바쁜 의사들을 붙잡고 저희 얘기를 하다 보면 문전박대를 당할 때도 많아요. 저도 사람이니까 처음에는 속으로 울컥할 때도 있었고 ‘나도 배울 만큼 배웠는데’라는 생각도 들었죠. 하지만 저의 궁극적인 고객은 제 눈앞에서 저를 무시하는 의사가 아니라 환자잖아요. ‘내 일은 기업의 영리만 추구하기 위한 게 아니라, 공공의 건강이라는 사회 공헌의 성격도 크다’고 생각하면서 제 자신을 추스르기 시작했어요.
아무 이유 없이 제게 화를 내는 사람 앞에서는 일단 수긍하는 게 최선책입니다. ‘화가 많이 나셨네요. 저번에 다른 회사의 직원이 약속도 없이 들이닥쳐 인터뷰를 요구했다고요? 제가 한 일은 아니지만 당연히 화가 나실 만하네요. 대신 사과드릴게요’ 이러면, 그분들도 ‘사실 내가 요즘 좀 힘들었다. 괜히 엉뚱한 사람에게 화를 냈다’고 미안해하면서 더 잘해줬습니다.
젊은 친구들이 그런 문전박대를 당하면 감정을 억제하지 못할 때가 있어요. 그럴 때 제 경험을 들려줍니다. MSD에 근무할 때, 한국에서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관심이 막 커지고 있었습니다. 그 일을 담당하면서 여의도 성모병원에 계신 의사와 얘기를 했는데, 그분이 알려주신 내용이 친정아버지의 증상과 비슷하더군요. 깜짝 놀라 아버지를 병원에 모셨더니 그 병이 맞았어요. 미국에서는 성인 남자의 사망 요인 중 전립선 암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습니다. 아버지는 수술 후 10년을 더 사셨어요.
제가 그 일을 안 했으면 아버지가 어떻게 되셨겠어요. 저는 미 항공우주국(NASA) 바닥을 걸레로 닦는 사람도 우주선 발사에 큰 기여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찬가지로 제 일도 공공 건강에 기여하는 거고요. 그 자부심으로 지금껏 버텨왔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