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셀러로 본 트렌드: 『자유부인』
1954년 1월1일부터 8월6일까지 서울신문에 한 소설이 연재됐다. 대학교수 장태연을 남편으로 둔 주부 오선영이 파리양행이라는 사치품을 취급하는 양품점에 취직하고, 젊은 남자 대학생과 ‘댄스’에 빠져 댄스홀에 들락거리기 시작한다. 급기야 양품점 주인의 남편과 불륜을 저지르다가 결국 남편에게 들켜 이혼의 위기에 몰린다는 줄거리다.
남편과 아이를 둘이나 두고도 가정에 만족하지 못하고 감히 ‘사회’에 진출해 ‘자유’를 만끽하려 한 여성이 주인공인 이 소설의 제목은 『자유부인(自由夫人)』이다. 소설은 “중공군 40만 명보다 더 무서운 해독을 끼치는 소설” “북괴의 사주로 남한의 부패상을 샅샅이 파헤치는 이적 소설”이라는 규탄을 받고, 실제 대학교수와 문학평론가, 변호사들이 이 소설을 둘러싼 논쟁에 뛰어들어 설전을 벌일 만큼 장안의 화제가 됐다.
‘자유부인’을 둘러싼 뜨거운 관심
‘베스트셀러(Bestseller)’라는 말을 문자 그대로 옮기면 ‘가장 잘 파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 말이 언제부터, 어떻게 ‘잘 팔리는 책’ 혹은 ‘잘 팔리는 상품’의 의미로 바뀌게 됐을까? ‘베스트셀러’란 말은 본래 1895년에 창간된 미국의 문예지 북맨(Bookman)이 ‘베스트셀링 북스(bestselling books)’라는 목록 아래 전국적으로 잘 팔리는 책을 조사, 발표한 데서 유래한다. ‘베스트셀링 북스’에서 유래한 ‘베스트셀러’라는 용어는 1920년대에 전 세계로 보급됐고, 이 확산 과정에서 책에 국한됐던 사용도 다른 상품으로 확대됐다.
한국에서 ‘베스트셀러’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한 것은 1945년 해방 이후부터다. 출판 사상 최초로 10만 권 판매를 돌파한 정비석의 『자유부인』이 바로 ‘베스트셀러’라는 말이 처음 적용된 소설이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