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Planning
편집자주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많은 직장인들은 ‘과연 내가 경력 관리를 잘하고 있는지’ 의문을 갖습니다. 인재 채용 및 경력 계발 전문 업체인 HR코리아가 실제 현장에서 체험한 일대일 코칭 사례를 토대로 경력 관리 수준 측정 및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합니다. 직장인 및 전문가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바랍니다.
국내 대기업인 A전자 해외영업1팀의 박정수(가명, 36세) 과장은 하루하루 힘들게 직장생활을 하고 있었다. 부푼 꿈을 안고 입사한 지 어느덧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자신은 많은 부속품 중 하나란 생각이 떠나질 않았다. 치열한 내부 경쟁을 하며 과장이란 자리까지 올랐지만 본인이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업무는 극히 드물었다. 꽉 막힌 의사결정체계와 조직원들과의 관계에 견디지 못한 그는 자유로운 분위기와 주도적으로 일을 해나갈 수 있는 곳을 찾아 이직을 결심했다. 업무성과나 스펙이 나쁘지 않았던 박 과장은 여러 기업에서 제안을 받았고 결국 외국계 B기업의 해외영업팀으로 이직했다. B기업은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조직문화가 자유로웠고 영업팀을 총괄하는 팀장으로 직급이 높아졌기에 많은 업무들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겠다는 기대감이 컸기 때문이다. B기업에서의 생활은 나름 만족스러웠고 경영진에게 능력도 인정받았다. 그러나 연봉이 불만족스러웠다. 대기업의 70% 수준의 연봉으로는 만족할 수가 없었던 그는 다시 이직을 결심했다.
예전 필자가 기업의 실무자급으로 근무하던 시절에는 처음 입사한 직장을 옮긴다는 것은 흔치 않았다. 자신의 실력이 없거나 큰 잘못이나 실수로 기업에 악영향을 미쳐 소위 ‘짤리는’ 일이 없다면 퇴직할 때까지 한 기업에 몸담고 있는 것이 미덕이고 실력이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도 리스크 부담을 줄이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용 유연성을 갖추기 시작했다. 직장인들도 능력을 인정받고 좋은 기회가 있을 땐 직장을 옮기는 것이 미덕인 시대가 왔다. 특히 최근 들어서 이러한 이직은 직장생활에 있어 보편화돼 가고 있다.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내로라하는 회사에 신입사원으로 입사한 직원의 절반가량이 3년 만에 회사를 떠난다. 필자가 몸담고 있는 HRKorea에도 하루에 수십 통의 새로운 이력서가 들어온다. 이직은 직장생활에서 누구나 한번쯤 심각히 고려할 만큼 경력개발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가 됐지만 자신의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확실한 경력목표가 없는 상태에서 진행하는 이직은 경력을 어지럽히고 오히려 가치를 떨어뜨릴 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직은 현 상황에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지만 자칫 어떤 곳에서도 만족하지 못하는 ‘파랑새 증후군’에 빠지게 할 수도 있다.
지금, 이직을 결심할 때
이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이밍이다. ‘설마 내가 어디 갈 곳이 없겠어?’ ‘지금 직장에서 너무 힘드니깐 일단 쉬면서 천천히 구해보자’ 등의 생각으로 아무 준비 없이 덜컥 사표부터 내면 금세 불안한 마음이 밀려든다. 이러한 불안함과 초조함이 심해지면 본래 본인이 목표했던 것과는 상관없이 ‘일단 어디든 들어가고 보자’식의 위험한 생각으로 이직을 준비하게 된다. 이렇게 진행한 이직이 본인에게 만족감과 경력발전을 제공할 리는 만무하다.
이직을 결심했다면 너무 여유를 부리는 것도 좋지 않다. 맡고 있는 업무의 연속성이나 회사의 내부 사정 등으로 이직이 여의치 않게 되거나 이직할 만한 좋은 자리를 놓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금이 이직을 할 때인지 아닌지 판단하려면 ‘목표’와 ‘환경’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비전이나 목표를 위해 도전해보고 싶은 일이 있거나 자신의 경력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 있다면 이를 위해 이직을 선택할 수 있다. 또 현재 기업의 경영환경이 악화돼 미래가 불투명하거나 현 업무에서 더 이상 발전이 없다고 판단된다면 이직을 고려해볼 만하다. 개인마다 이직을 결심하는 이유와 경우는 다르지만 현재 이직에 관해 고민하고 있다면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서 본인의 상태에 대해 대략적인 점검을 해보는 것도 좋겠다.
김 부장과 박 대리의 이직 성공기
체크리스트를 통해 이직을 결심했다면 이제 어떤 방법으로 이직 활동에 나서야 할지 확인할 차례다. 채용하려는 기업에서는 직급, 연차별로 후보자에 대해 원하는 역량의 요소들이 다르기 때문에 만능이 될 수 없다면 현재 자신의 위치에 맞는 역량들을 키워나가는 것이 성공적인 이직으로 가는 데 필요하다. 다음은 HRKorea에서 실제 진행했던 프로젝트들 중 연차별 대표적 케이스들을 뽑아놓은 내용이다. 아래 사례를 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게 응용해보고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보자.
임원급
업계에 대한 통찰력과 인적 네트워크를 길러라
외국계 기계설비업체인 L사는 국내 지사장으로 한재호(가명, 50세) 씨를 채용했다. 그는 소위 엘리트 코스를 밟은 것도, 대기업 경력이 있던 것도 아니었다. 심지어 CEO 경력도 전무했다. 그럼에도 그가 뽑힌 이유는 업계 전체를 볼 줄 아는 통찰력과 새로운 아이템을 발견해 사업화해내는 기업가 정신이 누구보다 돋보였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그가 CEO가 된 뒤 L사는 성장을 거듭해 국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됐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