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Mind Management

간절한 소망, 사람을 움직이는 힘

정현천 | 99호 (2012년 2월 Issue 2)

매년 이맘때면 사람들은 목표와 계획을 세운다. 한 해를 열두 달로 나누고 겨울이 한창 깊어지는 시기를 한 해의 끝과 새로운 한 해의 시작으로 정한 이상, 이는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사람들은 아무 계획도 없이 닥치는 대로 일을 하는 것보다 계획을 가진 상태에서 일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계획은 시간과 자원을 배분할 수 있게 해주고, 일이 원래 의도한 것처럼 제대로 진척돼 가는지 여부를 알게 해주며, 제대로 돼가지 않을 때는 반성도 하게 한다. 그래서 어떤 일을 시작할 때 사람들은 특정한 일이 아니어도 인위적으로 시작과 끝을 정하고 그 시작 지점에 특정 기간을 위한 계획을 세운다. 계획을 세울 때는 가장 먼저 목표를 정한다. 학생들이 공부 계획을 세울 때는 성적이나 상급학교 진학에 대한 목표를 정하고 가정에서는 더 나은 삶의 터전과 행복한 생활의 기초가 되는 집을 어느 수준에서 언제까지 장만하겠다는 등의 목표를 계획한다. 가정을 꾸리고, 2세를 갖고, 사업체를 세우고, 학위를 따고, 작품을 만들고, 진급을 하고, 건강을 유지하거나 회복하는 등의 온갖 목표가 갖가지 계획들의 기초가 되고 시발점이 된다. 기업이나 정부조직, NGO 같은 각종 조직들도 마찬가지다.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원을 할당하기 전에 목표를 먼저 설정한다.
 
간절한 목표가 가장 좋다
경영학의 대가 피터 드러커는 일찍이 1954년에 목표관리법(MBO·Management by Objectives)을 창안해 경영학계에 소개했다. 목표관리법은 종업원의 과업목표를 조직과 상사가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종업원이 상사와 함께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한 후 이에 대한 성과를 종업원과 상사가 함께 평가하는 제도다. 단순히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하고 공과를 나누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 제도는 조직목표와 개인목표가 잘 연계되도록 하고 참여자에게 목표달성을 위한 구속성과 참여 의식을 유발해 강력한 동기 부여가 이뤄지도록 한다. 조직 내의 구성원 간에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뤄지도록 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인정받았고 많은 기업들이 도입해 활용함으로써 큰 성과를 올렸다.
 
 
피터 드러커는 목표를 설정할 때 필요한 다섯 가지 원칙을 도출해서 이를 ‘SMART’ 원칙이라고 불렀다. 즉,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하고(S:Specific), 측정 가능해야 하며(M:Measurable), 달성 가능하면서도 도전적이어야 하고(A:Achievable), 결과 지향적이고(R:Results-oriented), 특정한 시간, 가급적이면 1년 이내에 처리할 수 있어야(T:Time-bound) 한다는 것이다. 이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개인의 자율성에 의해 통제 가능한 목표가 돼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목표실행의 수단도 직접 결정하고, 실질적인 계획을 개발할 수 있으며, 개인이 직접 성과를 주기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필요한 방향으로 행동을 수정하고, 미래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피터 드러커 이전에도 기업들은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작성했다. 그런데 왜 피터 드러커인가? 그것은 행동의 주체인 개인들을 목표설정에 참여시켰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이 피터 드러커 이전과 이후의 차이다. 조직의 일이라는 것도 실제로는 작업을 수행하는 각 개인들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므로 개인들이 참여해 직접 설정한 목표가 적절한 행동을 유발하는 데 훨씬 효과적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목표설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해당 개인에게 그 목표가 얼마나 제대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요한 요소는 바로 간절함 또는 절실함이다. 사실 간절함이야말로 사람들을 움직이는 가장 큰 원동력이다. 아무리 ‘SMART’의 요건을 잘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개인에게 간절함이 떨어지는 목표가 설정되면 개인을 참여시킨 효과는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푸석돌에 불 난다’는 속담이 있다. 단단하지 않고 푸석푸석한 돌도 부싯돌이 돼 불을 일으킬 수 있는 것처럼 바라는 바가 간절하면 불가능해 보이는 일도 이뤄질 수 있다는 뜻이다. 연못에 돌멩이 하나를 던져놓고 찾으라고 하면 찾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런데 돌멩이가 아니라 다이아몬드 한 조각이 연못에 빠져 있다고 하면 어떨까? 그 다이아몬드 한 조각으로 며칠간 배를 곯고 있는 식구들을 먹일 수 있거나, 등록금 때문에 자식을 대학에 보내지 못한 가장이라면 기어코 찾아낼 것이다. 무엇 때문일까? 간절함은 들리지 않는 소리를 듣게 해주고, 눈에 띄지 않는 것을 구별할 수 있게 해주며, 머리칼 한 올이 몸에 닿는 것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넘을 수 없는 담장을 뛰어넘을 수 있게 해주고 먼 거리를 한달음에 달릴 수 있게 해주며, 기억 속에 깊이 묻혀 있던 것들을 떠올릴 수 있게 해주고, 도저히 해낼 수 없을 것 같은 복잡한 계산도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런 일들은 지금 우리가 갖고 있는 지식과 과학으로는 제대로 설명하기 힘들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일들이 현실에서 가끔씩 일어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안다. 간절함은 다른 무엇보다도 더 강한 무기가 돼 우리가 목표를 달성하게 해준다. 그러므로 가장 좋은 목표는 간절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가장 하고 싶은 일, 가장 간절하게 원하는 일을 먼저 해야 한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