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왕이 묻고 신하가 답하다

“경(經)을 지키면서 편의(便宜)를 구해야”

김준태 | 367호 (2023년 04월 Issue 2)
편집자주

‘왕이 묻고 신하가 답하다’ 코너의 연재를 마칩니다. 필자는 조만간 새로운 연재로 다시 독자 여러분을 만날 예정입니다.

Article at a Glance

정해진 매뉴얼을 따르기 어렵거나 원칙을 지킬 수 없을 때 많은 사람이 ‘상황’을 내세운다. 하지만 원칙과 상황은 공존 가능하다. 원칙을 지키되 상황에 맞게 융통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마음’이다. 마음이 바로 서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법을 만들어도 아귀가 맞지 않아 합치하지 않고, 훌륭한 제도를 도입해도 서로 어그러져 시행하기 어려워진다. 마음이 올바르고 사사로운 욕망이나 편견에 빠져 있지 않고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다면 원칙과 상황도 균형 있게 조화시켜 나갈 수 있다.



흔히들 ‘원칙’과 ‘상황’이 상충한다고 생각한다. 정해진 매뉴얼을 따르기 어렵거나 규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을 때, 대부분 그 이유로 내세우는 것이 ‘상황’이다. 하지만 과연 원칙과 상황은 공존할 수 없는 단어일까? 1694년(숙종 20년)에 시행된 별시문과(別試文科)에서 숙종은 “자신은 나라와 백성을 위해 ‘시의(時宜)’1 를 확보하려고 근면하게 노력하고 있는데 왜 성과가 없는지”를 물었다. 그리고 그 원인이 “자신이 원칙을 지키지 못해서인지 아니면 현실에 맞게 보다 적극적으로 융통성을 발휘하지 못해서인지”를 질문했다.

이에 대한 권이진(權以鎭, 1668~1734)2 의 대책을 살펴보자. 권이진은 송나라 때 학자 여대림(呂大臨)의 말을 인용하는 것으로 답안을 시작한다.

“이천(伊川) 선생은 다스림은 반드시 상법(常法)으로 해야 한다고 하셨고, 명도(明道) 선생은 일을 조치할 때는 편의(便宜)가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3

국가를 경영하는 데 있어서 이천은 원칙을 고수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명도는 현실에 맞게 편리한 방향을 찾으라고 주문했다는 것이다. 얼핏 두 사람의 주장이 어긋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권이진은 이천의 말과 명도의 말이 서로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이어지는 권이진의 발언이다.

0047

가입하면 무료

  • 김준태akademie@skku.edu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필자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