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Food & Biz

국제시장 ‘꽃분이네’엔 없고 ‘1공구 실비집’엔 있는 것은?

문정훈 | 226호 (2017년 6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영화 ‘국제시장’으로 유명해진 국제시장은 실제 가보면 딱히 소비할 콘텐츠가 없다. 영화에 나온 ‘꽃분이네’를 제외하고는 관광객들의 발길을 끌어모을 만한 장소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국제시장은 그동안 이른바 ‘먹거리’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관광객들의 지갑을 열지 못했다. 그러나 외지인들은 절대 모르는 국제시장 내 ‘히든 플레이스(Hidden Place)’가 있으니 바로 ‘제1공구 실비집 골목’이다. 이곳에서는 그날그날 부산에서 가장 신선한 재료로 만든 전통 부산 요리를 아주 싼 가격에 맛볼 수 있다.



영화 ‘국제시장’으로 스타 브랜드가 된 부산 국제시장 내에 위치한 잡화점 ‘꽃분이네’는 관광명소로 떠올랐다. 많은 이들이 꽃분이네를 보러 국제시장에 들르지만 국제시장이 ‘꽃분이네’로 얻은 경제적 파급효과는 그리 크지 않다. 그리고 이제는 그 약발도 떨어져서 꽃분이네는 서서히 잊혀가는 존재가 되고 있다.

국제시장을 비롯한 모든 재래시장들이 대형마트, 편의점들과 경쟁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해왔다. 시작은 재래시장 현대화 사업으로 일컬어지는 하드웨어적 인프라 투자다. 각 재래시장 상인회는 지자체와 정부의 지원금, 자체 투자를 통해 비와 햇볕을 피할 수 있는 아케이드를 씌우고, 바닥에 보도블록이나 타일을 깔고, 화장실을 정비하며, 상점의 간판이나 외관도 훌륭하게 개선하고 있다. 더 여유가 있는 곳은 주차장 시설까지 구비하고 있다. 시장별로 차이는 있지만 앞서 나가는 쪽은 이런 인프라의 현대화를 통해 고객 편의성 확보를 달성한 곳들이 꽤 있다. 이를 달성한 재래시장들이 고민하는 것은 추가적인 고객들을 확보할 만한 콘텐츠를 갖추는 것이다.

경복궁 인근의 통인시장은 ‘엽전 도시락’이라고 하는 콘텐츠로 관광지로서 확실한 입지를 굳혔다. 통인시장에서 엽전 한 닢은 500원으로 환전되는데 엽전으로 환전하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도시락통을 고객에게 지급한다. 고객들은 도시락통을 들고 다니면서 통인시장 내에 30여 개에 달하는 엽전 도시락 가맹점에 들러 엽전 한 닢 또는 두 닢, 즉 500원에서 1000원을 내고 각 가게의 음식을 다양하게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국제시장은 ‘꽃분이네’라는 매력적인 콘텐츠를 보유하고도 통인시장처럼 소비자의 지갑을 열지 못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국제시장과 꽃분이네

부산 남포동 국제시장의 대표적인 콘텐츠 ‘꽃분이네’의 약발은 강렬했으나 약효가 그리 길지 못했다. 그 콘텐츠는 관객들이 영화 속에서 소비할 수 있는 콘텐츠였지, 현장에서 고객들이 경험으로 소비할 수 있는 콘텐츠는 아니었다. 많은 이들이 꽃분이네를 보러 왔지만 국제시장은 시장을 찾은 관광객 중심의 고객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현실의 콘텐츠가 부족했다. 국제시장을 찾았던 관광객들은 인근의 자갈치시장이나 부평동 깡통골목 시장으로 이동해 실제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들을 소비했다. 자갈치의 신선한 수산물과 깡통골목 시장의 어묵 가게들은 타지인들의 눈을 휘둥그레지게 만드는 훌륭한 콘텐츠다.

국제시장은 말 그대로 잡화 시장이다. 한국전쟁 시절에 형성된 오래된 형태의 ‘전쟁 중 백화점’이다. 전쟁 후 흥망성쇠를 거쳐 지금의 모습으로 살아남았다. 국제시장은 6개의 공구(구역)로 나누어져 있고, 공구별로 상점의 특성이 대략 정해져 있다. 예컨대 3공구엔 의류가 많고, 6공구엔 조명가게가 많다. 포목점이 있고, 기계 공구를 파는 곳이 있으며, 수의를 파는 곳도 있다. 그러나 국제시장에서 찾기 어려운 것이 있다면 바로 ‘먹을거리’다. 꽃분이네를 슬쩍 둘러본 관광객들은 인근을 둘러보고는 ‘소비할 것’이 없다고 판단하고 국제시장을 떠난다. 그 유명한 부산 씨앗호떡도 없고, 비빔당면도 없으며, 부산에서 흔하디흔한 어묵 가게 하나 없다. 그래서 다들 인근 시장으로 흩어져 나간다.

그래서 국제시장은 관광객들에게 별로 재미없는 곳이다. 부산을 방문한 관객들에게 중요한 것은 부산의 음식인데 국제시장에는 먹을 것이 없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관광객들의 눈에는 보이지가 않는다. 하지만 오후 4시가 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국제시장의 가장 끄트머리에 있는 1공구 한쪽의 어두운 골목, 별로 들어가고 싶지 않게 생긴 고담시티의 뒷골목 같은 후미진 곳에 사람들이 두 명씩, 세 명씩 들어가기 시작한다.



국제시장 제1공구, 실비집 골목

만약 연세 지긋한 토박이 ‘부산 아재’들 사이에서 ‘오늘 저녁 술이랑 삼겹살을 먹을까’ ‘회를 먹을까’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남포동에서 벌어진다면 “마, 실비집으로 가자”로 결론이 날 확률이 상당히 높다. ‘실비’는 마진이 적어 저렴하다는 뜻이지만 부산 국제시장에서 실비집은 단지 싸다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국제시장 제1공구의 가장 구석진 골목, 관광객들은 감히 들어가겠다는 생각을 하기 어려운 이 어두운 골목 안에 모여 있는 대여섯 개의 가게들은 모두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입구 앞을 높은 담으로 막아 놓았다. 그래서 가게 안쪽이 보이지 않아 무언가 더 은밀하게 느껴지고, 또 골목은 더 어두워진다. 오후 4시인데도 이 골목 안은 밤 9시처럼 느껴진다. 이 위화감을 잠깐 이겨내고, 정문을 막고 있는 거대한 담 옆쪽으로 과감하게 돌아 들어가 보자. 아무 가게라도 좋다.

그러면 곧 비밀이 풀린다. 담 뒤편은 주방이고, 주방 뒤편에 있는 문을 열고 들어가면 ‘진짜 항구 도시 부산’이 등장한다. 좁은 공간에 진짜 부산 아재들이 모여 앉아 술과 함께 진짜 부산 음식을 먹고 있다. 좁은 식당 공간 때문에 주방은 가게 바깥으로 나와 있다. 또 ‘셰프의 레서피’를 근처 경쟁자들에게 노출하지 않기 위해 이 가게의 오너 셰프인 ‘아지매’는 담 뒤에서 조리한다. 국제시장 1공구의 모든 실비집이 이런 식이다.

20230629_145802

실비집에 들어가면 일단 놀란다. 바깥은 어두운데 안은 밝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메뉴판이 없다. 정말 아무것도 없다. 손님을 반기는 홀 직원도 없다. 당황한 기색을 보이지 말고 친구들과 빈 테이블에 앉는다. 그럼 담 뒤의 작은 주방에서 숨어 있던 아지매가 슬쩍 들어와서 우리를 무심하게 살핀 뒤 그냥 다시 나가 버린다. 그리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그게 정상이니 당황하지 말고 기다리자. 내가 사용할 젓가락이나 챙기며 친구와 수다를 떨면 된다.

그리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오너 셰프 아지매가 다시 들어 와서 식탁 위에 음식을 올려놓기 시작한다. 손님과 특별히 대화를 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소주 한 병과 맥주 두 병을 놓고 나간다. 그러고 나면 자, 이제부터 우리의 시간이다. 술과 함께 진짜 부산의 음식을 먹는다. 화려하지도 않고, 특별한 기교를 부린 조리법도 없다. 부산에서 난 좋은 재료의 맛을 술과 함께 즐기면 된다. 또 조금 있으면 음식을 더 갖다 준다. 아마 조리 시간이 조금 더 걸리는 조개탕류나 생선구이류일 것이다. 식탁이 가득 차기 시작한다.

20230629_145810


이제 슬슬 가격이 걱정된다. 걱정할 것 없다. 술 세 병을 포함해 가격은 3만 원이다. 물론 1인당일 리가 없다, 이곳은 ‘실비’집이니까. 한 명이 와도 3만 원, 두 명이 와도 3만 원, 세 명이 와도 3만 원, 네 명이 와도 3만 원이다. 음식의 양도 변하지 않는다. 여섯 명부터 여덟 명까지는 두 배, 6만 원이다. 음식의 양도 두 배다. 다섯 명이면? 아지매와 잘 협상해 보시라.

이후 내가 주문할 것은 오로지 술밖에 없다. 맥주 한 병에 3000원. 우리 테이블에 술병이 적당히 늘어나고 음식이 어느 정도 줄어드는 것을 아지매가 눈치채면(물론 반드시 눈치챈다), 알아서 식탁 위에 음식 접시를 하나씩 하나씩 채워 준다. 물론 공짜다. 왜냐고? 실비집이니까. 무엇이 식탁 위에 올라올지 손님들은 알 수 없다. 아지매의 기분과 오늘 부산에서 가장 싱싱한 식재료가 무엇인지에 따라 정해진다. 자기가 원하는 음식을 아지매에게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사람은 딱 정해져 있다. 아지매가 인정하는 단골뿐이다.

국제시장상인회에선 앞으로 이 어두컴컴한 골목에 있는, 아재들만 다니는 실비집을 관광 콘텐츠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고 한다. 관광객들이 원하는 부산만의 콘텐츠가 부족한 국제시장에서 아주 차별화된 전략적 선택을 한 것이다. 하지만 만약 관광객들을 위해 어두컴컴한 골목이 환해진다거나, 외관 개선을 위해 허름하게 가려 놓은 실비집의 담을 허무는 결정을 하게 된다면 실은 그것이 오리지널 부산은 아닌 것이 될 것이다. 관광객들은 언제나 ‘오리지널’을 원하지만 진짜 오리지널이 불편한 것이라면 거부한다. 그래서 공급자는 ‘수정된 오리지널’을 제시할 수밖에 없다. 그전에 한 번 더 가봐야겠다. 국제시장 제1공구 가장 어두운 골목의 실비집에서 가장 부산다운 항구의 음식을 즐기러….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부교수·Food Biz Lab 연구소장 moonj@snu.ac.kr

문정훈 교수는 서울대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KAIST 경영과학과를 거쳐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에서 식품 비즈니스를 연구하고 있다. 국내외 주요 식품기업과 연구소를 대상으로 컨설팅하고 있으며 주 연구 분야는 식품산업 기업전략, 식품 마케팅 및 소비자 행동, 물류 전략 등이다.
  • 문정훈 문정훈 | - (현)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부교수
    - (현) Food Biz Lab 연구소장
    - KAIST 기술경영학과 교수
    moonj@snu.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