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itary vs. Business Strategy
Article at a Glance - 인문학,전략
교훈 적의 약점에 내 강점을 들이밀어라 전쟁 사례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제로센’의 월등한 기동성에 고전을 면치 못했던 연합군은 당시 주력기인 ‘와일드캣’의 후속 모델인 ‘헬캣’ 개발 시 중무장 및 빠른 상승/하강속도가 가능하도록 개발 방향을 선회. 조종석 주위에 방탄판도 없고, 연료통 보호장치도 없으며, 하강속도 역시 취약한 제로센의 약점을 공략할 수 있는 신형 전투기 설계로 제로센을 제압 경영 사례 1970년대 미국 오토바이 시장에 진출한 일본 업체들은 할리데이비슨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성능과 품질, 가격으로 1980년대 시장을 장악. 위기에 빠진 할리데이비슨은 가장 ‘미국적인 것’에 호소하며 1950∼1960년대식 복고풍을 강화해 소비자들에게 어필, 회생에 성공 |
편집자주
전략은 원래 전쟁에서 생겨난 말입니다. 전략의 이론은 중국의 <손자병법>부터 시작해서 19세기 독일의 클라우제비츠에 이어 20세기 영국의 리델 하트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에 걸쳐 정립되고, 또 실전에서 적용돼 왔습니다. 그만큼 경영전략은 실제 전쟁사례에서 교훈을 얻을 점이 많습니다. 현장형 경영전략 전문가인 김경원 박사가 전쟁 사례로부터 얻은 전략적 교훈이 어떻게 실제 경영사례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소개합니다. 역사 속에 존재하는 전쟁 사례를 통해 의미 있는 경영 전략의 지혜를 얻어가시기 바랍니다.
기업 전략을 수립할 때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있다. 획기적인 신제품 출시 등 경쟁사의 공세를 대응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경쟁사가 강점을 가진 부문에 자사가 경쟁력을 갖추진 못한 부문으로 대응하면서 낭패를 보는 경우다. 예를 들자면 특정 기술에 강한 경쟁사의 신제품에 빨리 맞대응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자사의 취약한 기술력은 생각지도 않은 채 비슷한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 식이다. 차별화되지 않는 유사 제품에 기술력까지 열악하니 경쟁에서 이길 리 만무하다.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이기려면 적의 강점에 내 약점으로 대응하는 대신 적의 약점에 나의 강점을 들이밀어야 한다. 바로 <손자병법>에 나오는 피실격허(避實擊虛)다. 적을 공격할 때 방비가 견고한 곳을 피하고 방비가 허술한 곳을 치라는 뜻이다. 실제 전쟁에서 이와 같은 원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이런 원칙이 경영 현장에선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자.
전쟁 사례
제로센을 이긴 헬캣
1941년 말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태평양전쟁이 시작되고 나서 약 반 년의 기간 동안 미군은 바다뿐 아니라 공중에서도 어려운 싸움을 하고 있었다. 특히 일본의 신예기인 ‘제로센(零式)’에 아군의 주력기인 ‘F4F 와일드캣’이 열세를 면치 못했다. 당시 전투기 간 공중전의 승패를 좌우하는 요인은 기동성(maneuverability)’이었다. 전투기끼리 뒤엉켜 싸우는 공중전에서 기동성이 더 좋은 비행기가 결국에는 적기의 꼬리를 잡아 후방에서 기관총을 사격하면 결판이 나는 식이었다. 제로센은 당시 세계 최고 수준의 기동성을 자랑했다. 와일드캣은 제로센보다 더 튼튼하기는 했으나 기동성은 제로센보다 많이 떨어져 고전을 면치 못했다.미군은 개전 후 한참 만에야 존 새치(John S. Thach) 소령이 고안한 ‘새치 위브(Thach Weave)’라는 전법(와일드캣 두 기가 제로센 한 기를 상대하는 것)을 써서 간신히 호각을 맞출 수 있었다.
그러던 중 1942년 6월의 어느 날 미 해군의 정찰기가 알래스카 남쪽 알루샨 열도의 한 무인도에서 제로센이 온전하게 해안가에 처박혀 있는 것을 발견했다. 공습 도중 대공포에 맞아 불시착한 기체로 조종사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미군의 정보국은 야음을 틈타 이를 실어 내왔다. 미군은 간단한 수리를 거쳐 제로센을 날려봤다. 그리고 해군 항공대뿐 아니라 육군 항공대의 모든 전투기종과 모의 공중전을 붙였다. 결과는 제로센의 전승이었다. 이 무렵 자사가 만들었던 와일드캣이 제로센의 적수가 될 수 없음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새 기종을 개발하던 그루먼(Grumman)사의 엔지니어들도 망연자실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새 기종도 기동성이 제로센보다 현저히 떨어진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기동성을 단 시일 내에 제로센 수준으로 올리는 건 불가능해 보였다.
이에 엔지니어들은 발상의 전환에 나선다. 뛰어난 기동성이라는 제로센의 강점을 따라잡기보다는 약점을 파악해 이를 공략하는 방법으로 개발 방향을 바꿨다. 제로센은 일본의 낙후된 엔진기술의 결과인 작은 마력의 엔진에 맞춰 최대한의 경량화를 통해 기동성의 극대화를 추구한 비행기였다. 이러다 보니 조종석 주위의 방탄판은 물론 연료통 보호장치도 생략됐다. 그 결과 중기관총에 한 발만 맞아도 격추로 이어졌다. 또한 기체의 강도가 약해 급격한 하강 시 기체가 손상될 우려가 있어 하강 속도가 늦었다. 약한 기체에 중무장도 할 수 없어 7.7㎜ 경기관총 2문이 주된 무장이었다. 또한 작은 마력의 엔진 때문에 최고 속도도 그리 빠르지 않았다.
그루먼 엔지니어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이 적기에 꼬리를 물려 공격을 당하더라도 이를 견딜 수 있는 강인한 기체 및 조종사 보호장치라 판단했다. 또 단 한 발로도 적기를 떨어뜨릴 수 있는 중무장과 함께 근접전을 피하면서 치고 빠지는 전법을 구사할 수 있는 빠른 상승 및 하강 속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보다 강력한 엔진이었다. 당시 미국 내에서 항공기용 엔진 중 가장 강력한 엔진은 2000마력까지 끌어낼 수 있었다. 제로센 엔진(950마력)의 2배를 넘는 수준이었다.
일본의 신예기 ‘제로센(零式)’
그루먼 엔지니어들은 큰 엔진을 장착하기 위해 개발 중이던 기체를 재설계했다. 불과 한 달여 만에 재설계와 시제품 제작을 해치워 1942년 7월 말 시험비행을 실시했다. 강력한 마력 덕택에 신형기 ‘헬캣’은 강인한 기체와 함께 조종석을 욕조처럼 감싸는 방탄판과 6문의 중기관총 등 중무장을 갖추게 됐다. 최고 속도는 제로센보다 무려 100㎞가량 빨랐으며 상승 및 하강 속도도 훨씬 더 빨랐다. 그루먼은 1942년 10월3일 첫 양산품을 해군에 인도했다.
이후 헬캣은 1943년 상반기 동안 상당수의 항공모함에 배치됐고 1943년 8월31일 첫 전투를 치른 이후 제로센을 포함한 수많은 일본 전투기를 격추시켰다. 조종사들은 강인한 기체와 강력한 방탄판을 믿고 제로센을 향해 담대하게 돌진해 근거리에서 강한 화력을 적기에 쏟아붓거나 고공에서 하강해 적기를 기습하고 도망가는 ‘히트 앤 런’ 전법을 즐겨 썼다. 설사 적기에 꼬리를 잡힐 경우에도 뛰어난 상승 및 하강 속도를 이용해 쉽게 곤경에서 벗어나곤 했다. 또한 헬캣의 강인한 기체 덕에 수많은 총알을 맞고도 항공모함으로 무사히 귀환한 사례가 무수히 보고됐다. 이에 비해 한 발만 맞아도 폭발하기 일쑤였던 제로센의 조종사들은 공중전에서 헬캣에 걸려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다. 결국 헬캣은 종전까지 19대1의 격추비를 자랑하며 일본기 총 5156대를 격추해 미군의 승전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이는 미군이 태평양전쟁에서 공중전을 통해 떨어뜨린 9282기의 56%에 해당한다. 만약 그루먼의 엔지니어들이 적의 강점인 기동성을 따라잡는 데에만 집착했다면 이런 성과는 없었을 것이다.
미군의 신형기 ‘헬캣’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