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R5. 공간 경제학이 말하는 ‘로컬 크리에이터’를 위한 가이드

“어디에서, 어떻게 운영?
상권이 아닌 상생의 가능성을 봐야“

모종린 | 281호 (2019년 9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1. 로컬 크리에이터 공간 창업의 최적 입지
새로운 경험과 서비스를 창조할 수 있는 생산 환경을 갖추고 있고 운영자가 활용할 수 있는 문화 자원이 풍부한 지역
2. 성공적인 공간 운영을 위한 전략적 지침
‘동네 사랑방’ 역할을 하는 앵커 스토어가 문화 자원과 기업가정신을 스스로 창출하고, 공간과 접근성을 개선하며, ‘착한 가격’으로 지역 파트너와 협력해 C-READI(Culture, Rent, Entrepreneurship, Access, Design, Identity) 조건을 만족하도록 운영



다들 ‘공간’을 창업한다고 한다. 스타트업도, 기업도, 소상공인도, 상점도 아닌 공간이다. 공간 요소가 그만큼 부동산과 리테일 창업에 중요해졌다는 뜻이다. 공간 창업의 대상은 소매점, 외식업체, 숙박업소, 디자인 패션업체, 편집숍, 서점, 갤러리 등 매장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상업시설이다. 공간을 임대하거나 공유한다는 의미의 공간 비즈니스도 공간 창업의 하나다.

공간 창업의 수요가 큰 곳은 공간 자원이 풍부한 지역 상권이다. 현재 전국 곳곳에서 지역성과 결합한 고유의 콘텐츠로 가치를 창출하는 로컬 크리에이터들(예: 어반플레이, 서피비치, 삼진어묵, 덕화명란, 카페 어니언 등)이 활동한다. 앞으로 공간 기반 크리에이터의 수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돌이켜보면 2000년대 중반 시작된 골목상권의 부흥도 공간 창업이 주도했다. 골목상권은 말 그대로 하나의 공간인 골목길 중심으로 조성된 상권이다. 한국 도시의 골목상권은 한옥, 근대 건물, 1970년대 단독주택이 밀집된 지역이다. 1세대 골목상권 중 홍대와 이태원의 공간 정체성은 단독주택, 삼청동은 한옥이다. 골목상권 안에서 성공한 공간 역시 공간적 특색이 뚜렷하다. 오래된 공장, 창고, 학교를 리모델링해 지역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거나 오픈 계단, 루프톱, 공유 공간으로 지역 주민과 문화와의 상생을 추구한다. 골목길과 더불어 골목길 건축물이 공간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공간이 창조하는 정체성과 사회성이 중요해지면서 공간 창업의 중심은 공간 기획에서 공간 운영으로 넘어가고 있다. 자신이 기획한 공간을 직접 운영하지 않으면 공간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건축가들이 늘고 있다. 공간 창업자는 불가피하게 건축학과 경제학의 접점을 고민해야 한다. 특히 상업시설 운영자는 공간을 통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공간의 예술성만으로는 상업적인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

그렇다면 로컬 크리에이터들은 대체 어디에서, 어떻게 공간을 운영해야 할까?



어디에서 운영해야 하나?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