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혁신 제품 개발을 위한 세 가지 방법

진영규 | 15호 (2008년 8월 Issue 2)
좋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을 감수해야 합니다. 노력을 들인 만큼 딱 원하는 결과물이 나오기 어렵다는 뜻이지요. 한 회사에서 나온 제품이라 하더라도 모두 비슷한 수준이 아닙니다. 한 사람이 만들더라도 어떤 때는 실패작이 나오기도 하고, 꽤 괜찮은 제품이 탄생하기도 합니다. 결국 확률 싸움이라 할 수 있지요. 이를 중학교 때 배운 표준편차 곡선<그래프 1>을 떠올려 생각해 볼까요.
 

어느 회사가 만들어 내는 제품의 평균적 수준을 C라 하고 B는 어쩌다 나오는 히트상품 수준, A는 이 회사가 목표로 하는 혁신적인 제품 수준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는 표준편차 곡선의 밖에 있는 점이기 때문에 현재 상태에서는 만들 수 없습니다. 즉 이 상태에서 무작정 새로운 제품을 계속 생산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놀랄만한 제품 A를 만들기 위해서는 뭔가 변화가 필요합니다. 그래프를 통해 어떤 변화들을 시도할 수 있을까요.
 
별동대 만들기-그래프 2
첫 번째는 전체 그래프 덩어리에서 떨어져 나간 별동대를 조직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쉽게 시도할 수 있고 또 자주 시도되는 일인데 한마디로 태스크포스(TF)팀 등의 이름으로 소규모 조직을 만드는 것입니다. TF팀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지만 어차피 같은 조직에 있던 멤버들이고 본래 조직의 영향력을 완전히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에는 기존의 그래프 안에 머무를 확률이 높습니다. 게다가 어쩌다 한 번 A제품을 만들어 낸다 하더라도 다음에 또 만들 수 있다는 보장이 없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다양한 시도 해보기-그래프 3
두 번째는 그래프의 볼록한 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꾹 눌러 쭉 늘리는 방법입니다. 물론 표준화나 프로세스 정형화 등으로 그래프의 봉우리를 올려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평균적인 완성도의 제품을 만들어 낼 기회는 과감하게 포기하고 다양한 시도를 해 보는 가운데 A제품을 만들 가능성을 늘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렇게 되면 A방향뿐 아니라 반대쪽도 늘어나기 때문에 기존에는 용납할 수 없던 최악의 실패작인 F가 탄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방법을 쓰려면 이런 실패를 용납하는 문화가 선행돼야 하겠지요.
 
조직의 평균 역량 키우기-그래프 4
세 번째 방법이 가장 이상적인 케이스입니다. 조직의 역량 전체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으로, 기업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이죠. 한두 개에 불과한 히트 상품을 단발로 만드는 회사라면 사실 별로 위협적이지 않습니다. 모토로라가 레이저폰 열풍 이후 이렇다 할 히트 상품을 추가로 내지 못해 휴대전화 부문이 분사되는 신세가 된 것처럼 말이죠. 애플같이 꾸준히 우수한 제품을 출시하는 회사가 평균값이 높은 회사입니다. 그들의 제품을 보고 ‘저 정도는 우리도 열심히 하면 만들 수 있어’라고 생각하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평균값이 높은 회사들은 언젠가 오른쪽 끝에 있는 생각지도 못할 만큼 놀라운 제품을 만들어 낼지 모르므로 두려운 존재입니다.
 
하나의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려면 그 회사가 만드는 모든 제품의 수준이 전체적으로 높아져야 합니다. 이처럼 그래프 덩어리 전체를 오른쪽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일단 두 번째 방법을 시도해서 A 수준의 제품을 만들어 내고, 그 경험과 능력을 토대로 A점을 고정해 다시 몸을 세워야 합니다. 마치 애벌레가 꿈틀꿈틀 기어가는 모습처럼 오른쪽으로 꾸준히 기어 나가는 게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일명 ‘꿈틀꿈틀 혁신’입니다.
 
필자는 삼성종합기술원에서 전문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소프트웨어랩 미래경험그룹에서 사용자 경험(UX·User Experience) 디자인 업무를 맡고 있다. 같은 부서의 동료와 함께 UXlog라는 팀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