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cience Says

분노 표출에도 성차별이 있다니, 분노할 만하네

허행량 | 214호 (2016년 12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분노의 성차별: 남성이 직접적·공개적으로 분노를 표출할 경우 상대방에게 위협적인 인상을 심어주며 문제나 갈등 해결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는 경향이 있으나 여성의 경우엔 부정적 평가를 받기 쉬움. 다만 금발 미녀처럼 매력적인 여성의 경우엔 화를 내고 까다롭게 굴 때 자신이 원하는 바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웃거나 착하다고 좋은 일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착한 사람은 항상 손해 본다”는 말과 “우는 아이 떡 하나 더 준다”라는 말이 진리라고 느껴질 때가 많다. “좋은 게 좋은 것”이라고 웃고만 살다간 “눈 뜨고 있는데 코 베가는 세상”이라고 푸념하게 된다. 또 대인관계에서 때로는 갈등으로 고민할 때도 있다. 살다 보면 분노, 혐오, 공포, 슬픔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피할 수 없다.

세파에 시달리다 보면 “웃으면 복이 온다”며 항상 웃고 사는 것도 또 다른 스트레스라는 것을 절감하게 된다. 항상 행복한 체하면서 다른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숨기는 것도 감정 고문이다. 화가 날 때 이를 표현하지 않고 속으로 삭이면 ‘속병’ ‘울화병’이 든다는 말도 있다. 따라서 슬플 때 펑펑 울면 시원해지고, 답답할 때 할 말을 다하면 “속이 시원하다”고 표현한다. 감정을 억누르거나 숨기지 않고 잘 표현하는 것도 행복의 또 다른 비결이다.

과학자들은 분노도 사회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특히 분노는 어떻게 이를 표현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가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어 기술이 필요하다는 게 과학자의 권고다.

분노는 양면성을 갖는 감정이다. 사람들은 미소 짓는 사람에게는 가까이 가려 하지만 무서운 사람은 피하려 한다. 이처럼 미소는 접근 신호이고, 공포는 기피 신호라는 단순 구도다. 이에 비해 분노는 때로는 접근을 유도하고, 때로는 기피를 유도하는 양면성을 보인다. 왜 화내는지 알아보고 싶기도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이득을 얻을 수 있으므로 가까이 가려 하지만 때로는 갈등을 피하고자 분노하는 사람을 피한다. 분노는 이처럼 상대방에 다가가야겠다는 ‘접근 신호’이자 동시에 상대방을 피해야겠다는 ‘기피 신호’를 던져주는 양면성을 가진다.


분노의 생리학


분노는 광속(光速) 대접을 받는다. 사람들은 많은 표정 가운데 화를 내는 표정에 가장 빨리 주목한다. 과학자들은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제 화난 표정, 슬픈 표정, 행복한 표정의 사진을 보여준 뒤 반응시간을 쟀다. 각각의 표정에 주목하는 데 걸린 시간은 화난 표정(652ms, 1ms는 1000분의 1초), 슬픈 표정(670ms), 행복한 표정(693ms)의 순이었다. 나이 든 사람은 반응 순서는 같고 반응 속도만 200ms 더 늦는 차이를 보였다. (그림 1) 이처럼 분노가 광속대접을 받는 것은 분노는 생존과 위협의 감정이라는 특성 때문이다(Mather et al, 2006).

214_108_img1

화난 표정을 얼마나 오래 보느냐를 알면 우울증을 진단할 수 있다. 보통사람은 화나거나 뚱한 표정을 싫어한다. 하지만 화난 표정을 오래 응시하는 사람도 있다. 실제 과학자들은 사람들에게 행복한 표정, 화난 표정, 무표정한 얼굴을 보여준 뒤 얼마나 오랫동안 응시하는지를 쟀다. 그 결과 화난 표정을 오래 응시하는 사람일수록 우울증이 있거나 2년 이내에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난 표정을 응시하는 사람이 그만큼 감정을 속으로 삭이고 있으며 이 때문에 우울증이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흔히 종교인이 “화내지 말라”고 조언하는 이유는 분노가 많은 생리적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분노는 뇌세포 변화는 물론 심장이나 호르몬 분비 같은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가져온다. 사람들이 화를 내면 지위나 권력과 관련된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분비량이 증가했지만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그다지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분노는 스트레스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고 싸움이나 권력과 연관된 감정인 셈이다.



분노의 성차별

분노에도 남녀 차별이 있다. 분노는 자부심(pride)과 함께 남성 전용 감정이며 여성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연구결과다. 남성은 직접적이고 공개적으로 분노를 표현하지만 여성은 간접적이고 은밀하게 표현하려 한다. 구체적으로 남성은 물리적인 폭력이나 앞에서 모욕을 주는 식으로, 여성은 가십(gossip)이나 따돌림 같은 간접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한다. 이처럼 분노를 표현하는 데도 남녀 차가 있는데 이는 사회적 환경에 따른 것이라는 게 과학자들의 해석이다.

실제로 통념에서 벗어나 여성이 분노를 직접적이고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행위는 해당 여성을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남녀가 각각 화난 표정으로 반대의견을 밝히면 집단 내에서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달라진다. 과학자들은 5명으로 구성된 집단 내 의사결정 과정에서 4명이 같은 의견이고 다른 한 명(남성 또는 여성)이 분노한 표정으로 반대의견을 제시했을 때 이에 대한 평가를 요청했다. 흥미로운 것은 여성이 화난 표정으로 자기 뜻을 개진하면 다른 구성원(4명) 대부분은 이 여성의 입장을 신뢰하지 않고 등을 돌렸지만 남성의 경우 그 반대로 대부분이 해당 남성을 지지했다. 구체적으로 화를 낸 사람이 남성이냐, 여성이냐에 따라 이를 받아들이는 시각이 달랐다. 이처럼 분노는 남성에게는 파워, 여성에게는 상실을 가져다준다(Salerno et al, 2015).



214_108_img2

분노의 표현에도 성차별이 존재하기 때문에 여성은 화가 나더라도 직접적이고 공개적으로 화를 내지 않고 이를 숨기거나 억누르려 한다. 화를 내면 부정적인 인상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향은 남녀평등이라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전통적인 사회에서는 여성이 분노를 숨기고 억누르려 했지만 남녀평등이 어느 정도 이뤄진 사회에서는 여성도 남성 못지않게 직접적이고 공개적으로 분노를 표현하려 했다. (그림 2)

"여성은 자신의 분노를 표현하는 것도 서투르지만
상대방의 분노를 읽고 대응하는 데도 서투르다"

이 같은 남녀 차별 때문에 여성은 좌절감을 해소하기 위해 분노하지 않고 꾹 참아 속병이 들거나 다른 여성이 분노하는 데도 이를 쉽게 알아채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여성은 다른 여성이 무표정할 때도 화난 얼굴이 아닌가 하고 오해하기도 한다. 사회생활을 할 때 분노한 표정을 보고 위협을 느껴 접근할 것인지, 아니면 피할 것인지를 곧바로 결정해야 하지만 남성보다 여성은 상대방의 분노를 식별하는 데 둔감하다. 여성은 자신의 분노를 표현하는 것도 서투르지만 상대방의 분노를 읽고 대응하는 데도 서투르다는 이중의 서투름을 보여준다.



분노의 기술

화를 잘 내면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다. 남성은 완력, 여성은 신체적 매력이 힘의 원천이다. 과학자들은 거구인 남성과 매력적인 여성이 화를 내면 사회생활에서 어떤 이점을 가져오는지를 검증했다. 실제 거구의 남성이 화를 냈더니 사람들은 그를 더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했다. 구체적으로 덩치 큰 남성이 화를 내면 갈등을 쉽게 해결했다. 이 때문에 거구의 남성은 다툼이 있으면 빈번히 완력을 사용하려 했다. 따라서 거구의 남성은 화를 더 빈번히 내며 분노를 무기로 활용하려는 성향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금발미녀가 화를 내거나 까다롭게 굴면 남성들로부터 더 환대를 받았다. 매력 있는 여성은 화를 내거나 까다로울 경우 자신이 원하는 바를 쉽게 이룰 수 있어 더욱 자주 화를 내거나 까다롭게 굴었다. 자신이 ‘매력녀’라고 생각할수록 스스로 특별하다는 특권 의식을 갖고서 화를 잘 냈고 결과적으로 갈등에서 유리한 결과를 거뒀다(Sell et al, 2009).

이처럼 남성의 완력이나 여성의 신체적 매력이 분노와 결합할 때 사회생활에서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 남성에게는 신체적 매력보다는 완력, 여성에게는 완력보다 신체적 매력의 파워가 더 강력하다. 여성의 미는 남성의 완력과 비슷하기에 ‘완력남=매력녀’라는 공식이 성립된다. 흔히 여성에게 “까다롭게 굴지 말라”고 교육하지만 때로는 까다롭게 구는 것도 대인관계나 협상에서 이점이 크다는 역설이 존재한다. 미와 까다로움, 완력과 분노는 이처럼 상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온다.

분노와 매력은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지만 예쁜 사람이 화난 표정을 지으면 그것조차 매력적으로 보인다. 매력 남녀가 화난 표정을 짓는 것(평균 = 3.62: 7점 척도)이 매력 없는 사람이 행복한 표정(평균=2.68)이나 중립적 표정(평균 = 2.53), 화난 표정(평균 = 2.42)을 짓는 것보다 더 매력적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소위 “예쁘면 모든 게 용서된다”는 흔한 표현이 과학적으로도 검증된 것이라 할 수 있다(Jaensch et al, 2014).

분노는 직장 내 성차별을 가져온다. 남녀가 슬픔과 분노를 표현했을 때 상대방은 그 사람의 지위, 능력, 연봉에 대해 어떻게 평가할까? 실험 결과, 슬픈 표정의 남성보다 화난 표정의 남성, 화난 표정의 여성보다 슬픈 표정의 여성이 지위도 높고, 능력도 있으며, 연봉도 많이 받아야 한다고 평가받았다. 이처럼 남성에게는 분노, 여성에게는 눈물이 무기인 셈이다. 분노는 이처럼 사회적 지위, 능력의 시그널이다.

분노는 사회적 지위와 밀접하게 관련된 ‘지위감정(status emotion)’이다. 분노는 계급, 즉 신분 차이에 따라 다르게 비춰지며 지위나 승진에까지 관여한다. 우선 지위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이 내는 화는 사람들에게 다르게 비춰진다. 지위가 높은 사람은 지위가 낮은 사람에 비해 화를 통해 자기 뜻을 분명하게 하는 성향이 강하다. 과학자들은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모니카 르윈스키와의 성추문을 슬픈 표정으로 이야기할 때보다 화난 표정으로 언급할 때 더욱 강력한 지지를 받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다른 무명 정치인의 경우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는 분노가 무기로 작용한 셈이다. 이 때문에 화난 표정을 지으면 이해가 상충할 때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분노는 남성과 상류층의 전용 감정이다.


사회적 분노의 손익계산

사회 문제에 대한 분노는 공익에도 도움이 되지만 당사자의 이미지도 좋게 한다. 사회 운동가나 정치인은 자신에게 쏟아질 비난을 무릅쓰고 정의를 명분 삼아 분노한다. 이 같은 사회적 분노가 공공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개인의 명예 역시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게 과학자들의 주장이다. 타인의 이기적인 행동을 비난하고 공격하면 자신은 이기적인 사람이 아니라고 광고하는 셈이 된다. 소위 ‘제3자 징벌(third party punishment)’ 효과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대통령을 포함한 유명 인사의 이기심이나 부도덕함을 공격하면서 자신은 그런 존재가 아니라고 간접 광고해 자신의 가치도 높이는 부대 효과를 누린다. 더욱이 도덕적 이슈에 대해 분노하고 화내는 것은 건강하고 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내부고발(whistle-blowing)로 간주된다(Jordan et al, 2016).



제3자 징벌은 어느 사회에나 있지만 그 대가가 비용보다 클 때 더욱 기승을 부리게 된다. 제3자에게 분노하는 것은 시간이나 노력은 물론 상대방의 역공을 가져올 수 있는 등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될 수 있는 대로 제3자를 공격하려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와 정반대로 제3자의 이기적 행동을 비난하고 분노하는 행위는 당사자의 신뢰성은 물론 자신의 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제3자를 용기 있게 비난하는 사람은 사회적으로 높게 평가되고, 또한 신뢰할 수 있다고 인식된다. 또한 제3자를 비난한 당사자도 사람들의 이 같은 인식을 알아 더 많은 사람으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도록 스스로 행동하기도 한다. (그림 3)
214_108_img3

화를 내는 것과 함께 상대방을 일부러 화나게 해 자기 뜻을 이루는 분노의 기술도 있다. 스포츠 경기에서 혈기왕성한 상대방을 자극해 파울을 유발해 퇴장 시키면 경기 결과를 뒤집을 수 있기도 한다. 스포츠 경기에서 성행하는 ‘마테라치 효과(Materazzi effect)’는 상대방을 자극해 화나게 하는 심리전으로 경기의 승패를 좌우한다. 2006년 베를린 월드컵축구 결승전에서 프랑스의 지단을 자극해 퇴장 시킨 이탈리아 수비수 마테라치의 이름을 딴 마테라치 효과는 경쟁할 때 분노를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즐겨 쓰는 심리전으로 축구와 농구 같은 스포츠나 논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략인데, 분노하게 되면 감정에 눈이 멀어 실적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곤 한다. 분노는 경쟁 상황에서 남성이 애용하는 고도의 심리전인 셈이다(Gneezy et al, 2014).

분노는 협상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과학자들은 감정표현이 금기시되는 협상에서 분노하는 건 위험하지만 동시에 실속 있는 전술이라는 증거를 내놓고 있다. 과학자들은 분노가 협상에서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대인관계와 금전 관계로 구분해 설명하고 있다. 협상에서 화를 낸 사람은 부정적인 인상을 줘 기피인물로 찍힌다. 하지만 협상에서는 상대방으로부터 양보를 받아내는 실속을 챙긴다. 즉 협상에서 화를 내면 입장이 완고해 양보할 가능성이 작다는 것으로 해석돼 상대방으로부터 양보를 끌어낼 수 있다. 분노는 또한 다음 협상에서도 유리한 결과를 끌어낼 수 있는 ‘스필오버(spillover) 효과(일종의 대외파급 효과)’를 낳는다. 협상에서 분노는 ‘무서워서 피하는 것이 아니라 더러워서 피한다’는 말이 들어맞는 셈이다(Sinaceur et al, 2011).

사람들은 자신의 캐릭터를 드러내기 위해 분노를 이용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를 관리하기 위해 일부러 분노하곤 한다. 화내는 사람을 진실하다고 믿기 때문에 대인관계에서 일부러 화난 체하는 것이다. 실제로 못된 행동을 했다고 비난을 받았을 때 잘못을 저지른 사람보다 억울하게 비난을 받는 사람이 언어나 비언어를 사용해 더 크게 화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억울하게 비난을 받은 사람이 표현한 분노(평균 = 3.19: 7점 척도)가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표현한 분노(평균 = 2.54)보다 훨씬 높았다. 이처럼 ‘분노’라는 감정은 진실함이라는 긍정적인 감정의 ‘시그널’을 전달한다. 그 때문에 때때로 거짓말이 탄로나거나 잘못이 드러났을 때 사람들은 진실함을 가장해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분노한다. ‘방귀 뀐 놈이 성 낸다’ 또는 ‘적반하장’이란 말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하겠다(Hatz et al, 2010).

친구나 부부관계에서도 분노는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친구에게 충고할 때 화난 표정으로 자신이 진심으로 이렇게 말하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기도 한다. 또한, 배우자가 부정을 저지르거나 돈을 낭비하는 등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분노를 통해 분명하게 경고하는 것은 더 큰 비용을 막기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할 수 있다. 오히려 이를 용서하고 묵인하는 것이 관계 파탄이나 더 큰 비극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분노의 시대

요즘은 분노의 시대이자 분노를 마케팅하는 시대 같다. 정치인, 학생, 직장인 모두가 분노에 가득 찬 얼굴이다. 유권자들은 투표를 통해 자신의 분노를 표현한다. 소비자들은 불매운동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갑질’에 분노한다. SNS는 분노를 집결하고 표출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되고 있다. 어떤 사회적 이슈에 대해 누군가 SNS에 부적절한 이야기를 언급하면 득달같이 ‘무개념’이라며 돌팔매질하는 것도 분노를 표출하는 비용은 거의 없고 자신은 그 대가로 ‘개념’이란 이미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공작 수컷이 암컷에게 잘 보이기 위해 화려한 깃털을 과시할 수 있게끔 진화한 것처럼 요즘은 마치 도덕적 분노가 개인의 가치를 좌우하는 시대가 돼 버렸다. 작금의 사회는 자기 이익을 위해 분노를 잘 표출하는 전문가들로 넘치는 그런 사회다. 정치권이 매일같이 싸우는 이유도 분노하면 사회적 주목도 쉽게 받고 자신이 권력자라는 사실을 손쉽게 알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분노가 과연 사회정의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자기 이익을 위한 것인지는 냉철한 분석이 필요하다. 과학자들은 분노에 대해 다른 시각을 제시해주고 있고 그 덕분에 우리는 분노 뒤에 숨은 이기심의 그림자를 추리할 수 있는 또 다른 즐거움을 얻게 됐다.


참고문헌

Gneezy. U et al,.(2014). Materazzi effect and the strategic use of anger in competitive interactions. PNAS, 111-4, 1334-1337.

Hatz, J. L et al,.(2010). Anger as a cue to truthfulnes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6, 680-683.

Jaensch, M et al,. (2014). Don’t look back in anger: the rewarding value of a female face is discounted by an angry express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40-6, 2101-2105.

Jordan, J. J et al,.(2016). Third-party punishment as a costly signal of trustworthiness. Nature, 530, 473-476.

Mather, M et al,. (2006). Angry faces get noticed quickly: threat detection is not impaired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61B, p54-p57.

Salerno, J. M et al,. (2015). One angry woman: anger expression increases influence for men, but decreases for women, during group deliberation. Law and Human Behavior, 39-6, 581-592.

Sell, A et al,.(2009). Formidability and the logic of human anger. PNAS, 106-35, 15073-15078.

Sinaceur, M et al,. (2011). Hot or cold: is communicating anger or threats more effective in negoti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6-5, 1018-1032.


허행량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hsignal@gmail.com

필자는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했고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매체경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SSCI급 저널에 손가락 비율과 얼굴 넓이-높이 비율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매일경제신문에서 기자로 일했으며 저서로 <스타마케팅> <한국의 엘리트와 미디어> <당신의 본능은 안녕하십니까?> 등이 있다.
  • 허행량 허행량 | - (현)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매일경제신문> 기자
    - <스타마케팅>, <한국의 엘리트와 미디어>, <당신의 본능은 안녕하십니가?>의 저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