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 & Biz
Article at a Glance
돈육 산업은 씨돼지를 키우는 종돈 사업, 사료 사업, 돼지를 키우는 양돈 사업, 돼지를 도축하고 1차 가공해 B2B 유통시키는 도축 사업, 햄, 베이컨 등의 완제품을 제조하는 제조 사업과 소매판매업 및 외식업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돈육업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전략 그룹(Strategic Group)이 생겨나고 있다. 양돈 기업들이 기존 비즈니스 모델 대신 새로운 제품 개발에 적극 나서고, 여기에 가치를 담고, 차별화의 요소를 담고자 하고 있는 것. 다양한 전략 그룹이 한 산업에 존재한다는 이야기는 시장점유율만을 두고 업체들이 정면 충돌해온 양돈업이 ‘치킨 게임’에서 벗어나서 자신들만의 시장을 구축하고 서로 상보적으로 경쟁하는 관계로 변모해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
우리가 소비하는 식품, 외식산업의 가치사슬을 그려보면 그 출발점엔 농업이 있다. 농업 생산 없이는 식품산업도 없고, 외식업도 없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선진국’ 대열에 있는 국가들 중에서 농업 대국이 아닌 나라는 영국을 제외하고는 없다. 미국도 농업 대국이고 프랑스, 독일도 농업 대국이다.
2014년 말 기준 우리나라 농업 총 생산은 47조2922억 원이다. GDP 대비 2∼3% 정도다. 이 중 쌀을 포함한 식량작물 산업의 비중은 약 20%, 9조 원 정도밖에 안 된다. 반면에 축산업의 비중은 40%에 달하는 19조 원이다. 이 축산업 중에서도 가장 큰 산업은 한우나 닭이 아닌 바로 돼지, 양돈산업이다. 양돈 산업은 신선 돈육을 생산하기 위해 돼지를 육성하는 사업을 의미하는데 우리나라 전체 농업 생산의 약 14%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액은 6조6000억 원에 달한다. 이 금액은 돈육 가공, 제조, 외식 쪽은 빠져 있는 순수 농업 생산액이다.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외식 메뉴가 삼겹살이고, 대한민국 전체 육류 소비의 절반이 삼겹살임을 고려하면 양돈산업의 전방 파급력은 대단하다고 말할 수 있다.
축산업, 특히 양돈업이 타 농업 분야에 비해 이렇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빠르게 조직화하고 계열화했기 때문이다. 쌀을 비롯한 국내 대부분의 농업 분야가 영세한 가족농 중심의 극도로 분절된 산업(fragmented industry) 구조임에 반해 양돈 산업의 경우는 상위 5개 업체가 전체 시장점유율의 50%를 점할 정도로 여타 농업 분야와는 다른 구조를 갖고 있다. 양돈산업은 가장 빠르게 IT 기반 시스템들을 받아들였고, ERP를 도입하지 않은 농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며, 사물인터넷 기반 생산 자동화도 가장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양돈산업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최첨단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 여타 농산물 산업의 경우 외국 농산물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크게 뒤지지만 국내 양돈산업만큼은 수입 축산물과 한번 견줘볼 만한 정도의 가격 경쟁력과 품질을 가지고 있다. 물론 국내 돈육 시장에서 기형적일 정도로 높은 삼겹살에 대한 선호는 국내 삼겹살 가격을 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려놓았으나 이외의 다른 부위 가격 경쟁력은 중국과 비교해서도 별로 뒤지지 않는다. 물론 품질도 뛰어나다.
양돈 및 돈육 산업 투쟁의 역사
우리나라 전자 산업 매출 1위 기업을 묻는다면 대부분의 국민들은 삼성전자라는 정답을 쉽게 맞힐 것이다. 자동차 산업 매출 1위 기업인 현대차도 대부분 쉽게 맞힐 것이 분명하다. 식품 산업의 매출 1위 기업을 물으면 조금 어려워하겠지만 그래도 다수의 사람들이 CJ제일제당임을 알고 있을 것이다. 제빵 기업 1위는? 조금 더 어렵다. 파리바게뜨라고 브랜드명을 말하는 사람들이 많긴 하겠지만 어쨌든 파리바게뜨는 제빵 분야 1위 기업인 SPC의 대표 브랜드다. 그렇다면 대한민국 양돈 산업 1위 기업은 어디일까? 아마 대한민국 국민의 0.1%도 알고 있지 못할 것이다. 답은 놀랍게도 하림이다.
하림은 1978년 익산에서 육계 농장, 즉 식용 닭 농장으로 출발했다. 그러다가 80년대 후반 주식회사로 전환하며 계열화 사업을 추진한다. 1991년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도계 가공공장을 설립하고 배합 사료공장을 세우며 주변 농장들과 수직 계열화를 달성한다. 즉, 하림이 부화장으로부터 병아리를 일괄 받아서 계열 농장들에게 입식시키면 농장은 병아리를 사육하는 데에만 집중한다. 하림은 계열 농장에게 적절한 사료를 전담 공급하며 다시 계열 농장들로부터 성장한 닭을 돌려받는다. 하림은 돌려받은 닭을 도축, 제품화하며 동시에 일괄 유통시킨다. 하림은 이러한 도계 가공공장이 주축이 되고 계열 농장들은 생산라인 역할을 하는 육계 계열화 사업 방식을 국내에 정착시킨다. 1997년에 코스닥에 상장한 하림은 크게 성장한 사료 사업을 바탕으로 2007년 양돈 기업인 ‘선진’, 2008년에는 대상그룹으로부터 또 다른 양돈 기업인 ‘팜스코’를 매입해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규모의 양돈회사로 등장한다. 하림은 선진과 팜스코를 인수함으로써 압도적인 생산 물량, 또 사료 사업과의 전후방 연계를 통해 양돈 분야의 기존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현재 하림그룹의 매출의 절반은 배합 사료사업에서 내고 있고, 이 사료 사업을 제외한 부문에서 가장 큰 매출을 내고 있는 것은 육계사업이 아닌 바로 양돈사업이다.
하림이 육계사업에서 양돈사업으로 성공적으로 확장, 안착할 수 있었던 것은 배합사료라는 공통 후방 산업에서 뛰어난 역량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닭이든, 돼지든 생육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료를 먹어야 하고, 사료는 이 두 제품군의 공통된 가장 큰 비용 항목이다. 이 사료사업을 징검다리로 하림은 육계 분야에서도, 양돈 분야에서도 국내 최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하림 양돈 사업의 성장은 다시 하림의 배합사료 사업에 극적인 기여를 하게 되고, 하림은 2015년 현재 배합사료 업계에서까지 국내 최대의 기업이 됐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