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성과를 이그는 몰입 전략

역경 속에서도 통통 튀는 ‘고무공’ 좌절과 짜증에 깨지는 ‘유리공’

한철환,김한솔 | 167호 (2014년 12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 HR

몰입을 이끄는 마음, 회복탄력성

피할 수 없는 역경을 발판 삼아 꿋꿋하게 다시 튀어 오르는 능력. 회복탄력성이 낮으면 끊임없이 좌절하지만 이 능력이 높으면 오히려 힘든 일을 활용해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 냄

회복탄력성으로 이르게 하는 두 가지 열쇠, 긍정적 태도와 감사하기

모든 일에 대해 막연히잘될 거야라고 생각하는 낙천주의가 아니라 나쁜 일이 일어났을 때 이를 플러스(+)적인 발상으로 이겨내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는긍정적 태도와 작은 것에도감사할 줄 아는 자세가 필요  

 

편집자주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1997년 그의 대표작 <몰입의 즐거움(Finding Flow)>을 펴냈습니다. 이후 한국 사회에서도 몰입은 개인과 조직을 막론하고 행복과 성공을 위해 추구해야 하는 키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최근 조사 결과, 한국 직장인 중 업무에 몰입하는 사람은 10명 중 한두 명꼴이라고 합니다. 자신의 일에 몰입함으로써 최적의 성과를 내놓는 것이야 말로 개인의 행복과 조직의 성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입니다. 모두가 꿈꾸지만 현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몰입. HSG 휴먼솔루션그룹에서 몰입을 통해 성과를 이끌어 내는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지친 주말을 보내고 힘겹게 출근한 월요일. 커피 한 잔 마시고 일을 시작하려는데 하필 커피믹스가 하나도 없다. 월요일 아침부터 기분이 별로다. 잠시 후 출근한 막내 직원에게 잔소리를 한바탕 하고선 자리에 앉아 내일 거래처와의 중요한 미팅을 위한 최종 자료 점검을 시작한다. 한 시간여 지났을까, 갑자기 PC가 작동하지 않는다. 끓어오르는 화를 꾹꾹 눌러 참으며 몇 분을 기다려도 상태는 나아지지 않는다. 책상을 한 번 쿵 내려치고 아 진짜!” 짧은 비명을 지른다. 당신을 힐끔힐끔 바라보는 팀 동료들. 시선을 피해 옥상에 올라가 담배 한 대를 피운다. 다시 자리로 돌아와 오후에 예정된 회의 자료를 인쇄하기 시작한다. 다 됐나 인쇄기로 가 보는데, 아뿔싸. 순서는 뒤죽박죽에 중간에 종이가 걸렸는지 절반도 채 나오지 않은 상태로 인쇄기는 멈춰 있다. 쌓였던 짜증이 폭발해 버린 당신. “야 막내! 이거 왜이래? 너 진짜 똑바로 안 할래?“ 당신의 호통에 막내는 물론 팀장님도 눈이 동그래진다. 월요일 아침부터, 일진 참 꼬인다.

 

어떤가? 혹 당신의 모습과 비슷한가? 괜히 마음에 안 드는 후배 직원이 있는지, 기껏 작업한 자료를 날려 버린 적이 있는지, 말 안 듣는 사무기기 때문에 업무가 꼬여 버린 적이 있는지를 묻는 게 아니다. 이런 일은 누구에게든 언제나 일어날 수 있으니까.

 

질문의 핵심은이럴 때 어떻게 대응했느냐. 짜증을 참지 못하고 누군가에게 분출해 버리는 스타일인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행동을 찾는 유형인가? 전자, 즉 역경을 만났을 때 좌절하고 짜증을 내는 사람을유리공이라 부르기로 하자. 후자, 즉 어려움이 생겼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사람은고무공이라 부르자. 이제 질문이 쉬워졌다. 당신은 유리공 같은 사람인가, 고무공 같은 사람인가? 이 글에서는 업무에 몰입하기 위해 유리공이 아닌 고무공 같은 사람이 돼야 함을 설명하려 한다. 그리고 혹 당신이 유리공 같은 사람이라면 고무공의 탄성을 갖기 위한 방법을 찾아보겠다. , 고무공이 돼 통통 튀어 오를 준비가 됐는가?

 

회복탄력성

살면서 누구나 힘든 일을 겪는다. 사소한 약속이 펑크 나는 것부터 정말 소중한 것(그것이 사람이건, 물질이건)을 잃는 커다란 고난까지. 이때 사람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좌절하거나, 이를 극복해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내거나. 이런 차이를 심리학에선 회복탄력성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은 힘든 일을 겪었을 때 좌절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활용해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피할 수 없는 역경을 발판 삼아서 꿋꿋하게 다시 튀어 오르는 능력이다. 이는 비즈니스 현장에서의 몰입을 위해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 생각해 보자.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힌 사람들과 함께 일을 해야 하는 조직에서 얼마나 많은 사건 사고가 벌어지는지. 이때 회복탄력성이 낮은 사람들은 끊임없이 좌절한다. 그리고 그 일을 수습하느라 시간을 쓸 수밖에 없다. 이런 업무 상황에서 몰입은 너무 어렵다.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고? 그럴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반복된 좌절로 인한 결과다. 좌절은 우리 삶에서 언제든 나타난다. 대학 입시에서 좋은 성적을 받지 못했다거나 좋아하는 이성에게 데이트 신청을 했다가 거절당하는 개인적 문제에 대한 좌절부터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는 사회·경제적 좌절까지. 이렇게 자신이 추구하던 목표에 대한 좌절이 잦아지면 사람은 공격적으로 변한다.

 

이런 현상을 예일대 심리학자들은좌절-공격 이론이라고 말했다. 좌절을 겪었을 때의 상실감이 공격적 행동으로 잘못 표현된다는 설명이다. 공격은 내부와 외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내부, 즉 자신을 향한 공격은 자기 학대나 우울증으로 발현된다. 외부, 즉 상대를 향하면 자신에게 좌절감을 느끼게 만든 사람 또는 단순히 자기 앞에 있는 대화 상대에 대한 공격적 행동과 발언으로 나타난다. 앞서애꿎은핀잔을 들은 막내 직원이 대표적 사례다. 우리나라가 외환위기 전후로 사회 범죄가 늘어났다는 통계치 역시 이를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가입하면 무료

  • 한철환

    - HSG 휴먼솔루션그룹 성과관리연구소장 /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김한솔hskim@hsg.or.kr

    HSG 조직갈등 연구소 소장

    비즈니스 교육 전문 기관 HSG 휴먼솔루션그룹에서 강의와 컨설팅 등을 통해 많은 기업의 소통 전략 수립을 돕고 있다. 리더의 자기 인식을 위한 진단 프로그램 '성과 백신'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 「이기적 리더」 「1% 디테일: 성공적인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비결」 「설득하지 말고 납득하게 하라」(공저) 등이 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