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Interview : 최윤식 아시아미래인재연구소 소장

스마트폰은 곧 끝... 삼성은 바이오社 될 것 아시아가 새 금융위기 근원지 될 수도

조진서 | 128호 (2013년 5월 Issue 1)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박진선(한양대 경영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Dynamic Korea’라는 구호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인은 역동적이고 변화에 빨리 적응하지만 그대신 미래를 길게 보고 차분히 대비하는 데에는 선진국 수준을 따라잡지 못했다. 대통령이 바뀌면 국가정책이 180도 달라지고, 교육감이 바뀌면 대학 입시제도가 뒤집어지며, 시장이 바뀌면 있던 도시 규제가 없어지고 없어졌던 규제가 다시 생긴다. 대부분의 기업들 역시 올해와 내년, 길게는 5년 앞 정도만 바라보면서 경영계획을 세운다. 장기적인 계획은 최고경영자 개인의 통찰력과 의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데에는 총수의 미래지향 리더십이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경영자들의 개인적인 미래 예측 능력이 앞으로도 계속 효과적이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기업들이 보유한 경제연구소들은 5, 10년 앞을 내다보는 리포트를 내기도 하지만 자체 연구가 아닌 해외 연구소와 학자들의 연구를 분석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국내에서 흔치 않은 미래학자인 최윤식 아시아미래인재연구소 소장은 더 늦기 전에 기업들이 미래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인력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선진국을 따라 하는 벤치마킹만으로 생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최 소장은 휴스턴대(University of Houston)에서 아시아인으로는 처음으로 미래학(Future Studies) 석사 학위를 받았고1  <생각이 미래다(2012)> <10년 전쟁(2011)> 부의 미래지도(2009)> 등의 책을 썼다. 저술과 강연, 연구 활동을 병행하고 있는 그를 서울 강남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기업이 미래 예측은 왜 해야 하나.

미래에 가볼 수 없기 때문이다. 미래에 일어날 일들은 내가 오늘 하는 행동들의 결과물이다. 미래에 대해 판단하고 오늘을 기획하는 것이다. 상품기획에서부터 경영 의사결정까지 마찬가지다. 최고의 결정이 되려면 미래의 결과물들이 어떻게 될지 머릿속에 시뮬레이션을 해야 한다.

 

미래 예측의 절차는 크게 시나리오 작성과 시뮬레이션으로 나눌 수 있다. 시나리오 작성은 미래의 배경을 예상하는 것이다. 미래가 올 때는 징후(emerging issue)가 있다. 이런 징후들을 필터링하고 구조화해 미래 예측 시나리오를 만든다. 그리고 나서 그 배경에서 자신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작용할지, 어떤 위기와 기회요소가 있을지 예측해 내야 한다. 이 과정을 시뮬레이션이라 부른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군대에서 하는 워게임(war game)이다. 워게임에서는 미래에 전개될 전장 상황, 조건을 놓고(시나리오) 자신의 의사결정에 따른 결과, 즉 승률, 사상자, 피해상황을 알아본다(시뮬레이션). 이런 도구를 비즈니스에 도입할 수 있다. 내가 현재 생각하고 있는 전략의 결과들을 예측하고 전쟁을 하지 않고도 시뮬레이션을 반복하면서 최선의 아웃풋을 낼 수 있는 전략을 선택한다.

 

사실 개인들도 다 이런 식으로 미래 예측과 시뮬레이션을 한다. 아침에 아내하고 싸움을 하고 나왔다 하자. 저녁에 집에 들어갈 때 어떤 전선이 펼쳐질지 머릿속에서 시나리오를 만든다. 아내를 달래야 하는지, 호통을 치고 기선을 잡아야 하는지, 아니면 아예 술 먹고 들어가야 하는지, 자기 나름대로 전략을 짜고 시뮬레이션을 한다. 핵심은 그 시나리오를 구축하는 능력에 있다. 시나리오가 얼마나 정교하게 잘 구축돼 있느냐에 따라 시뮬레이션의 결과물이 달라진다. 시나리오를 잘 만드는 사람이 미래학자다.

 

미래학은 어떻게 경영에 접목돼 왔나.

현대 미래학은 1950∼1960년대 태동했다. 미래학의 1세대는 짐 데이토(Jim Dator, 하와이대) <3의 물결>로 유명한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를 꼽을 수 있다. 나의 은사인 피터 비숍(Peter Bishop, 휴스턴대) 2세대 미래학자다. 나는 그 밑이니 굳이 말하자면 3세대가 된다.

 

미래학이 기업 사회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 건 피터 슈워츠(Peter Schwartz) 박사가 석유업체인 셸(Shell)에서 시나리오 기법(scenario planning)을 개발하면서부터다. 그는 미래학에서 미래 예측방법론으로 만든 시나리오 기법을 경영에 접목시켰다. 이후 GBN(Global Business Network, 2001년 컨설팅사인 모니터그룹에 인수됨)이라는 회사를 만들었기 때문에 그의 기법은 회사의 이름을 따서 GBN 시나리오 기법이라 불린다.

 

슈워츠는 셸에서 예측 파트를 담당하고 있었다. 석유회사는 유전 개발을 할 때 굉장히 많은 금액을 투자해야 한다. 성공할 경우 큰 수익을 보지만 실패하면 잃는 것도 많다. 슈워츠는 오일쇼크, 독일 통일, 소련 붕괴 같은 사건들을 예측해서 투자를 해야 할 시기와 발을 빼는 시기를 예측했다. 이전까지 세계 석유산업은일곱 자매(Seven Sisters)’라고 불리던 7개 메이저 석유회사가 장악하고 있었고 셸은 그중 7등이었다. 하지만 슈워츠가 시나리오 경영을 도입하면서 급성장해 2008년도에는 포천 500대 기업 1위에 올랐다.

 

현재 셸, GE, 지멘스, IBM 같은 내로라하는 글로벌 대기업들은 자체적인 미래 예측 팀을 갖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미래 예측 분야에서 어디까지 왔는가.

한국의 대기업들도 경제경영연구소, R&D연구소는 갖고 있다. 하지만 미래연구소는 없다. 사실 미래학이 처음 한국에 들어온 것은 1960년대로 나름대로 역사가 깊다. 하지만 군사정부하에서 경제개발계획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미래학은 크게 힘을 못썼다. 한국 기업들은 선진 기업들을 벤치마킹하면서 따라가기만 하면 됐으니 따로 미래를 예측할 필요가 없었다. 그래서 경제연구소나 기술연구소에만 투자하고 미래학에는 투자하지 않았고 사람도 키우지 않았다.

 

그런데 1990년대 후반이 되면서 한국 기업들도 글로벌 선도그룹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벤치마킹을 하려면 기본적으로 1등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그 1등을 따라갈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다. 벤치마킹을 하다가 1등이 되면 스스로 미래를 예측해야 한다. 선진국, 글로벌 기업들에는 미래연구소가 눈의 역할을 한다. 우리에겐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GE, 지멘스 같은 곳에서 나오는 미래예측보고서는 한국 정부에서 예측하는 것보다 훨씬 훌륭하다.

 

현재 한국의 민간연구소나 정부에서 하는 예측은 미래 예측이라기보다는 소비 트렌드, 문화 트렌드 같은 트렌드 예측 수준이다. 트렌드 예측도 아주 가까운, 단기적인 변화를 예측하는 데에는 효과가 있지만 지금처럼 세계가 굉장히 빠르게 변하고 또 큰 틀이 변화할 때는 트렌드보다 더 큰 그림을 봐야 한다.

 

또 안타깝지만 한국의 수준은 기존에 나와 있는 예측 정보들을 모아 짜깁기하는 수준이다.미래학계는 유럽과 미국의 미래학자들이 주류를 이르고 있는데 요새는 한국 경제가 부상하면서 서구 학자들도 한국을 다루기도 한다. 한국의 연구소들도 그런 연구 결과들을 가져다 사용한다. 하지만 서구 학자들이 하는 한국의 미래 연구는 분량이 많지 않을뿐더러 기본적으로 서양의 관점에서 한국을 바라본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 기업들에 필요한 것은 한국의 입장에서 세계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 예측할 수 있는 한국형 미래예측 기법이다.

 

문제는 한국에서 미래 예측 분야에 전문적으로 훈련된 인력, 방법론을 구사할 인력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미래 예측에는 정성, 정량기법,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델링 등 40여 가지 방법론이 쓰인다. 정성적인 방법론 같은 경우에는 철학적 방법론에서 사회학적 방법론까지 사용하고 정량적 방법론에서는 통계와 미적분 방정식까지 나온다. 이것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인력이 한국에는 없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