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기업리스크관리

적벽대전의 동남풍, 노르망디의 D-Day ‘기후리스크’를 내 편으로 만들어라

| 115호 (2012년 10월 Issue 2)

 

 

들어가면서

‘적벽대전’은 삼국지의 수많은 장면 중에서도 다양한 전략이 포함된 역동적인 스토리와 웅장한 스케일 덕분에 단연 백미로 꼽힌다. 특히 천하의 지략가 조조의 대패를 이끈 결정타가 예상을 깨고 등장한 한겨울의동남풍이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아이젠하워가 이끄는 연합군에게 승리를 안긴 일등공신 역시 날씨였다. ‘D-Day’라는 암호명으로 불렸던 66일 작전 개시일이 낀 주 내내 폭풍우가 몰아쳤다. 그러나 작전 당일, 날씨는 거짓말처럼 환하게 갰고 기적적으로 갠 날씨 덕분에 연합군은 기습작전에 성공했다. 이는 2차 세계대전의 흐름을 결정적으로 바꿔놓은 전환점이 됐다.

역사의 주인공으로 종종 등장해온 기후변화는 이제 새로운 경제, 사회, 환경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기업들은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같은 기후변화 적응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개발하지 못한 기업이 대부분이다.

 

기후변화와 리스크

기후변화가 가져오는 주요 리스크에는 극심한 물 부족이나 가뭄, 홍수, 태풍 등 기상 관련 재해, 농업생산성 저하 및 식량수급 불안정성 증가, 전염병 같은 공중보건 문제 등이 있다. 이는 지역사회와 경제는 물론이고 기업에도 악영향을 미쳐 <1>과 같은 리스크를 가져올 수 있다.

최근 글로벌 경영이 확산되면서 비즈니스 동조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고 산업의 융/복합화 및 기업 간 협력 강화, 이해관계자1 영향력 증대로 상호연관성이 어느 때보다 증대됐다.2 이러한 구조에서는 특정 이벤트의 충격이 전체 시스템으로 빠르게 전이된다. 또 리스크 간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복합 리스크로 확대되거나 전혀 새로운 리스크가 발생하는 일도 잦아진다.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을 위한 기업의 실천방안

많은 기업들은 기후변화를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중대 이슈로 보고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목표관리제, 에너지경영체제 구축 활동 등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 정책입안자, 즉 정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기후/기상과 관련한 정보, 환경변화에 따른 기회와 리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인프라, 국가 기반시설의 안전, 법률/제도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그러나 민간 기업 차원에서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전략도 꼭 갖추고 있어야 한다. 다음은 기후변화와 관련한 리스크 전략을 세울 때 기업이 꼭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사항이다. 기업들은 다음의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통해 기업이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을 위해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3

 

 

 

 

 

1)기후변화 리스크는 기업에 어떤 의미를 갖는가?

먼저 기후변화가 기업에 직간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즉 기회인지 리스크인지 기업 내의 다양한 조직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 적응 전략을 핵심 사업 계획 및 관리시스템(운영, 환경관리시스템(EMS), 공급망관리(SCM), 시장전략, 전사적리스크관리(ERM), Scenario Planning )에 통합시켜야 한다. , 기후변화 리스크와 영향을 전략적으로 평가한 뒤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기존 경영 관리체계에 반영해야 한다. (수자원공사의 전사적 리스크관리 참조)

 

 

 

2)기업은 무엇을 통해 기후변화 리스크를 조정하는가?

첫째,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의 우선순위, 리스크, 기회를 반영하도록 사업목표와 성과지표를 검토하고 조정해야 한다. 명확한 운영목표의 설정은 자원 보전, 효율성, 다양성, 명성 관련 인센티브와 지속 가능한 원료공급 등에 있어서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 수익, 시장점유율 목표를 설정하게 되면 기후 적응/복원적 제품과 서비스 시장에서의 경쟁적 위치를 높일 수 있다. 이외에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기후변화 영향과 기회에 대한 노출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둘째, 기후변화는 고객과 지역 사회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고객 요구를 주기적으로 평가한 뒤 이를 반영한 기후 적응/복원적 상품과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개발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업은 지역사회와 같이 성장하면서 수익을 창출하고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 (삼성SDI의 리스크와 기회 참조)

 

 

 

 

3)기업은 어떻게 파트너십을 형성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기회를 창출하는가?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기업의 노력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기후정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개발한 뒤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소통해야 한다.

또 적극적으로 내외부 파트너(이해관계자)의 공동참여를 유도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역량을 키워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실천하는 것이 좋다. 1) 기업 내부적으로 의사결정의 핵심 이해관계자 참여 2) 산업 내 이해관계자(투자자, 공급업체, 고객, 같은 분야의 기업/경쟁회사 등)에 대한 영향력 강화 3) 공공 파트너(정책입안자, 지역사회, 시민사회) 참여

결국 효과적인 기업의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방안을 마련하려면 총체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소비자와 비즈니스 요구에 단기적으로 대응하고 단기간에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에 투자를 집중하지만 기후변화 영향은 장기적인 경우가 많고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이해관계자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보다 폭넓은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끝내면서

압도적으로 우세한 전력을 가진 조조군이 열세의 동오에 대패한 결정적 이유는블랙스완(black swan)’ 같은 동남풍 때문이었다. 한겨울에 동남풍을 예상한 제갈량과 이를 간과하고 고정관념을 깨지 못한 조조를 보면서 적벽대전의 교훈을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다시 한번 곱씹어 볼 수 있다.

16세기 프랑스에서 군사원정을 지휘하는 자를 뜻하는 의미로 사용된앙트러프러너(Entrepreneur)’ 18세기 말 이후 경제적 의미가 포함돼리스크를 부담하는 자본가(Risk-taking Capitalist)’라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기후변화 리스크에 직면한 오늘날의 기업은 혁신을 통해 리스크 속에서 기회를 찾고 고객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Adopting for a Green Economy: Companies, Communities, and Climate Change - A Caring for Climate report by the 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Oxfam, and World Resources Institute (WRI), 2011

Future Global Shocks - OECD Reviews of Risk Management Policies, International futures programme

2012 State of The Future, The Millennium Project

The Extreme Future - Tomorrow’s Climate, James Canton

The Resilient Enterprise: Overcoming Vulnerability for Competitive Advantage, Prof. Yossi Sheffi (MIT Center for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Corporate Resilience Special Report DBR April Issue1, No.78

Manage Risk and Achieve Resilience, Council on Competitiveness (www.compete.org)

DBR Special Report: Corporate Resilience - 위기 대응: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라 DBR 2011 No.78

[Strategy+] Developing Resilience 반사적 위기대응 리질리언스, 기업을 살린다 DBR 2011 No.79

 

 

 

유종기 딜로이트 기업리스크자문본부Director

필자는 고려대 국제대학원을 졸업하고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쟁력강화팀 산업전략담당 조사역, IBM Business Resilience&Continuity Services 컨설턴트를 지냈다. 현재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기업리스크자문본부 디렉터로 ISO 22399 Societal Security 전문위원, 영국 Business Continuity Institute의 한국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BCM, SPAN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A Practical Guide>가 있다.

 

이호준 삼성화재 방재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필자는 일본 도호쿠(東北)대에서 지진해일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립방재연구소를 거쳐 삼성화재 부설 삼성방재연구소에서 BCM, ERM에 대한 기업 리스크관리 서비스 팀장을 맡고 있다. ISO 22399, Societal Security 전문위원, 행정안전부, 소방방재청, 기상청 정책 자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편집자주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윤경미(숙명여대 영어영문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비를 피할지, 우산을 팔지, 전략을 세워라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2008 8월 국가 비전으로 제시된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싱크탱크다. 신성장동력으로서의 녹색성장을 글로벌 의제로 확산하고 개도국 녹색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2010 6월 설립됐다. 한국과 일본, 호주, 덴마크, 아랍에미리트 등 여러 정부가 출연한 GGGI는 기후변화 이슈와 관련해서도 리서치를 활발히 하고 있다. 국내 대표적 기후전문가 중 한 명인 김호석 GGGI Senior Program 매니저를 만나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해 산업계가 주목해야 할 것이 무엇이고 효율적인 민관협력 방안은 어떤 것인지를 들어봤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후 변화 이슈 중에서 산업계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는 이슈는 무엇인가?

“현재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과 관련한 규제에만 관심이 많다. 규제비용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경영환경을 악화시키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높다.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은 특정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규제가 아니다. 예를 들어, 유가가 상승하면 모든 산업계가 영향을 받는 것처럼 온실가스 감축 이슈도 유가 상승, 환율 변동과 비슷한 종류의 경영 이슈다. 따라서 기업들은 이러한 규제에 대한 대응에서 한발 더 나아가서 새로운 경영환경에서 어떻게 살아남고, 어떻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지 방향을 찾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특히 이 문제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관심과 지식이 필요하다. 2005년 교토의정서 발효 이후 국내 기업들은 기후변화라는 이슈에 대해 충분히 관심을 갖고 준비할 시간이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이때부터 준비해온 기업들은 많지 않다. 최근에 목표관리제가 도입되면서 규제들이 구체화되자 부랴부랴 관심을 갖게 된 기업들이 많다. 실제로 기후변화가 유발하는 변화들은 우리 주변에 너무도 많은데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깊이 있게 고민하는 기업보다 규제 자체에만 관심을 갖는 기업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기후변화 자체가 주는 물리적 영향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되는 여러 정책들로 인한 영향이다. 이 두 영향은 당연히 시장에 영향을 주고 시장 자체를 변화시킨다. 이에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규제 비용이 아무리 많이 나가더라도 경영환경에서 경쟁력이 있다면 시장에서 살아남는다.”

 

 

기후변화가 산업계에 주는 여러 영향 가운데 기업들이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기후변화가 가져오는 변화는 크게 3가지다. 기상이변과 같은 물리적 변화, 온실가스 배출 등과 관련한 규제 정책, 마지막으로 교역국의 정책이다. 이 중 해외로 수출하는 기업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교역국의 정책이다. 예를 들어 미국이나 유럽과 거래하는 기업이라면 해당 국가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을 잘 살펴봐야 한다. 기후정책을 도입한 국가의 기업들은 생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국내 기업들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기후변화 정책을 도입했을 때 실질소득이 순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장기적으로는 커진다는 분석이 많다). 이 때문에 소비가 위축될 수 있고, 이는 국내에서 수출하는 제품의 수출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산업별로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라도 기업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규제나 관련 시장의 변화, 다른 국가의 정책 변화가 자사의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제일 좋은 출발점은 기업의 경쟁력 정도를 측정하는 프레임 워크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놓고 기후변화가 각각의 구성 요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보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좋은 답을 찾을 수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측면에서 정부와 밀접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 정부에서 국내 기업들에 온실가스와 관련한 규제 비용을 줄이기 위해 도움을 주려고 해도 기업에서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다. 물론 기업의 기술정보 등을 공개하는 것에 민감할 수는 있지만 정부와 협력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정부가 2011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를 도입했다.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 본격 시행을 앞두고 대응체제를 갖추도록 한 것인데, 이와 관련해 기업에서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가?

“목표관리제는 최근에 기업에서 많이 물어보고 있는 사안이다. 목표관리제 법령을 확인해봐도 알 수 있지만 그 핵심은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 현황을 목록(registry)을 만들어서 보고하고, 이를 기반으로 목표치를 세워 관리하라는 것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면 목표보다 훨씬 많이 줄인 기업이나 획기적인 기술로 배출을 절감한 기업들은 추가적인 감축분만큼을 배출권 형태로 시장에 팔 수 있게 된다. 한국은 아직 의무 감축국은 아니지만 이에 대비를 해야 하므로 정부에서 관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일부 기업들은 아직 의무 감축국이 되지 않았는데왜 우리가 먼저 줄여야 하는가라는 반응을 보인다.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이미 의무 감축국이 된 상황이다. 목표관리제의 핵심은 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보고하고 등록부를 작성하는 것이다. 향후 탄소배출권 거래제 도입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기업들은 반드시 자사에서 어떤 에너지를, 어떤 용도로, 어떻게 쓰고 있는지 빠르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산업 기사에게 단순히 업무를 맡기는 수준을 넘어서서 해당 기업의 최고경영자가 자신의 회사가 자원을 어느 용도로 얼마나, 어떻게 쓰고 있는지 파악해야 하는 수준을 말한다. 현재 이 수준까지 도달한 국내 기업은 많지 않다. 기업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토대로 향후 생산량과 생산 방식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이 핵심이다. 목표관리제는 현재가 아닌 미래를 대비하는 개념이다.

만약 어떤 기업이 목표한 감축량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배출권을 확보해야 한다. 반면 특정 기술을 도입해 생각했던 것보다 배출량을 많이 줄일 수 있다면 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다. 목표관리제를 잘 수행하는 기업은 생산설비와 시설 등의 감가상각비를 고려해 여러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 이는 단순한 온실가스, 에너지 관련 이슈가 아니라 생산 자체, 경영 자체의 이슈이다. 결국 에너지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 미래에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빠른 파악이 필요하다.

현재는 에너지 관리공단 같은 기관에서 온라인으로 온실가스 사용량을 입력하게끔 하고 있다. ‘어떤 에너지를 사용했는가’ ‘얼마나 사용했는가’ ‘매출액이 얼마인가등의 항목이 포함돼 있다. 이렇게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이유는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관리공단 같은 규제 당국이 나선 것이다. 정부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기업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나 프레임 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현재 작업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다. 미국의 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에서 개발한 LEAP이라는 모형이 있는데 이 모형을 비즈니스 버전으로 개발해서 기업에 무료로 보급하는 방향을 추진 중이다. 이 모형을 활용할 경우, 기업이 생산 정보와 생산 계획을 입력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할 수 있다.”

 

기후변화 이슈는 민관 협력이 중요할 것 같다. 효율적인 민관 협력을 위해서 기업들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나?

“우선 자사의 문제점을 숨기면 안 된다. 괜히 노출해서 후에 손해를 보면 어떻게 하나라는 생각을 하는 기업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결국 정부와 기업 모두에게 좋지 않다. 가령 정부에서 배출량을 줄이라고 하지만 해당 기업의 핵심기술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배출량을 빨리 감축하지 못하는 기업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파악해서 정부에 구체적인 협력을 요청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공무원들은 이런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 정부에서 도울 수 있는 내용을 기업에서 도출해줘야 한다. 기후변화 이슈와 관련해서 한국 정부는 90년대 후반부터 많은 준비를 해왔다. 계획을 세운 뒤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시나리오 분석, 비용 예측, 선진국 분석, 국내 기업에 적합한 방식 연구, 국내 기업에서 이 제도를 도입하지 않는 이유 등 다양한 리서치와 분석을 해왔다. 이러한 정부의 노하우를 기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기후 변화는 위기이자 기회일 텐데 어떤 측면이 더 강한가?

“사실 기후 변화는 기업 입장에서는 당연히위기. 외생적 충격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속해서 강조하는 것은 이것이 마치 유가 상승과 환율 변동 같은 굉장히 일반적인 위기라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후 변화라는 이슈를 경영적인 반전의 기회로 삼는 기업도 존재할 것이다. 이 기회를 잡으려면 현재 직면하고 있는 경영 환경에 대한 분석들이 이뤄져야 한다. 그리고 이것이 주는 영향들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준비해야 한다. 가령 이런 비유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비가 올 때 어디에 숨을지 찾는 사람과 우산을 구해다가 파는 사람을 생각해보자.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 우산을 파는 것이 좋은 선택은 아닐 것이다. 최악의 선택은 비를 피하는 것이 나은데 무리하게 우산을 팔거나, 우산을 팔아야 하는 사람이 무작정 비를 피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자신의 기업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기업들은 지금 비를 피하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우산을 파는 것이 좋은지를 빨리 파악해서 방향을 정해야 한다.”

 

GGGI에서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에티오피아 등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녹색성장 전파사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이러한 국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기후변화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

“인구가 흩어져 있는 개도국에서는 에너지를 여러 지역에 보급하다 보니 송전 손실이 많이 발생한다. , 동일조건의 인프라 수준이라도 에너지 손실이 커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이슈에 대한 관심이 크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70년대 오일쇼크를 겪으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인프라와 기술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앞세워 개도국으로 진출하려면 일단 중기청 등 조직적인 측면에서 국내 기술의 종류, 특성 등을 영문화해서 문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현재는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 전에 덴마크 왕세자가 한국에 방문한 적이 있다. 이때 왕세자는 참석한 한국의 공무원 및 기업인들에게 덴마크 기업들이 보유한 주요 기술들을 자세히 정리한 책을 나눠줬다. 기업명, 기술 특성 등의 데이터를 한 권의 책으로 요약해 배포한 것이다. 국내 기업들이 개도국 시장에 많이 진출하려면 일단 국내 기업이 가진 기술이 무엇인지부터 알릴 필요가 있다. 책으로 된 자료뿐 아니라 중기청 홈페이지에서 PDF 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는 중소기업 개별단위의 대응으로는 불가능하다. 기업들이 이익을 생각하기 전에 정보 수집과 제공 등에 있어서 노력하고 투자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인터뷰 및 정리=신수정 기자 crystal@donga.com

 

김호석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Senior Program 매니저

필자는 연세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책임연구원,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국무총리실 기후변화대책기획단 전문위원, 국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자문위원, OECD ‘녹색성장보고서 및 지표 개발회의정부대표를 역임했다. 현재 2013 IAEE 연차회의 조직위원, 한국자원경제학회 학술위원장을 맡고 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