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리스크관리
들어가면서
‘적벽대전’은 삼국지의 수많은 장면 중에서도 다양한 전략이 포함된 역동적인 스토리와 웅장한 스케일 덕분에 단연 백미로 꼽힌다. 특히 천하의 지략가 조조의 대패를 이끈 결정타가 예상을 깨고 등장한 한겨울의 ‘동남풍’이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아이젠하워가 이끄는 연합군에게 승리를 안긴 일등공신 역시 날씨였다. ‘D-Day’라는 암호명으로 불렸던 6월6일 작전 개시일이 낀 주 내내 폭풍우가 몰아쳤다. 그러나 작전 당일, 날씨는 거짓말처럼 환하게 갰고 기적적으로 갠 날씨 덕분에 연합군은 기습작전에 성공했다. 이는 2차 세계대전의 흐름을 결정적으로 바꿔놓은 전환점이 됐다.
역사의 주인공으로 종종 등장해온 기후변화는 이제 새로운 경제, 사회, 환경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기업들은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같은 기후변화 적응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개발하지 못한 기업이 대부분이다.
기후변화와 리스크
기후변화가 가져오는 주요 리스크에는 극심한 물 부족이나 가뭄, 홍수, 태풍 등 기상 관련 재해, 농업생산성 저하 및 식량수급 불안정성 증가, 전염병 같은 공중보건 문제 등이 있다. 이는 지역사회와 경제는 물론이고 기업에도 악영향을 미쳐 <표1>과 같은 리스크를 가져올 수 있다.
최근 글로벌 경영이 확산되면서 비즈니스 동조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고 산업의 융/복합화 및 기업 간 협력 강화, 이해관계자1 영향력 증대로 상호연관성이 어느 때보다 증대됐다.2 이러한 구조에서는 특정 이벤트의 충격이 전체 시스템으로 빠르게 전이된다. 또 리스크 간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복합 리스크로 확대되거나 전혀 새로운 리스크가 발생하는 일도 잦아진다.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을 위한 기업의 실천방안
많은 기업들은 기후변화를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중대 이슈로 보고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목표관리제, 에너지경영체제 구축 활동 등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 정책입안자, 즉 정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기후/기상과 관련한 정보, 환경변화에 따른 기회와 리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인프라, 국가 기반시설의 안전, 법률/제도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그러나 민간 기업 차원에서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전략도 꼭 갖추고 있어야 한다. 다음은 기후변화와 관련한 리스크 전략을 세울 때 기업이 꼭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사항이다. 기업들은 다음의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통해 기업이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을 위해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1)기후변화 리스크는 기업에 어떤 의미를 갖는가?
먼저 기후변화가 기업에 직간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즉 기회인지 리스크인지 기업 내의 다양한 조직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 적응 전략을 핵심 사업 계획 및 관리시스템(운영, 환경관리시스템(EMS), 공급망관리(SCM), 시장전략, 전사적리스크관리(ERM), Scenario Planning 등)에 통합시켜야 한다. 즉, 기후변화 리스크와 영향을 전략적으로 평가한 뒤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기존 경영 관리체계에 반영해야 한다. (수자원공사의 전사적 리스크관리 참조)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