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동양고전의 지혜

문 활짝 열어 살피고, 셋 드러낼때 하나 감추고… 마음을 비워 古典의 지혜 담다

한상만 | 109호 (2012년 7월 Issue 2)




 

누군가가왜 고전을 읽는가라고 묻는다면 나는 이탈로 칼비노가 했던 말을 전해주고 싶다. 고전이란 읽을 때마다 처음 읽을 때와 같이 무엇인가를 발견한다는 느낌을 갖게 해주는 책이다.” 고전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지혜와 통찰력은 결코 복잡하거나 화려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단순하지만 근본적이고 매우 강한 힘이 있는 깨달음의 지혜, 깨달음의 통찰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깨달음으로 우리는 고전을 읽을 때마다 새로운 발견을 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전을 통해서 얻는 깨달음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보편적인 가치를 담고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전은 고전이 쓰인 그 시대에만 머물지 않고 시대를 뛰어넘어 지금 우리가 직면한 현실의 문제에 대해서도 새로운 지혜와 통찰력을 제공한다.

 

특히, 동양의 고전에서 우리는 경영의 핵심을 관통하는 지혜와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은 치열한 경쟁의 시대에 동양 고전을 통해서 경영자들은 경영의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사목사총(四目四聰)의 깨달음

동양 고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은 <서경(書經)>이다. <서경>은 요순시대의 요임금과 순임금에서 시작해 진나라 목공 때에 이르기까지의 훌륭한 제왕들이 행한 정치적 행적과 발언에 관한 기록이다. <서경>의 내용은 이제삼왕수제치평(二帝三王修濟治平)의 도()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중국 역사에서 가장 이상적인 왕으로 생각하는 요()와 순() 이제(二帝)와 우(), (), 그리고 문무(文武)라는 삼왕(三王)의 도가 세세히 기록돼 있는 것이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많은 경전 중에서 정치서의 으뜸으로 <서경>을 꼽고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이러한 역사기록이 소중히 전해진다는 것은 여전히 이러한 왕들의 도()를 통해서 배우는 지혜와 통찰력의 깨달음이 크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경>이 기록하고 있는 많은 왕들 중에서도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것은 바로요순시대의 요임금과 순임금일 것이다. 요임금은 나라의 정치가 안정되자 바로 자신을 이을 후계자를 찾는 일에 나섰다. 한 나라를 이끌어가는 왕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 국가경영의 연속성이라면 한 기업을 이끌어가는 경영자도 기업경영이 안정되면 바로 기업경영의 리더십을 어떻게 발굴하고 양성하고 선택하는지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요임금은 후계자를 정하는 데 있어 자신의 아들을 택하지 않고 일반 백성 중에서 가장 훌륭한 사람을 찾았다. 신하들이 순이라는 사람을 천거하면서 그 천거의 이유를 극진한 효심 때문이라고 말했다. 요임금은 한 나라를 이끌어 갈 사람의 가장 중요한 자질을 효심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 이유는 부모의 큰 사랑을 진심으로 깨달은 사람만이 진정으로 부모에게 효심을 느낄 수 있고 이러한 큰 사랑을 받은 사람만이 진정으로 자신의 주위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요임금은 순을 시험하기 위해서 두 딸을 순에게 시집 보내서 그를 존경하는지 보았다. 두 딸이 모두 순을 존경하자 요임금은 순에게 다양한 일들을 맡겨서 두 번째 시험을 했다. 가장 먼저 교육의 일을 맡겨보고, 이를 잘 수행하자 그 다음으로 경제의 일을 맡겨보고, 그것도 잘 수행하자 외교의 일을 맡겨보았다. 이 일들을 모두 잘 수행하자 마지막으로 세 번째 시험을 했는데 그것은 나라의 모든 산과 강을 다스리는 일이었다. 순이 이 일을 맡고 나서 나라에 아무런 재난이 없는 것을 보고 요임금은 순에게하늘의 뜻이 너와 함께 있구나라고 말하며 순에게 왕이 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순은 자신이 왕이 될 만한 자질이 부족하다며 사양했고 결국은 요임금의 명령으로 요임금이 섭정을 하며 순을 왕으로서 준비를 하게 했다. 이렇게 30년에 걸친 요임금의 섭정기간 동안 왕으로서의 배움을 닦은 순임금이 왕위에 올라서 처음으로 한 일이 무엇이었을까? 한 나라의 왕이 되는 것이 한 기업의 경영자가 되는 것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면 순임금이 왕으로 즉위해서 한 첫 번째 일이 무엇인지를 통해서 기업의 경영자가 해야 할 가장 근본적인 일이 무엇인지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서경(書經)>의 우서(虞書) 순전(舜典)에 기록된 고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詢于四岳(순우사악)하사 闢四門(벽사문)하시며 明四目(명사목)하시며 達四聰(달사총)하시다.”

“순임금이 사악에게 물어, 사방의 문을 열어놓고, 사방의 눈을 밝히고, 사방의 귀를 통하게 하셨다.”

순임금은사목사총(四目四聰)’의 리더십을 가장 먼저 행했던 것이다. ‘사목사총의 리더십은 도대체 어떤 리더십일까? ‘사목사총은 순임금이 즉위한 뒤 가장 먼저 행한 것이라는 것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는데 이것이 갖는 직접적인 시사점은 임금의 자리에 오른 순임금이 가장 먼저 생각한 것은 바로 백성이며 이러한 백성을 잘 살피기 위해서 사방의 문을 열어 사방을 잘 살피고자 노력했다는 것이다. 모든 방향으로 눈과 귀를 활짝 열어 백성을 위하며 변화에 눈과 귀를 활짝 열어 정치의 비전을 세우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목사총의 리더십은 현대 경영 환경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며 경영 환경을 넘어서 오늘을 살아가는 많은 지도자들에게 새로운 깨달음을 제공해줄 수 있다.

 



그런데 이사목사총의 의미는 단순히 직역하는 것을 넘어서 더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사목사총의 고사에는 사방(四方)이라는 말이 세 번 나온다. 사방의 문을 열고 사방으로 눈을 밝히고, 사방으로 귀를 통하게 했다는 말에서 세 번씩 나오는 사방(四方)은 동서남북을 의미한다. 그러나사방이라는 것은 단순히 방위적으로 동서남북의 4가지 방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사방에는 동서남북을 넘어서는 그 이상의 의미가 내포돼 있다. ‘사방의 의미는 요임금이 왕이 돼서 처음 행한 일이 무엇인가를 이해하면 그 진정한 의미를 알 수 있다. 요임금은 임금의 자리에 올라 가장 먼저 하늘의 이치를 알고자 했다. 당시는 농경사회였고 백성들이 농사를 지으며 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조건은 바로 하늘의 때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때를 알지 못하면 씨 뿌려야 할 때 뿌리지 못하고, 수확해야 할 때 수확하지 못한다. 그래서 요임금이 가장 먼저 한 일이 바로 하늘의 때를 아는 것이었다.

 

<서경>에 기록된 요임금의 고사를 살펴보면 요 임금은 희중이라는 신하에게 명령해 동쪽 끝 양곡이라는 곳에 살게 해서 해 뜨는 것을 관찰하게 한다. 동쪽 어디서 해가 나올 때에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지를 파악해서 이날을 춘분(春分)으로 정한다. 희숙이라는 신하에게는 남쪽 모퉁이에 살게 해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 언제인지를 알아내서 하지(夏至)로 정하고, 화중이라는 신하에게 명하여서 서쪽 끝에 살게 해 해지는 곳을 살피게 해 다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을 때 해가 지는 곳을 알아내 추분(秋分)이라고 했다. 북쪽의 유도라는 곳으로 화숙이라는 신하를 보내서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을 찾아서 동지(冬至)로 정했다.

 

따라서사방의 동서남북은 각각 봄(동쪽), 여름(남쪽), 가을(서쪽), 겨울(북쪽)을 의미하며 결국사방의 눈을 열고사방의 귀를 통한다는 네 가지 방향의 의미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삶의 원리에 대한 깨달음에 눈을 뜨고 귀를 기울인다는 뜻이 담겨 있다. 이러한사계절이 동양 고전의 주역(周易)에서는 하늘의 이치라고 설명하고 있다. 요임금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가장 먼저 행한 일인 사계절의 춘분, 하지, 추분, 동지를 동서남북의사방에서 살피고 찾아낸 것은 동서남북의사방과 춘하추동의사계절과 같은 의미를 공유한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주역(周易) 1장 중천건(重天乾)에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온다.

()이라 (), (), (), ()하니라.”

“하늘의 이치는 봄에 만물의 삶이 시작되듯 일을 시작하며, 여름에 만물이 무성해지듯 떨쳐 일어나 적극적으로 일을 처리하며, 가을에 만물이 결실하듯 일을 마무리하고, 겨울에 만물이 정지하여 봄을 기다리듯 가만히 참고 견디면서 만물을 분별한다.”

 

‘삼현일장(三顯一藏)’의 원리

여기서 원형리정(元亨利貞)이라는 것은 주역에서 말하는 하늘의 이치를 뜻한다. 원형리정(元亨利貞)에서 원()은 봄을 의미하며, 시작을 의미하고, ()은 여름의 의미로, 뻗어나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는 가을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어떤 결실을 맺는다는 의미다. ()은 겨울을 나타내는 말로 어떤 것을 정리하고 준비하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계절은 결국 하늘의 이치와 닿아 있다는 것이다. 사계절의 진행과정에서 보면 봄, 여름, 가을은 만물이 활동하지만 겨울은 성장과 활동이 정지된다. 이것이 바로 하늘의 작용에서 나타나는 대원칙이다. 세상의 모든 일들이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깨달음을 가져야 한다. 주역에서는 이러한 하늘의 대원칙을 가리켜서삼현일장(三顯一藏)’의 원리라고 부른다. , 셋은 드러내고 하나는 감춘다는 것이다. 무슨 일을 할 때든지 새롭게 시작하는 일에 25%의 시간을 쓰고, 크게 키워가는 일에 25%를 사용하고, 결실을 맺고 이익을 거두는 일에 25%를 사용해야 하며, 25%는 남겨두어서 새롭게 준비하는 일을 위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 경영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하늘의 이치에 따라서 경영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사업 중에서 시작하는 사업들이 있을 것이고, 크게 번성시키고 키워나가는 사업들이 있을 것이며, 또한 이익을 거두고 결실을 맺는 사업의 일들이 함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항상 키우기만 하고 결실만 맺기만 하는 사업은 하늘의 이치와 맞닿은 경영이라고 할 수 없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것은 기업경영에 있어서 감추어진 부분, 일장(一藏)의 경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보이는 사업들이 화려하다고 할지라도 시작하고, 키우고, 결실을 맺는 경영, 삼현(三顯)의 경영이 성공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 더욱 중요한 깨달음은일장(一藏)의 경영이 그 근본에 놓여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하늘의 이치와 맞닿는 경영의 원리라고 할 수 있다.

 

, 여름, 가을, 겨울 중에서 겨울은 혹독한 계절이다. 하지만 이 혹독한 계절이야말로 진정으로 봄에 싹을 피울 수 있는 씨앗만을 엄선하는 하늘의 운행이며, 이 혹독한 계절이야말로 여름에 크게 성장할 잠재력을 가진 것들을 준비하는 과정이며, 가을에 큰 수확을 가능케 하는 것들을 추려내는 준비의 기다림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경영에 있어서도 혹독한 겨울의 시련을 견뎌 내거나 아니면 자기 혁신의 과감한 개혁을 통해서일일신 우일신(日日新 又日新)’하는 기업들만이 지속적으로 사업을 시작하고 성장시키고 결실을 맺는지속 가능한경영을 하는 기업들이 될 것이다.

 

Apple일장(一藏)의 경영
최근 iPhone iPad의 여세를 몰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혁신적인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업인 Apple도 이러한 삼현일장(
三顯一藏)의 경영 원리를 잘 실천하는 기업이라고 생각한다. Apple iPho

ne에 사용하는 부품을 자신들의 1차 협력사들로부터 공급받는다. Apple 1차 협력사와의 공급계약 시에 1차 협력사가 다시 부품들을 공급받는 2차 협력사와 3차 협력사에 대해서 약 70% 이상을 직접 정해서 계약에 명기한다고 한다. Apple은 신제품 개발을 위해서 1차 협력사뿐만 아니라 2, 3차 협력사들과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한다. 이 부분은 나타나지 않고 드러나지 않는일장(一藏)의 경영이라고 할 수 있다. Apple이 새롭게 시장에 내놓는 신제품에 소비자들은 열광하고 빠르게 성장하는 Apple의 매출과 이익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지만 이렇게 나타나는 일들 즉, 시작하고 키우고 결실을 맺는 삼현의 경영이 가능하기 위해서는일장(一藏)의 경영을 얼마나 진지하게 해나가는가가 핵심이다. Apple 1차 협력사와 함께 일을 할 때 1, 2, 3차 협력사 각각을 Apple R&D팀이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방문해 3년 후의 제품을 서로 협의해나가며 제품의 기술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고 이들의 개발과정을 모니터한다. 이러한일장(一藏)의 경영을 통해서 Apple은 지속적으로 혁신적인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회사후소(繪事後素)일장(一藏)의 경영

<논어(論語)>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동양 고전이다. <논어>는 공자(孔子)의 말씀을 기록한 책이다.

<논어>에 나오는 많은 지혜와 가르침 중에서회사후소(繪事後素)’라는 고사가 있다. <논어(論語)>의 팔일(八佾)편에 다음과 글이 있다.

子夏問曰巧笑倩兮(자하문왈교소천혜)美目盼兮(미목반혜)素以爲絢兮(소이위현혜)라하니 何謂也(하위야)잇고 子曰繪事後素(자왈회사후소)니라.”

“공자의 제자 중 공자가 아주 많이 아꼈던 제자 중 하나인 자하(子夏)가 공자에게 질문을 하였다. 자하의 질문은보조개를 담고 있는 아름다운 미소와, 아름다운 눈매, 그리고 소박한 듯하면서 화려함을 담고 있는 것이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자하의 질문에 대해 공자는회사후소(繪事後素)”라고 답하였다.”

자하의 질문은 여인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옛 시의 한 구절에 대한 질문이었다. 이 질문에 대해서 공자는 회사후소(繪事後素)라고 답하면서 그림을 그리는 일은 바탕을 희게 한 후의 일이라고 말했다. 이는 소박한 마음이 바탕이 돼야 외관의 아름다움이 빛을 발한다는 것을 의미한 것이다.

 

회사후소(繪事後素)가 경영자에게 전해주는 깨달음은 한마디로 말해서 근본의 강조이다. 도화지의 바탕이 하얀 상태에서 아름다운 그림을 그릴 수 있듯이 본 바탕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준비한 후에야 비로소 새로운 사업의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이러한 회사후소(繪事後素)의 가르침은 결국일장(一藏)의 경영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한다. 기업의 경영자들은 사업이 어려워지면 그림에 더 많은 덧칠을 하려는 경향이 있다. 더 많은 유통채널을 늘리고, 새로운 브랜드명으로 바꾸고, 더 많은 제품라인들을 추가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미 다른 그림이 그려진 도회지 위에 덧칠을 해서 아무리 새로운 그림을 그려도 그 그림은 엉망이 되듯이 새로운 사업의 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회사후소의 마음으로 근본을 새롭게 다지는 준비의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회사후소의 깨달음은 경영자들에게 기업의 내실과 근본을 튼튼하게 할 수 있는 경영 철학의 지혜를 얻을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복잡 다양한 경영 환경에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준다.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는 것이 본 바탕을 희게 한 후에 비로소 가능하듯이 기업 경영이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때 그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도 본 바탕을 하얗게 한 후에 가능하다.

 


‘소(
)’의 경영

시장에서 훌륭하게 성공한 기업의 공통점은 바로 모두 어려움과 위기를 겪고 그것을 슬기롭게 잘 극복해나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어려움의 극복과정에는 본 바탕을 희게 만드는(
)’의 경영이 있었다. 이러한()’의 경영을 대표적으로 보여준 기업이 바로버버리(Burberry)’. 1856년에 처음 출시된 브랜드인 버버리(Burberry)의 대표 아이템은 트렌치코트다. 버버리 트렌치코트는 영국 왕실에서도 즐겨 입던 옷이었으며카사블랑카티파니에서 아침을이라는 영화에 등장하면서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버버리는 점차 40대 아저씨가 입는 옷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리고 버버리는 트렌드의 중심에 서있는 젊은이들에게 외면당하기 시작했고 설상가상으로 눈앞의 이익만 생각해 전 세계적으로 라이선싱을 남발하면서 90년대 말에는 브랜드가 거의 사라질 위기에 봉착했다. 이때 ‘Saks Fifth Avenue’ 백화점의 CEO였던 Rose Marie Bravo가 새롭게 버버리의 CEO로 참여하게 된다. Bravo는 새로운 경영을 천명하며()’의 경영으로 버버리 브랜드를 새롭게 바꿔가기 시작했다. 이때 Bravo가 했던 것은 단순히 그려진 그림 위에 덧칠하고 그림을 바꾸는 것이 아니었다. 기존에 그림이 존재하는 바탕을 하얗게 만드는()’를 강조하며 다각적으로 브랜드를 구조조정하기 시작했다. 브랜드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요인 중 하나였던 라이선싱을 과감하게 정리했고 10만 개에 이르던 Stock Item 2만 개로 정리해 버버리의 핵심 Item만 남겼다. 이러한 구조조정은 아름답고 가치 있는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흰 바탕을 만드는 회사후소의 기본이다.

 

그 후 Bravo는 버버리를 위한 새로운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러한 새로운 그림을 위해서 주력한 것은 바로 새로운 인재의 영입이었다. 트렌드를 가장 잘 아는 디자이너를 영입하고,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능숙한 Director를 영입해 20대와 30대의 젊은이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브랜드를 만들어가기 위한 첫 단추를 끼웠다. 이것이 바로 깨끗한 바탕 위에 그림을 그리는()’의 경영 철학이다. 과감한 구조조정과 인재 영입을 통해서 버버리는 위기를 훌륭하게 극복하고 다시금 훌륭한 브랜드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 중심에는 Prorsum이라는 버버리의 Sub-Brand가 있었다. 다시 말해서, 회사(繪事)의 중심에 Burberry Prorsum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버버리는 이 Prorsum이라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다시 살아나기 시작했다. Gucci Chanel과 같은 럭셔리 브랜드를 구매하기에는 너무 부담스럽고 Polo Ralph Lauren이나 Coach와 같은 life style 브랜드보다는 고급스러운 브랜드를 찾고 있던 20∼30대의 젊은 이들에게 버버리는 새롭게 다가가기 시작했다. 이른바 Accessible Luxury라는 포지셔닝을 바탕으로 고급 럭셔리 브랜드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사이의 빈 공간을 공략했고, 그러한 전략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버버리가 다시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데 매우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이로써 버버리는 20∼30대의 젊은 세대들, 특히 젊은 여성들이 좋아하는 브랜드로 다시 태어날 수 있었다. 2011년 인터브랜드의 브랜드 조사에 따르면 2010년 대비 브랜드 가치가 가장 많이 성장한 5개의 브랜드 중에서 Samsung, Apple, Google, Amazon과 같은 IT기업 외에 유일하게 선정된 브랜드가 바로 버버리(Burberry).

깨달음과 Epiphany

동양고전이 전해주는 이러한 깨달음의 지혜는 수천 년이 지난 오늘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강력한 힘을 갖는다.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끊임없는 경쟁하고 있는 이 시대에 동양고전은 경영자들에게 깊은 깨달음의 통찰력을 전해준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깨달음의 중요성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뿐 아니라 동양과 서양을 넘나든다. 깨달음을 영어로 표현하면 ‘Epiphany’라고 한다. Epiphany는 마치눈이 확 뜨이는 생각과 같은 깨달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최근 에서도 깨달음(Epiphany)에 대한 글을 싣기까지 했다. 에 기고된 글인 ‘Technology Epiphanies’에서 저자 Roberto Berganti는 기술적인 통찰력과 깨달음이 고객들에게 얼마나 새로운 가치를 선사해줄 수 있는지 역설하고 있다. (DBR 106, 130∼135p., 고객 경험을 혁신하는 기술적 통찰력 참조) 새로운 디지털 기술에서 통찰력을 얻고 깨달음을 얻어, 시장에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함으로써 시장에서 큰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동양고전에서 강조하고 있는깨달음의 지혜에서 얻을 수 있는 경영의 철학은 매우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그러한 사물에 대한 근본적인 깨달음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지속성이 있으며 강력한 힘과 지혜를 바탕으로 또 다른 깨달음으로 연결된다.

 

 

 

한상만 성균관대 경영학과 교수

필자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경영학 석사를,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 경영전문대학원 부원장과 경영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古典에서 배우는 경영 인사이트40> <현대마케팅> <브랜드전략> <경쟁우위 마케팅 전략> <웹마케팅 혁명> 등의 책을 썼다. 일주일에 한 번씩 저녁시간에 <사서삼경>을 배우는 수업을 청강하는 것에서 큰 즐거움을 얻고 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