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EO를 위한 인문고전 강독

패션의 제국: 탈권위의 옷의 역사를 말하다

김원철 | 87호 (2011년 8월 Issue 2)

편집자주
21세기 초경쟁 시대에 인문학적 상상력이 경영의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DBR은 ‘CEO를 위한 인문고전 강독’ 코너를 통해 동서고금의 고전에 담긴 핵심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사상과 지혜의 뿌리가 된 인문학 분야의 고전을 통해 새로운 영감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혁신이 현대인의 새로운 종교가 됐다. 폐교 위기에 몰렸던 시골 학교의 감동적인 부활스토리부터 스티브 잡스의 성공신화에 이르기까지 혁신을 예찬하는 목소리가 드높다. 어느 시도의 구청장은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하는 기관으로 거듭나겠다”는 소회를 공공연히 밝혔다. 정책의 일관성을 견지해야 할 기관장마저 혁신의 전도사가 됐으니 혁신은 확실히 우리 시대의 복음이 된 셈이다. 허나 말만큼 쉽지 않은 것이 혁신이다. 도대체 무얼 어떻게 바꾸라는 말인가?
 
동서양을 넘어 혁신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칸트다. 흔히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으로 지칭되는 그의 혁신은 서양 철학사를 둘로 나누는 분기점이 됐다. 코페르니쿠스는 움직이는 것은 태양이 아니라 지구라고 말했다. 칸트도 세계와 인간의 관계를 180도 뒤집어놓는다. 사물들이 서로 원인과 결과를 이루기에 우리가 인과성을 터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인과성을 통해 사물들을 인식하기 때문에 어떤 사물은 다른 사물의 원인 혹은 결과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사상사에 있어 모든 혁신들이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통해서만 이뤄졌던 것은 아니다. 질 리포베츠키(Gilles Lipovetsky)는 너무 뻔한, 그래서 하등 논쟁거리가 되지 못한다고 여겨지는 소재를 통해 오히려 사고의 혁신을 꾀했던 인물이다. 그의 처녀작이라 칭해도 좋을 <패션의 제국>
(1987)은 20세기 마지막 사상논쟁의 불씨가 됐으니 그 혁신성이 대충 짐작이 간다.
 
리포베츠키가 일차적으로 주목했던 측면은 유행의 덧없음이다. 세상천지에 패션만큼 변덕스러운 것이 또 있으랴. 어느 해에는 롱스커트가 유행하다가 그다음 해에는 한 뼘도 안 되는 짧은 치마가 멋쟁이 여성들의 필수품이 된다. 왜냐고 물어보면 싱거운 답변만이 되돌아온다. ‘멋있잖아요!’ 당연지사 옷은 멋으로 입는다. 그렇다고 유행에 미적 기준이 딱히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신체에 꼭 달라붙는 레깅스가 최근 멋으로 통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민망한 의상이었을 뿐이다. 유행은 한철이다. 어제까지만 해도 최첨단 유행으로 통하던 의상들이 오늘은 밋밋하고 몰개성적이고, 심지어는 구태의연한 것으로 배척된다. 그나마 유행에 원칙이 있다면 그것은 날로 새로워져야 한다는 것이다. 변덕은 예외가 아니라 영구한 규칙이다.

덧없이 흘러가는 것이 유행이기에 유행을 좇는 사람들도 많은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 이번 여름에 구매한 티셔츠를 몇 해 후엔 입지 못할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옷이 너무 낡아서? 아니다. 단지 유행에 뒤떨어지기 때문이다. 유행은 철저히 현재적인 만족을 위한 것이다. 지금 저 옷을 입었을 때 사람들에게 어떤 이미지로 보일지가 중요하다. 옷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물건들도 마찬가지이다. 막 출시된 아이폰을 구입하기 위해 길게 줄을 선 사람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제품의 이미지이지 기능은 아니다. 이처럼 유행은 사물들과 우리의 관계를 바꾸어놓는다. 실용적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유희적인 것으로.
  

 

덧없음과 유혹 외에 패션을 특징 짓는 또 다른 요소가 있다. 리포베츠키의 표현을 그대로 옮겨보자면 패션은 ‘지엽적인 차별화(la différenciation marginale)’를 통해 작동한다. 유행이 변했다고 해서 의복의 전체적인 구조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틀 자체를 뒤집는, 소위 칸트적인 혁신이 패션에서는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한 혁신은 천재들에게나 가능한 일일 것이다. 예술을 천재의 소산으로 규정했던 칸트, 어쩌면 혁신을 너무 엄격하게 이해했기 때문은 아닐까? 어쨌든 패션의 변화는 다분히 키치적이다. 의복의 기본 구조는 그대로 유지한 채 칼라의 형태, 소매의 넓이, 단추의 크기 같은 작고 사소한 변화들을 통해 새로운 패션이 창조된다. 액세서리처럼 있으나 마나 한 것들이 유행을 좌지우지한다. 유행이 덧없는 이유이다. 하지만 이는 패션의 무한한 가능성을 뜻하기도 한다. 개인들은 그들의 취향에 따라 이것저것 덧대고 끼워 맞추면서 새로운 패션을 창조해낸다.
 
작고 시시한, 그래서 경우의 수가 무한히 많을 수밖에 없는 변형들 덕에 우리는 진정한 혁신의 주체가 됐는가? 아니면 한물 지난 유행을 허겁지겁 좇아가기 바쁜 속물주의가 우리의 실상인가? 리포베츠키의 <패션의 제국>이 촉발시켰던 철학논쟁의 요지가 여기에 있다. 새로운 것을 미친 듯 추구하는 근대적인 열정을 칸트의 후예들은 소비주의의 허위의식이라며 맹비난하고 나선다. 예술마저 문화상품으로 만들어버리는 대중문화의 가벼움, 그것은 또한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다.
 
리포베츠키도 대중문화의 가벼움을 인정한다. 하지만 그것은 ‘참을 수 있는 의미의 가벼움’이다. 작은 액세서리들이 새로운 패션을 만들어내듯 문화 역시 작고 사소한 의미의 편차를 통해 생명력을 얻는다. 문제는 오히려 무거움에 대한 식자층들의 강박관념이다. 문화는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무언가 진지한 의미를 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인지 변덕스럽고 일시적인 것들은 진지하지 못한 것처럼 여겨진다. 그것들은 합리화될 수 없는, 우발적이며 비이성적인 것들로 낙인찍힌다.
 
역설적으로 들리겠지만 패션은 비이성적이라는 바로 그 이유로 획일적인 사유방식에 대한 도전이 된다. 사상적으로 리포베츠키의 대척점에 서있었던 알랭 르노(Alain Renaut)도 이 점만은 인정한다. “철학이나 사회학처럼 현실의 합리성을 생각하거나 사회 영역의 논리를 밝히려는 분야에서 볼 때 패션은 당연히 합리성이라는 전제가 유지되기 아주 어려운 것들 중 하나로 보이는 어떤 돌발이다. 사실 변덕스러운 것의 역사에서 어떻게 하나의 관점을 찾을 것인가? 패션이라는 주제가 아주 흥미로운 이유는 여기에 있고 그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리포베츠키의 혁신 전략은 매우 독창적이다. 새로운 논리를 도입하기보다는 패션의 전개양상을 충실하게 따라가면서 그것의 내재적인 논리를 찾는다. 일단 패션의 사회적 논리가 밝혀지고 나면 사회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 역시 조금씩 바뀌게 된다. 패션의 사회적 논리가 전적으로 새로운 사유방식에 기반을 둔 것임을 깨닫게 되는 것은 논의가 완전히 마무리된 후다.
 
단적인 예로 리포베츠키는 패션처럼 조직된 경제 질서를 서술해 나간다. 현재 생산되는 제품의 80∼90%가 10년 안에 쓸모없어질 것이다. 구모델을 신모델로 교체해주는 계획적 폐용이 날로 가속화되는 실정이며 그 결과 공급과 수요는 ‘새로운 것’을 중심으로 순환한다. 신모델과 구모델의 차이란 여간해서 눈에 띄지 않는다. 어찌 보면 하등 쓸모없어 보이는 부차적인 기능들이 덧없는 신상품의 지위를 보장해준다. 하지만 새롭다는 이유만으로 소비자들을 유혹하기 충분하다. ‘덧없음’ ‘유혹’ ‘지엽적인 차별화’라는 패션의 세 가지 논리가 시장에도 적용됨을 깨닫게 된다. 바로 그 순간 경제를 토대로, 문화를 상부구조로 규정하는 전통적 패러다임은 붕괴된다.
 
패션처럼 조직된 경제는 새로운 것에 대한 열정이 패션뿐만 아니라 사회 전 영역에서 집단생활의 조직원리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현대 사회에 국한된 이야기이다. ‘토가’라 불리는 길고 펑퍼짐한 로마 남성들의 의상은 로마제국 초창기부터 제국이 멸망하는 날까지 변하지 않고 지속됐다. 멋과는 무관하게, 전통이 부여하는 가치에 따라 옛사람들은 의상을 착용할 뿐이다. 옷은 멋으로 입는다는 생각이 당연시된 것은 사실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전통의 권위로부터 개인들의 삶이 해방되면서 패션에 대한 관심이 싹튼 것이다. 이 점에서 새로운 것에 대한 열정은 탈권위주의적이며 민주주의적인 가치에 대한 열망이다. 어느 영역에서건 혁신 예찬이 공허한 말로 그치지 않으려면 민주주의적 가치가 우선적으로 존중돼야 한다. 혁신의 요체는 바로 탈권위주의이다.

 

김원철 철학박사 won-chul-kim@hanmail.net
 
필자는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벨기에 루뱅대에서 철학 석사 학위를, 파리 고등사회과학원(E.H.E.S.S)에서 스피노자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특히 윤리학의 역사, 스토아철학, 아우구스티누스에 관심을 갖고 관련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