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신종플루로 기업이 ‘다운’되지 않으려면

| 43호 (2009년 10월 Issue 2)

신종플루로 인한 피해와 우려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 9월 27일 현재 전 세계 신종플루 감염자가 34만여 명에 이르고, 사망자는 4000명을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한국에서도 사망자가 10명을 넘어섰다.

신종플루와 같은 독감 바이러스는 날씨가 서늘해지면서 전염 위험성이 높아진다. 백신에 저항력을 갖거나, 지금보다 치사율이 더 높은 변종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WHO는 10월 4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특히 빈곤국들이 신종플루의 폭발적 발생 위험에 직면해 있으며 변종 바이러스가 출몰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선진 기업의 발 빠른 대응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의 주요 기업들은 속속 신종플루에 대비한 비상 계획을 세우고 있다. 딜로이트는 90페이지에 이르는 ‘신종플루 대응 계획(Influenza Preparedness and Response Plan Template)’을 배포 중이며, IBM 역시 상세 매뉴얼(Infectious Disease and Pandemic Response Procedure)을 통해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CNBC 인터넷판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최근 신종플루로 사무실에 나오지 못하는 직원들을 위해 원격회의와 재택근무 전략을 수립했다. 일본에서는 정부가 나서 중소기업들까지 신종플루 대응 계획을 세우게 하고 있다.

 
선진국 기업들이 이렇게 신종플루 문제에 적극 대처하는 이유는 대규모 전염병이 기업의 활동과 이익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신종플루 청문회에서는 “부적절한 대응이 200억 달러에 이르는 기업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부분의 한국 기업들은 체계적인 준비와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대다수 기업들이 임직원 개인 위생 강화나 감염자 격리 등의 소극적 예방 활동에만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준비하고 있는 기업 vs. 그렇지 못한 기업
선진 기업들은 신종플루 등 전염병의 리스크를 파악하고, 그에 구체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Business Continuity Plan-ning·BCP)’이란 개념을 도입해 활용한다. BCP는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한 선진 리스크 관리 체계로, 금융감독원이 ‘업무 연속성 계획’이란 용어로 소개한 바 있다. 영국에서는 ‘조직을 위협하는 잠재 영향을 파악하게 해주고, 만일의 사태에 필요한 대응과 복원 역량을 확보하게 해주며, 주요 이해관계자의 이익과 조직의 평판, 브랜드 및 가치 창출 활동을 효과적으로 보호해주는 통합 경영 프로세스’로 정의한다.
 
BCP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발생 가능성은 낮지만 충격과 영향이 매우 큰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기업이 충격에서 빨리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이런 능력은 ‘리질리언스(resilience)’라는 개념으로 함축할 수 있다. 선진 기업들은 리질리언스를 확보하기 위해 ‘전사적 리스크 관리(Enterprise Risk Management)’를 도입하고, 중점 관리 대상 리스크에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BCP를 수립한다.
 
신종플루 관련 BCP는 발생 단계별 사업 운영 체계(예: 교차근무, 재택근무)를 미리 계획하고, 비상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자원(인력, 물자, 프로세스, 시설)을 확보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BCP를 도입한 기업은 전염병의 대유행기에도 핵심 업무를 일정 수준으로 지속할 수 있다. 또 질병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 빠른 경영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BCP가 없는 곳은 감염된 임직원들이 결근해 조업률이 급격히 떨어지고, 핵심 업무가 중단됨은 물론, 경영진을 포함한 핵심 인력이 감염될 경우 제품 생산 또는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게 된다. 결국에는 납기를 제때 못 맞춰 고객이나 거래처의 신뢰를 잃게 되고 법적 소송까지 당할 수 있다.(그림1)
 
BCP 도입의 4단계
그렇다면 개별 기업에서는 BCP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신종플루 대응을 위한 BCP 도입은 ‘분석(Analyze)’ ‘개발(Develop)’ ‘구현(Implement)’ ‘지속적 개선/품질 관리(Continuous Improvement/Quality Assurance)’의 4단계로 이뤄진다.(그림2)


 *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
분석: 현재 회사의 현황을 살펴보고, 취약점과 중점 관리 대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며, 그것이 기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단계
 
①현황 평가 회사가 비상 상황에 대비해 제대로 된 준비와 대응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고, 중점 관리 대상 리스크와 주요 취약점을 파악한다. 위기 상황에 대한 준비/대응 능력(Readiness) 평가는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면 상대적으로 쉽게 할 수 있다. (딜로이트 체크리스트 참고, http://blog.daum.net/bcminaction/424)
 
②비즈니스 영향 분석(BIA)전체 기업 활동을 단위 업무 또는 프로세스별로 나누고, 각각의 단위 활동이 중단됐을 때 어느 정도의 재무적·비재무적 영향이 있을지를 추정, 평가한다. 이 결과를 합산하면 업무 복구의 우선순위가 매겨진다. 아울러 ‘복구 목표 수준(Recovery Time Objectives·RTO)’과 복구를 위해 필요한 자원이 무엇인지도 도출할 수 있다.
 
A은행은 신종플루 등 전염병에 대한 전사적 대응 능력 점검을 실시했다. 그 결과 본사의 대응에는 문제가 없으나, 고객 접점인 영업점의 대응 준비가 미흡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BIA 분석에서는 대(對)고객 서비스와 은행 자체의 자산 운용 업무에 최고의 복구 우선순위가 있음이 밝혀졌다. A은행은 이들 업무의 RTO를 세 시간 이내로 정하고 필요한 자원과 인력 리스트를 만들었다.


*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 개발: 비상 대응 전략을 시행할 주체를 정하고, 구체적인 추진 방향과 세부 전략을 세우는 단계
 
③거버넌스 비상시의 주요 의사결정 조직 체계와 재해 선포 기준을 마련하고, 최고경영자(CEO) 유고에 대비한 경영 승계 및 위임 계획, 규정·지침을 갖춘다.
 
④전략 수립 앞의 단계에서 나온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진·조직·위기관리(Management), 프로세스(Process),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기반 시설(Infrastructure), 임직원(People) 등의 관점에서 위기 대응과 복구의 세부 전략을 수립한다.(표1)
 
⑤대응 준비 전략의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한 계획서와 관련 매뉴얼, 행동 계획(action plan) 등을 작성한다.
 
A은행은 행장과 부행장, 각 사업부 본부장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를 조직하기로 했다. 행장 유고 시에 최고결정권을 갖게 될 임원들의 순위도 정했다. 또 비상시 모든 의사결정이 일사불란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재해 선포 기준과 관련 정책, 지침, 계획을 세우기로 했다.
 
이어 앞서 도출한 분석 결과를 갖고 각 경영 요소별 대응 전략(신종플루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와 대응 방법)을 수립했다. 관련 담당자들은 특히 주요 업무 프로세스와 전산망 복구 계획을 마련한 걸 큰 수확으로 평가했다. 또 은행의 주요 외주업체와 계약할 때 신종플루 대유행 상황에서의 서비스 제공 수준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도록 했다.
 
C. 구현: 실무 수준에서 실제로 어떤 활동을 해야 하는지를 준비하고, 모의 훈련을 통해 BCP의 실행 가능성을 점검하는 단계
 
⑥실행 계획 적용 앞에서 세운 전략과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실무 차원에서 필요한 내부 자원과 행동 요령을 정의하고, 어떤 외부 자원과 서비스가 필요한지를 밝혀낸다.
 
⑦임직원 교육 전 임직원 대상 위생 관리 교육부터 비상시 역할별 행동과 업무에 대한 교육 훈련까지 포함한다.
 
⑧모의 훈련 최악의 가상 시나리오를 상정해 BCP 실행 가능성을 검증한다. 이런 모의 훈련은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게 중요하며, 훈련 대상과 참여 범위를 단계별로 넓혀나가는 것이 좋다. 기업은 이를 통해 전략과 계획을 수정·보완할 수 있다.
 
A은행은 BCP 모의 훈련을 실시했다. 먼저 본점 일부 부서에서 신종플루 집단 감염이 발생한 상황을 상정하고, 핵심 업무를 미리 구축해놓은 대체 업무 장소에서 진행하도록 했다. 주요 거점 영업점인 종로와 강남 지점에서는 신종플루가 창궐할 때를 가정해 재택근무 가능성을 테스트했다. 그 결과 대체 업무 장소와 데이터센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오류와, 직원들이 재택근무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상 사설망(VPN)의 장애 문제가 드러났다. 또 체온계 사용이 고객의 반발을 부를 수 있다는 점도 확인됐다. A은행은 즉시 네트워크와 VPN의 오류를 수정하고, 열영상 카메라를 구입하기로 결정했다.


*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D. 지속적 개선/품질 관리: BCP를 수정하고 보완하는 단계
 
⑨지속적 개선/품질 관리 모의 훈련과 병행해 회사 내부 또는 제3자의 주기적인 검토(audit)를 받아 BCP의 취약점과 개선점을 꾸준히 도출하고, 이를 수정·보완해 전체 시스템을 고도화한다.
 
A은행에 신종플루 관련 컨설팅을 제공한 전문가는 조직 개편이나 신규 서비스 개발 등 회사 내부에 큰 변화가 있을 때는 반드시 BCP 체계를 갱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A은행은 비상계획팀 내의 직원을 선정해 해당 업무를 전담하게 했으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의 효과성을 위해 BCP 관리 시스템을 개발, 구축했다.
 
신종플루 결코 간과하지 말아야
기업 경영진은 무엇보다도 신종플루 문제가 기업의 위기관리 문제와 직결돼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물론 지나친 불안감과 우려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기업의 영속성을 위해서는 언제나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돌다리도 두드려 가는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
 
필자가 현장에서 만난 많은 기업들은 “신종플루가 기업 활동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지 알 수 없다”며 기다려보자는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이런 태도는 정말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2003년 사스(SARS) 유행으로 아시아의 경제 중심지 중 한 곳인 홍콩의 경제는 ‘그로기’ 상태로까지 몰렸다.
 
우리 기업들은 최근의 글로벌 경제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해냈다. 1997년의 경제 위기를 거울삼아 만반의 준비를 해뒀기 때문이다. 준비는 성공의 어머니이며, 실패를 막아내는 가장 유용한 수단이다. 이제는 더이상 미룰 수 없다. 하나라도 더 많은 기업들이 체계적인 신종플루 대응책을 세우길 기대한다.
 
참고 자료
 
新型インフルエンザ對策のための中小企業BCP(事業繼續計畵)策定指針, 일본 경제산업성 중소기업청, 후생노동성
 
パンデミックBCP(事業繼續プラン)策定のポイントと課題, 일본 노무라종합연구소
 
Business Performance during a Disease Outbreak, strategy+business, Booze & Company, 2009년 1월 27
 
Cabinet Office - UK Resilience: Pandemic Flu and Business Continuity영국 내각사무처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Guide for Critical Infrastructure & Key Resources 미국 국토안전국(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The Resilient Enterprise: Overcoming Vulnerability for Competitive Advantage, Yossi Sheffi (MIT Prof.) , Deloitte 안진회계법인 기업리스크자문본부 역, 전경련 FKI미디어, 2007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대비 업무지속계획(BCP) 수립 매뉴얼’, 노동부, 질병관리본부, 2009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