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하이테크 5계명: 불황 뒤 최고 되기

앤드류 정(Andrew Cheung),에릭 커처(Eric Kutcher),딜립 웨이글(Dilip Wagle) | 33호 (2009년 5월 Issue 2)
세계 경기가 침체에 빠지자 하이테크 기업들이 너도나도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하지만 맥킨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같은 전통적인 방법만으로는 부족하다. 맥킨지가 지난 20년 동안 글로벌 경기 침체기에 700여 개 기업 실적을 분석한 결과, 경기 하강기를 동반한 경제 위기 때마다 하이테크 산업의 판도가 재편됐다. 특히 불황이 시작될 때 상위 20% 선두기업군(leaders)에 속했던 기업의 약 절반이 경기가 회복 국면에 들어섰을 때 선두기업군에서 탈락했다. 본고에서는 이 분석을 통해 기업 경영진이 꼭 알아둬야 할 3가지 착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기업 경영진은 경기 수축의 잠재적인 충격과 움직임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경기 수축기에는 기업 매출이 떨어지며 하락세는 일정 기간 지속된다. 불황의 골은 업종별로 매우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둘째, 경영진은 유동성이 영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하이테크 산업의 부채는 다른 산업과 비교해 양호한 편이다. 개별 회사의 재무 구조는 양호하더라도 유통업자, 하청업체 등 공급망(supply chain)과 해외 시장의 신용 위험은 커진다. 이 상황이 심각해지면 많은 기업들이 타격을 입게 된다.
 
셋째, 하이테크 기업의 경영진은 재무 구조와 기업 경쟁력을 개선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나서야 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경기 침체기에 원가 절감 등의 즉각적인 불황 타개 전략과 영업 마케팅 지출 확대 등의 과학적, 체계적 전략을 동시에 구사한 기업이 경기가 살아났을 때 재빨리 도약했다.
 
본고는 20년간의 하이테크 산업 환경과 경제 주기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하이테크 기업의 ‘경쟁 지위(competitive position)’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19952005년까지 12개 하이테크 분야의 상장 기업 실적을 집중 분석했다. ‘닷컴 버블 붕괴(20002002년)’에 따른 심각한 경기 침체기의 변화도 분석에 포함됐다. 이 조사를 위해 먼저 장부가 대비 시장가치와 투자 자본 대비 수익률(ROIC)을 기준으로 688개 기업1)의 순위를 매겼다. 이어 양 지표에서 모두 상위 20% 내에 드는 기업을 ‘선두기업(leader)’, 나머지 80%는 ‘정체기업(laggard)’으로 분류했다. 20002002년 경기 침체와 회복 기간 동안 이들 기업의 시장 포지션이 어떻게 변했는지도 추적했다. 선두기업에서 정체기업으로 떨어지거나, 정체기업에서 선두기업으로 도약한 회사 등이 분석 대상이었다.
 
물론 경기 하강기마다 고유의 특성이 있다. 말하자면 경기 침체의 속도와 기간이 각각 다르다. 경기 침체의 시작과 전개 과정에서 기술 업종이 내포한 문제점들이 미치는 영향에서도 차이가 있다. 본고에서 최근의 경제 위기와 관련해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추세적 특징과 선제적인 해법을 논하기로 한다.
 
1) 1995∼2005년 상장 기업 중 1997년과 1998년 매출액이 1억 달러를 넘어선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하이테크=하이페인(high pain)
미국의 경제 관료들은 2008년 가을 경기 침체가 이미 그해 연초부터 시작됐다고 공식 인정했다. 하지만 많은 하이테크 기업들은 이보다 빨리 경기 침체에 대한 대응에 나섰다. 이유는 이렇다. 맥킨지의 분석 결과, 경기 고점에서 침체기의 저점까지 하이테크 부문의 상품 및 서비스 지출 하락률은 국내총생산(GDP) 하락률보다 47배 컸다. 지금까지 발생한 4차례의 주요 경기 침체기 중 3번의 침체기만 봐도 정보기술(IT) 지출의 하락률이 GDP 하락률의 2배에 이르렀다. 2000년 ‘닷컴 버블’이 터지자 IT 지출은 27% 급감한 반면, 같은 기간 GDP는 3.7% 떨어지는 데 그쳤다.(그림1)

최근 경기 침체가 시작되자 IT 지출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5%로 줄어들었다. 지난 10년간의 평균(3.3%)보다 낮고, 가장 IT 지출 비중이 높았던 2000년(4.1%)과 비교해도 꽤 큰 차이가 있다. 앞으로 하락폭이 더 커질 수 있고, 특정 업종의 체감 경기가 더 얼어붙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업 전산 부서의 운영에 필수적인 보안 소프트웨어나 유지 보수 서비스 업종보다 노트북 및 부품 등 하드웨어 산업이 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