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2012 Biz & Art Conference

창조의 시대, 경영과 예술 접목은 필수

최한나 | 119호 (2012년 12월 Issue 2)

 

 

 

편집자주

21세기는문화 예술의 시대입니다. 문화 예술은 개인의 삶과 사회를 풍요롭게 할 뿐만 아니라 기업 경영과 국가 경제의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예술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영자원으로 예술을 활용해 창의성과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이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메세나협의회의 후원으로 1116일 열린 ‘2012 Biz&Art Conference’의 주요 내용을 요약합니다.

※ 이 기사의 제작에는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인턴연구원 김정수(서강대 영미어문학과 4학년), 김현태(서울시립대 경영학과 4학년), 윤경미(숙명여대 영어영문학과 4학년), 이태용(건국대 경영학과 4학년) 씨가 참여했습니다.

 

<기조 강연>

조동성 서울대 교수

이번 포럼의 두 가지 주제, 예술과 경영에 대해 현재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우선 소개할 첫 번째 과목은디자인과 경영전략이다. 경영학이 추구하는 목표는 효율성, 즉 인풋(input) 대비 아웃풋(output)을 늘리는 것인데 경영이 이런 식으로만 흘러가면 기업인들이 비판받는 환경에서 벗어날 수 없다.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서로 부딪치지 않으며 조화롭게 살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기업에는 수많은 이해관계자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주주가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지난 몇 백 년 동안 지배적이었다. 이런 사고방식 때문에 각종 문제가 발생했고 최근 기업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면서 월스트리트 점령 같은 파괴적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제는 기업의 경영가치가 균형을 갖고 더 나은 삶을 얻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여기서 사회적 기업이라는 새로운 기업 형태가 많이 모색된다. 사기업이 사회적 성격을 갖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은 공감하면서도 역으로 사회적 기업이 사기업적 효율성이 없어도 되느냐는 문제에는 둔감한 경우가 많다. 그렇게 간다면 정부의 지원이 끊기는 순간 대부분의 사회적 기업이 없어질 것이다. 이제는 사회적 기업이든, 사기업이든 두 가지 축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두 번째 과목은기업과 사회적 책임이다. 나눔을 추구한다. 100년 전 헨리 포드로 상징되는 생산관리가 경영학의 문을 열었다. 1950년대에 접어들면서 만들어도 안 팔리는 시대가 됐다. 필립 코틀러로 대표되는 마케팅의 시대가 열렸다. 오일쇼크가 일어난 1970년대 이후에는 미래가 안 보이니까 전략을 추구했다. 마이클 포터라는 상징적 인물의 이론이 경영학을 지배했다. 전략이 보편화되면서 뒤집어보자 해서 혁신이 나타났고 1990년대 잭 웰치 등이 혁신을 강조하면서 경영의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은 스티브 잡스로 대표되는 창조의 시대다. 다시 정리해보면 생산관리-마케팅-전략-혁신은 모두 자뇌지향적이다. 이제는 우뇌지향적 창조의 시대다. 그런데 창조는 그동안 경영학에서 다루지 않았던 것이다. 좌뇌편향적이고 지식습득적인 것, 분석하는 것은 창조가 아니다. 감성을 자극하는 발상이나 기존 생각의 틀을 타파하는 것에서 창조가 나온다. 그래서 예술과 경영을 접목해야 한다.

과거 기업의 목표는 이윤과 매출의 시가총액을 극대화하는 것이었다.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매출을 올리거나 원가를 낮춰야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장수, 사회발전, 종업원 행복 등이 어우러지는 조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목표가 바뀌고 있다. 여기에 예술이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SWOT이나 Andrews 모델 등을 사용했지만 이제는 예술을 활용해서 새로운 틀을 만들 수 있다.

기성세대는 젊은이들이 기회주의적이고 이기적이라고 비판하는데 그것은 학생들의 잘못이 아니다. 기성세대들이 학생들을 그런 방향으로 가도록 한 탓이다. 학생들을 풀어놓고 마음대로 영화도 찍고 연극도 하게 하면 마음껏 끼를 발휘하면서 창조경영을 만들어갈 수 있다.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지식사회를 뛰어넘었다. 법조인이나 의사가 되기보다 연예인이 되는 길을 선호하고 더 부러워하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 문화가 중심인 21세기에 가장 선진국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나라가 한국이다.

 

 

2012img_1111

 

<특별 강연>

위르겐 파우스트 독일 매크로미디어대 학장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의 중요한 세 가지 요소로 파토스(Pathos), 에토스(Ethos), 로고스(Logos)를 꼽았다. 파토스는 감정에 있어서의 문제, 에토스는 신뢰에 있어서의 문제, 로고스는 논리에 있어서의 문제를 뜻한다. 어느 분야든 이 세 가지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를 보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접근할 때 문제가 생긴다.

 

비즈니스 모델은 경영 활동에서 일종의 가시성을 제공하지만 오히려 막아버리는 경우도 있다. 봐야 할 것을 보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델을 만들 때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는데 이때 과학 또는 예술이 도움을 준다.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는여러 가지 경이로운 것들은 예술적인 측면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분석적인 결과가 항상 맞는 것은 아니다.로고스는 갖고 있는데 파토스나 에토스를 갖지 못할 때 문제가 생긴다.

21세기 경영 환경에는 복잡성이 극도로 높아진다. 비즈니스가 갖고 있는 영향력도 광범위해졌다. 문제를 만들어내는 요소도,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법도 크게 늘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방향성이다.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냐에 따라 모델링도, 모델을 적용하는 방식도 달라진다. 이때도 중요한 것이 파토스와 에토스, 로고스 간 균형을 잡는 것인데 비즈니스 활동에서 간과될 수 있는 에토스와 파토스를 예술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 단지 수익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수 있게 돕는 가치를 생산하는 것, 이것을 기업 오너들이 인식해야 한다. 이것을 돕는 요소가 예술이다.

 

유진룡 가톨릭대 한류대학원장

오사카에서 열린 한류상품전시회에 참석했다가 어제 귀국했다. 오후에 JYJ 공연이 있었는데 600석 규모의 실내 공연장을 만들어 진행할 예정이었다. 추첨을 통해 입장객을 받기로 했는데 4만 명 이상이 지원했다. 너무 많은 인원이 몰려 할 수 없이 600석을 1000석으로 늘리고 외부에 와이드스크린을 설치해 3000명 정도가 추가로 볼 수 있도록 했다. 예상보다 많은 인원에 주최 측이 곤란을 겪는 것을 보고 이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 어떻게 끌고 가야 할 것인가를 생각했다. 문화 예술의 가치를 다시 한번 점검해봐야 한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