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오너십이 답이다

무조건 높은 목표는 NO! 도전적이되 가능한 업무가 오너십 원천

김정수 | 207호 (2016년 8월 lssue 2)

무조건 높은 목표는 NO!

도전적이되 가능한 업무가 오너십 원천

 

 

 

Article at a Glance

달성 가능한 목표를 부여하라

무작정 높을수록 좋은 목표고, 일은 많이 할수록 좋다는 사고방식은 금물. 외부 변수에 따라 달성 가능성이 좌우될 경우엔 부여하는 목표도 시나리오별로 달리 하는 운영의 묘를 발휘. 협업과 분업의 원칙에 따라 함께 일해야 할 부서 및 부서원들과의 업무 분장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업무의 달성 가능성 제고. 프로젝트 기한, 분석 범위, 분석 방법론 등 전반적인 업무량에 대한 판단을 종합적으로 내려 적극적으로 오너십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최적의 업무량을 예측.

 

 

대기업에 입사한 지 1년 만에 이른바 핵심 부서라고 할 수 있는 전략기획실로 발탁 인사가 난 홍 대리는 요즘 한창 일에 대한 열의가 하늘을 찌른다. 입사 당시에는 내가 잘해낼 수 있을까 하는 불안한 마음뿐이었는데 이제는 동기들의 부러운 시선도 느껴지고 상사들의 애정 어린 눈빛이 당연하게 느껴지기까지 한다. ‘이렇게 열심히 잘하면 거기에 상응하는 보상도 있고 앞으로 내 미래는 탄탄대로 겠지하는 생각에 출근길 발걸음이 가볍기만 했다.

 

 

하지만 그만큼 힘이 들고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었다. 지금 당장만 해도 굵직한 프로젝트가 3개나 쌓여 있다. 우선 최근 매물로 나온 회사에 대한 인수 타당성 검토를 해야 한다. 새로운 투자 프로세스를 만드는 것도 쉽지 않은 업무다. 거기에 얼마 전 공장 내 엔지니어들의 재교육 방안을 기획하고 경쟁사들을 벤치마킹하는 업무까지 추가됐다. 이제 매일 밤 9시가 넘어서 퇴근하는 것도 모자라서 주말에도 평일처럼 근무를 해야만 겨우 주어진 업무를 마무리할 수 있는 지경이 됐다.

 

 

그래도 처음에는내가 능력이 있으니까 더 많은 업무를 맡기는 거겠지. 다양한 업무를 하면서 더 많은 경험을 쌓을 수 있으니 다른 동기들에 비해 나는 발전 속도가 훨씬 더 빠를 거야라며 스스로를 위안했다. 하지만 시간이 점점 지나면서 홍 대리의 이런 의욕도 서서히 내리막길로 접어들었다. 우선은 체력이 문제였다. 아무리 마음이 앞서도 몇 달째 주말 근무를 하고, 매일같이 야근을 하다 보니 이제는 낮에도 너무 피곤하고 졸려서 멍하게 앉아 있는 시간이 점점 많아지고 매사에 의욕이 생기지 않았다. 몸이 너무 지치고 피곤하다보니 새롭고 기발한 아이디어는커녕 일상적인 업무조차 예전에 비하면 늘 실수투성이였다. 가족들과 친구들은 처음에는 출세했다며 격려를 해줬지만 이제는 슬슬 불만이 많아졌다. “혼자 회사 일 다하냐?”는 비아냥거림도 있고, 철썩같이 약속한 자리에 나타나지 않아서 친구와 가족들을 실망시키는 일도 잦았다. 예전에는 모든 일이 내 일이라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했던 오너십의 화신 같았던 홍 대리가 이제는 모든 일에 시큰둥하고 오너십이라고는 찾아 볼 수 없는 무능한 직장인이 돼 가고 있는 느낌이었다. 주변에서도 슬슬홍 대리가 예전처럼 열심히 일하는 것 같지 않다는 얘기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홍 대리 스스로도 자기가 도대체 왜 예전에 그렇게 비난하고 못마땅했던 무능한 선배들처럼 오너십을 잃고 수동적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돼 가는지 걱정이 커져갔다.

 

 

 

 

무엇이 문제인가?

 

 

홍 대리의 경우에는 아무리 열심히 해도 일을 다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절망감이 제일 큰 문제다. 모든 사람은최선을 다해서 열심히 하면 다 할 수 있다는 희망이 있을 때만 오너십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지, ‘내가 아무리 열심히 한다 해도 이 일은 제대로 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면 오너십도 자연스럽게 사라져 버린다. , 달성 가능성이 있어야만 오너십도 생길 수 있다.

 

 

달성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게 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홍 대리의 경우처럼 일 자체가 너무 많아서 아무리 해도 다 할 수 없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고, 내가 할 일은 다 할 수 있지만 공동 작업을 하는 다른 사람들의 협조가 없거나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무능력해서 달성 불가능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다. 내가 컨트롤할 수 없는 외부 변수, 예를 들어 환율이나 유가 때문에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경제학 이론에서도 이러한 달성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돼 있다. 그중 하나의 사례가 노후에 대비한 저축이다. 경제가 매년 10% 이상 두 자릿수 성장을 하던 시절에는 평생직장에 다니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열심히 아끼고 모으면 여생을 편안하게 보낼 수 있는 정도의 재산은 모을 수 있다는 희망이 있었다. 젊은 시절에 대출을 받아서라도 집을 사 두면 집값이 매년 올라서 노후에는 작은 집으로 집을 줄여 이사를 하면서 꽤 큰돈을 남길 수도 있었고, 여윳돈으로 사 놓은 부동산이나 주식 가격도 장기간 묻어 두기만 하면 인플레이션율을 훨씬 웃도는 수익률을 가져다줬다. 은행에 적금만 하더라도 연 6∼7%의 이자가 보장됐으니 투자에 따르는 위험을 피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은 이자 수입을 기대할 수가 있었다. 거기에다가 국민연금에 의무 가입돼 은퇴 후 한 달에 100∼200만 원의 고정적 수입까지 보장되면 호화롭지는 않더라도 자식들에게 손을 벌리지 않고도 큰 걱정 없는 노후를 보낼 수 있다는 희망, 즉 독립적인 노후 경제력에 대한 달성 가능성이 있었다. 상황이 이렇게 긍정적이고 희망적이라면 사람들은 젊었을 때 사고 싶고 먹고 싶은 것이 있더라도 조금씩 더 아끼고 모아서 안정적이고 여유 있는 노후를 보내고자 더 노력을 하게 된다.

 

 

가입하면 무료

  • 김정수jungsu.kim@gscaltex.com

    - (현) GS칼텍스 전략기획실장(부사장)
    - 사우디아람코 마케팅 매니저
    - 베인앤컴퍼니 파트너
    - 산업자원부 사무관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