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고객 관점의 의사결정 혁신

한 환자 암 진단에 의사 7, 8명 참여

박용 | 41호 (2009년 9월 Issue 2)
서울아산병원은 2006년 7월 국내 최초로 1명의 암 환자 진료를 위해 여러 명의 전문의가 한자리에 모이는 통합진료를 시작했다. 이 병원은 전공의 벽을 깨고, 집단 의사결정 방식의 통합진료 시스템을 도입했다.
 
통합진료 시스템에서는 환자가 아니라 의사가 움직이기 때문에 환자의 치료 대기 시간이 2주 이내로 단축됐다. 한 자리에서 각 분야 전문의의 종합 소견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도 높아졌다. 이 병원이 2008년 3∼6월 암 통합진료와 일반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통합진료 환자의 만족도는 97.6%로 일반 외래 진료보다 5.8%포인트 높았다.
 
도입 초기에는 시행착오도 적지 않았다. 선진국에서는 통합진료가 보편화됐지만, 한국 의학계는 여전히 전공 간의 벽이 높았다. 단독 의사결정에 익숙한 의사들이 집단 의사결정 방식에 거부감을 갖기도 했다. 하지만 이 병원은 3년간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진료 프로세스를 바꾸고, 2009년 4월 한국형 통합진료 시스템을 도입한 암센터를 정식 개원했다. 

 
통합진료 시스템 도입의 산파 역할을 한 최은경 서울아산병원 폐암센터 소장(방사선종양학과)은 8월 말 동아비즈니스리뷰(DBR)와의 인터뷰에서 “집단 의사결정 방식의 통합진료 시스템은 질병 중심(disease oriented)의 치료에서 환자 중심(patient oriented) 치료로 전환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집단 의사결정 방식의 통합진료 시스템 도입 배경은?
“이전까지는 암 환자들이 어떤 치료를 어떤 순서로 받을지에 대해 스스로 결정해야 했다. 환자들의 치료 대기 시간도 길었다. 의사끼리의 의사소통도 환자가 치료를 받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해지는 식이었다. 

전문의끼리 ‘케이스 콘퍼런스’를 통해 의견을 교환할 수 있었지만, 환자를 직접 보지 못한 상태에서 의견을 나눠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이 의사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통합진료다. 같은 병을 같은 방법으로 치료해도 환자마다 효과가 다르다. 그만큼 의학에서 100%라는 건 없다. 여러 전문의가 한자리에 모여 환자를 관찰하면서 의견을 나누는 통합진료가 중요한 이유다.”
 


통합진료 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

 


협진(協診)과의 차이는 무엇인가?
“협진이 다른 의사에게 조언(consultation)을 구하는 식인 데 반해, 통합진료에서는 의사들이 함께 의사결정을 한다. 기존 협진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같은 치료 방법에 대해 환자가 여러 의사로부터 다른 이야기를 듣게 된다는 점이다. A의사는 방사선 치료가 가장 좋다고 하는데, B의사가 갑자기 수술을 해야 한다고 얘기할 수도 있다. 환자는 불안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통합진료에서는 여러 의사들이 한목소리로 한 가지 방법을 추천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안심하고 따른다. 

처음에는 그 방법을 좋아하지 않았더라도, 여러 의사가 계속 한 방법을 권유하다 보니 환자가 더 안심하고 치료를 결정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암이 유방암이다. 과거에는 유방을 모두 들어냈다. 여성 입장에서는 후유증이 컸다. 외국에서는 종양만 제거하고 방사선 치료를 하기도 한다. 우리도 통합진료를 통해 이런 치료법을 빠르게 도입할 수 있었다.”

가입하면 무료

  • 박용

    박용

    - 동아일보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부설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I) 연구원
    -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정책연구팀 연구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