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R1. 윌리엄 바넷 교수: 디지털 시대 리더의 역할

조직 미래 예측에 시간 쓰지 말고
일탈적 아이디어에서 위대함을 발견해야

이방실 | 288호 (2020년 1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위대한 조직을 만들기 위해 리더가 해야 할 일
1. 일탈적 아이디어(deviant ideas)를 허용하라.
2. 실패를 학습의 기회로 삼아 위대함으로 이끄는 요인이 무엇인지 발견할 수 있도록 하라.
3. 설령 조직의 현 상태를 위협한다 해도 잠재력 있는 일탈적 아이디어가 성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라.




내가 스탠퍼드대 교수로 부임한 건 1991년이다. 당시 나는 기업의 성장과 실패에 대해 좀 더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스탠퍼드대에 합류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나와 내 동료들이 연구를 통해 배웠던 것을 요약하면 크게 두 가지다. 우리는 미래 예측을 정말 못 하지만 사후 합리화(retrospective rationalization)는 정말 잘한다는 사실이다.


미래 예측 vs. 사후 합리화

예를 들어보겠다. 구글이 처음 창업했을 때 구글이 이렇게까지 성공하리라고 예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검색 엔진이 돈이 되는 비즈니스가 될 거라고는 상상조차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돌이켜보면 그런 예측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다.

비단 구글뿐이 아니다. 알리바바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내가 알리바바 창업자인 마윈을 처음 만난 건 이베이가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현지 온라인 경매 사이트 이치넷(EachNet)을 인수했던 2003년 즈음이었다. 당시 나는 중국어를 할 줄 아는 박사 과정 학생 두 명과 함께 중국에 가서 이베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때 같이 간 학생 중 한 명이 자신의 아내가 항저우에 있는 전자상거래 업체에서 일하는데 한번 방문해 보겠냐고 했다. 그 회사가 바로 알리바바였다. 정말이지 별 볼 일 없는 학교 선생님 출신이었던 마윈이 지금과 같은 거물이 될 거라고는 상상조차 못했다. 심지어 나는 마윈에게 대놓고 “알리바바는 실패할 것”이라고까지 말했다. 모두들 이치넷을 인수한 이베이가 중국 온라인 상거래 시장을 접수할 것이라고 예측하던 때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베이는 알리바바(타오바오)와의 경쟁에서 참패해 몇 년 뒤 중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가입하면 무료

  • 이방실 이방실 | - (현)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기자 (MBA/공학박사)
    - 전 올리버와이만 컨설턴트 (어소시에이트)
    - 전 한국경제신문 기자
    smile@donga.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