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창의성 동기부여

시간 압박 벗고 멀리서 문제 조망하라

변지석 | 49호 (2010년 1월 Issue 2)
누구든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기업 내 직원들 중에서 연구개발(R&D)이나 마케팅 부서 사람들이 가장 창의적(creative)이고, 회계나 재무 부서 사람들은 덜 창의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회계나 재무 부서 사람들도 R&D나 마케팅 부서 사람들처럼 얼마든지 창조적인 일을 할 수 있다.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테레사 아마빌 교수는 최근 수년 동안 여러 기업의 창의적 프로젝트(creative project)에서 일하는 사람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누구든지 정상적인 지적 능력이 있으면 창의적인 일을 할 수 있다고 한다. 1 문제는 스스로를 별로 창의적이지 않다고 생각해서 자신은 창의적인 일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직원들에게 어떻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창의적인 일을 하도록 동기부여를 하느냐다. 이 글에서는 직원들을 좀 더 창의적으로 만드는 7가지 동기부여 전략을 소개한다.

 

 

 

1 문제를 가급적 멀리 떨어져서 보게 하라
심리학의 해석 수준 이론(Construal Level Theory)에 따르면 해결하려는 문제 상황과 맥락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좀 더 창의적인 해결책을 생각해낼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문제가 우리와 동떨어진 곳에서 나타났다고 생각하거나, 우리와는 많이 다른 사람들의 시각으로 문제를 보거나, 현재가 아닌 미래나 과거 시점에서 문제를 보면 더 창의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
 
왜 그럴까? 문제에서 심리적으로 멀리 떨어질수록 문제를 자세히 보지 않고 더욱 단순하게 보기 때문이다. 문제를 단순하게 볼수록 별로 관계가 없는 개념들과 연결시켜 생각하기가 쉬워진다. 이는 몇 가지 실험을 통해서 증명됐다. 대표적인 실험 하나를 소개한다. 2
 
탑(tower) 감옥에 갇힌 죄수가 탈출하려다, 창문 밖에 고리 모양의 밧줄(loop)이 걸려 있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그 밧줄은 필요한 길이의 절반밖에 안 됐다. 죄수는 이 밧줄을 절반으로 나눠서 2개 밧줄을 묶어 탈출에 성공했다. 어떻게 한 걸까?
 
정답은 죄수가 고리 모양의 밧줄을 풀어 2개 밧줄로 만든 다음에 서로 이어서 묶었다는 것이다. 이는 통찰력(insight)에 관한 문제다.
 

미국 인디애나대 학생들에게 이 문제를 제시했다. 학생들을 A, B, C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A그룹에는 이 문제가 인디애나 주로부터 2000마일 떨어진 캘리포니아 주에서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B그룹에는 이 문제가 인디애나 주에서 만들어졌다고 하고, C그룹에는 장소에 관한 정보를 전혀 제공하지 않았다. 물론 이 문제가 만들어진 위치 정보는 문제 해결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하지만 문제가 인디애나 주로부터 멀리 떨어진 캘리포니아 주에서 만들어졌다는 말을 들은 A그룹 학생들이 이 문제에 대해 더욱 다양한 창의적 해석을 내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때 창의적인 해결책을 만들고 싶으면, 좀 우습더라도 다음과 같이 상상하는 게 좋다.
- 현재 있는 곳에서 가급적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문제를 해결한다고 상상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로 출장을 간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생각한다.
- 1년 또는 10년 후에는 사람들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생각한다.
- 자신과 전문 분야가 다른 사람들, 예를 들어 예술가 또는 운동 선수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생각한다.
 
기업들이 직원들로 하여금 문제를 잘 해결하도록 사무실을 떠나 지방에 가서 워크숍을 하면서 문제와는 별로 관계없는 분야의 외부 전문가들을 초빙해 함께 작업하게 하는 것은 창의성을 위한 좋은 조치다.
 
2 보상은 효과가 없다
프린스턴대의 샘 글럭스버그는 창의적 사고가 필요한 양초 상자 문제(candle box pro-blem) 실험 3 에서 실험 참여자들을 A, B 두 그룹으로 나눴다. A그룹에는 문제를 해결한 시간을 측정해서 빠른 순서대로 25% 안에 들면 5달러를 주고, 가장 빨리 문제를 해결하면 20달러를 주겠다고 했다. B그룹에는 단순히 시간만 측정하겠다고 했다. 우리 예상과는 달리 문제 해결에 보상을 제공한 A그룹이 보상을 제공하지 않은 B그룹보다 시간이 3분 30초 더 걸렸다.(▶DBR TIP 기능적 고착과 양초 상자 문제 참조)
 
창의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데 보상을 제공한 그룹이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은 다른 여러 실험에서도 발견되었다.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한 과제에서 보상을 준다고 하고 시간을 측정하면 사고 범위가 좁아져서 기능적 고착(functional fixedness) 때문에 창의적인 생각을 못 하게 된다. 기능적 고착은 사람들이 어떤 사물의 용도에 대해 생각할 때 사전에 알고 있던 그 사물의 기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새로운 용도를 생각해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여러 실험 결과에 의하면, 보상은 단순한 사고로 해결할 수 있는 과제 수행에는 효과가 있지만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한 과제에서는 오히려 보상이 클수록 성과가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