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집단지성과 개인 역량

집단지성과 함께 지속적 혁신을

최현아 | 50호 (2010년 2월 Issue 1)

 
사례 1
매주 연속 방영되는 미니시리즈의 극본 작업을 위해 다수의 작가가 모여 연일 공동 작업을 한다. 과거에는 한 명의 작가가 조용한 골방에 틀어박혀 줄담배를 피워대며 창작의 고통을 감내했었다. 하지만 이제 여러 명의 사람들이 열띤 회의를 통해 이야기 구조를 잡아나간다. 작품 규모가 크고 등장인물의 숫자가 많을수록 극본의 완성도가 높아진다. 이야기를 치밀하고 탄탄하게 전개하려면 여러 명의 작가가 각각의 등장인물을 전담하고 개별 등장인물의 관점에서 다양한 시각의 아이디어를 불어넣어 극의 신선함과 긴장감을 높여야만 한다. 추격 장면이나 추리 장면처럼 복잡한 장면에서는 대사는 물론이고 등장인물들의 행동 하나하나, 시간과 장소, 소품이 작가들의 머릿속에서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튀어나오다가 대화를 통해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이미지로 진화한다. 이는 다시 다양한 정반합의 변신과 변신을 거듭, 마침내 최고 명장면으로 만들어진다.
 
사례 2
어느 검색엔진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에서는 매주 한 번 검색엔진의 실패로 나타나는 버그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엔지니어들이 화상 회의에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매번 회의를 주재하는 리더가 존재하지만 그의 역할은 회의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 참여자들의 대화가 너무 한 방향으로만 흐를 때 약간 조정하는 것일 뿐이다. 화상 회의 참가자들은 검색엔진 개발 때부터 설계, 프로그래밍, 테스트, 글로벌 론칭을 함께 진행해온 사람들이다. 이들의 협력 덕에 제품 개발 주기가 기존 주기 대비 절반으로 줄었을 뿐 아니라, 예기치 않은 기술적 결함을 만났을 때도 한 엔지니어의 기발한 아이디어로 추가 비용 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회의 참석자들은 참가자 중 한 명이 오늘 발견한 검색엔진 오류에 관한 얘기도 나눴다. 서로 얘기를 하다 보니 이 오류가 우연히 발견된 게 아니라 일정한 패턴을 지닌 구조적인 문제였음을 알 수 있었다. 문제의 원인을 발견하자 사람들은 미스터리를 푼 명탐정이 된 듯한 기분을 느끼며 더욱 열정적으로 회의에 몰입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문제를 개선할 어플리케이션은 물론 차세대 검색엔진의 기본 개념까지 완성할 수 있었다.
 

 
제너럴 일렉트릭(GE)의 최고경영자(CEO) 제프리 이멜트는 이번 금융위기가 모든 것들을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게 만드는 계기라고 말한 바 있다. 이멜트 회장이 주장한 리셋 경제(Reset Economy)의 개념은 ‘기업들이 기존 운영 방식을 완전히 바꿔야만 지금 위기와 변화를 극복하고,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로 요약할 수 있다. 제품 생산 및 유통 방식, 투자 방향 등 기업의 운영 체계를 원점에서 다시 생각하고 바꾸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말이다.
 
과거 많은 사람들은 한 사람의 천재가 수만 명을 먹여 살린다는 희망과 신념을 가지고 천재를 찾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집중했다. 빌 게이츠, 스티브 잡스, 워런 버핏 등 지금 세계 경제를 주름잡고 있는 인물들은 분명 한 세대에 나올까 말까 한 불세출의 스타다. 이들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대처법과 방향성을 제시해줬고, 어려운 의사결정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슬기로운 모습을 보여줬다. 이들의 존재 때문에 리더나 한 사람의 천재가 혁신을 주도한다는 확신이 더욱 강해졌다.
 
때문에 현재 많은 기업들의 조직 구조는 리더를 중심으로 위에서 아래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수 있는 중앙 집권적, 톱 다운(top-down)식으로 이뤄져 있다. 조직 속에서 개인이 해야 할 일도 ‘리더가 제시하는 지침을 얼마나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받아들여 이를 실행하느냐’에 맞춰져 있다. 성과 관리 방식도 마찬가지다. 개인 성과도 조직 혹은 관리자가 부여한 목표를 얼마나 충실하게 달성했느냐에 달려 있을 뿐 개인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해나가는 일을 장려하는 조직은 많지 않다. 특히 조직 내 개인 간의 다양한 교류, 즉 위에서 아래만이 아니라 아래에서 위, 부서나 회사의 경계를 넘어선 크로스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방법을 고려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성공한 리더나 혁신가들에 대한 학자들의 심층적인 연구 결과는 우리의 상상을 완전히 뒤엎는다. 한 명의 천재가 자신의 놀라운 능력으로 혁신을 창출한 게 아니라 실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직간접적인 교류를 통해 자신의 창의력을 배가시켰다는 뜻이다. <제7의 감각(Strategic Intuition)>의 저자인 미국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의 윌리엄 더간 교수는 이를 ‘전략적 직관’이라고 명명했다. 인간의 합리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상상력은 ‘지적 기억’이라는 형태로 통합적으로 정리된다. 인간은 이를 자신의 과거 경험이나 다양한 사람들의 지적 기억과 접목시켜 문제의 해결책이자 혁신적 아이디어인 ‘전략적 직관’에 도달한다는 의미다. 리더나 혁신가들이 어떻게 혁신을 창출했는지 그 비법이 알려진 셈이다.

가입하면 무료

  • 최현아

    - (현) 왓슨와이어트 상무
    - 맥킨지 전략 담당 컨설턴트
    - 싱가포르 국립대 산하 품질생산성본부 책임연구원
    - 포스코 경영연구소 연구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