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at a Glance보통 노년기 하면 은퇴 이후 무기력함을 느끼고, 급변하는 세상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며, 병마와 싸우는 시기라는 이미지를 떠올린다. 하지만 본격적인 100세 시대를 맞이해 노년에 대한 고정관념이 바뀌고 있다. 이미 SNS에는 70세 이상의 인플루언서가 다수 활동하고 있다. 또한 노후 기간이 길어지면서 은퇴를 번복하고 다시 일자리를 찾으려는 베이비부머들이 빠르게 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자신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영향력을 쌓아가기도 한다. 또한 의료 및 기술개발 영역에서는 노화를 늦추거나 건강하게 늙게 하기 위한 역노화 기술개발이 한창이다.
62세의 나이에 20대에 이루지 못했던 꿈에 다시 도전하는 수영선수 다이애나 나이애드(Diana Nyad)의 도전기를 그린 넷플릭스의 영화 ‘나이애드의 다섯 번째 파도’는 인간의 꿈과 열정이 나이와 관계없이 계속될 수 있음을 생생하게 그려낸 영화로 호평을 받았다. 영화에서 주인공 나이애드는 친구 보니 스톨(Bonnie Stoll)의 감독하에 쿠바 하바나에서 미국 플로리다까지 약 180㎞에 달하는 거리를 수영으로 완주하는 기염을 토했다. 완주 후 나이애드는 “다른 60대에게 우리 나이가 새로운 꿈을 꾸기에 결코 늦은 나이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우리의 무의식 속에 자리 잡은 시니어에 대한 편견을 무자비하게 박살 낸 나이애드의 도전 이야기는 오히려 시니어만이 갖고 있는 경험과 지혜가 때로는 도전을 성공으로 이끄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우리는 노년기 하면 은퇴 이후 무기력함을 느끼고, 급변하는 세상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며, 병과 싸우는 시니어의 이미지를 떠올린다. 하지만 평균수명 100세 시대의 60대는 이제 막 인생의 반환점을 조금 넘어 원숙함을 장착한 중년일 뿐이다. 문제는 오히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65세라는 기준이 평균 기대수명이 45세였던 1889년 독일 비스마르크 시대에 도입된 개념이라는 데 있다. 이미 기대수명이 80세를 훌쩍 넘어버린 지금 시니어 인구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기준의 도입이 필요하다.
급격하게 감소하는 출산율과 그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가 한국 사회를 엄습하고 있다. 이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화는 다양한 트렌드를 만들어 낸다. 그중에서도 2025년의 트렌드로 제시하는 ‘슈퍼 그레이(Super Gray)’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슈퍼 그레이는 무기력함, 뒤처짐, 돌봄 등의 키워드로 설명되던 기존 노년층과는 다르게 적극적으로 새로운 것을 배워 동시대적인 감각을 갖고 꾸준히 삶의 열망과 욕망을 갖는 세대를 뜻한다.
부모와 비슷한 삶을 사는 서구의 많은 나라와 달리 한국 사회는 최근 50년 사이의 급격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혜가 쓸모없는 것으로 치부되기도 하고 젊은 사람들에게 경제적 부담만 가중시키는 존재로 포지셔닝돼 있다. 이러한 시니어 인구에 대한 시선은 세대 갈등을 증폭시키고 시니어들을 사회적으로 소외시켜 더 큰 사회적 문제를 낳고 있다. 지금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은 우리 모두 나이 들어가고 있으며, 언젠간 모두 노인이 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나이듦에 대해 새롭게 바라보는 것이다.
나이듦에 대한 새로운 브랜딩이 필요이제까지 시니어 인구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는 돌봄이 필요한 존재라고만 인식했다면 이제 나이듦에 대해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고령화 사회가 이슈가 되면서 많은 기업은 시니어를 배려한 특화 공간이나 특화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신사업을 설계하고 있다.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급격하게 증가한 시니어 인구를 타기팅하기 위해 기존의 사업을 조정하거나 신규 사업을 기획했다.
일본 최대 대형 유통점인 이온몰에서는 시니어를 ‘그랜드 제너레이션(Grand Generation)’으로 명명하고 이들을 ‘액티브하게 인생을 즐기는 세대’로 정의했다. 또한 이 새로운 시니어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3년 대대적으로 쇼핑몰을 리뉴얼했다. GG몰로 알려진 도쿄 에도가와시에 있는 이온 카사이점의 경우 시니어들이 걷기 편하도록 카펫을 깔고 아침마다 체조, 에어로빅, 스트레칭 등의 단체 활동을 독려하는 프로그램을 전진 배치했다. 또 한 층에는 시니어에게 필요한 보청기, 노안경, 지팡이 등 시니어 특화 상품들을 집중 배치해 구매하기 쉽게 만들어 놓았다. 세세한 부분까지 고려해 리뉴얼한 점포는 언뜻 보기에 시니어 소비자들을 위한 최적의 유통망으로 평가될 수 있겠으나 결과적으로 이러한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지금은 그 매장 내에서 그랜드 제너레이션을 홍보하는 문구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이온몰의 실패 원인은 시니어를 그들만의 공간으로 몰아 놓은 데 있다. 이후 이온몰은 곳곳에서 자연스럽게 시니어와 젊은 사람들이 어울릴 수 있도록 구성을 바꿨다.최근 트렌드는 시니어 소비자를 자연스럽게 사회와 연결시키고 그들이 배려받아야 하는 대상이 아닌 우리 사회의 평범한 일원이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제 건강하게 나이 든다는 것은 주름이나 백발이 없는 젊은 외모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대적인 감각을 갖고 여전히 삶의 열망과 욕망을 갖는 것으로 재정의되고 있다.
최근 온라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70세 이상의 인플루언서들이 주목받는 것은 그들이 젊은이들과 똑같이 삶에 대한 애착을 보이기 때문이다. 틱톡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국의 94세 인플루언서인 @grandma_droniak(팔로워 1420만 명)은 젊은 인플루언서들이 자주 올리는 ‘Get Ready with Me’ 영상을 남자친구와의 데이트나 장례식 애프터 파티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샌디 할머니와 엘리 할머니가 운영하고 있는 @aroundtheworldat80(팔로워 6만9000명)은 이들이 81세가 된 2023년 초 80일 동안 전 세계 대륙을 여행하면서 찍은 모험을 소재로 한 콘텐츠를 올리고 있다.우리는 나이듦을 마치 모든 인간의 욕망이 끝난 것으로 종종 묘사한다. 지금 우리가 인식해야 하는 나이듦은 육체적, 사회적, 정신적으로 활력은 서서히 감소할지라도 사랑하고, 사랑받고, 교류하고, 성장하려는 가장 인간적인 욕망은 젊은이들의 그것과 비교해 절대 작지 않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기대수명이 아닌 건강수명프로젝트 블루프린트(Project Blueprint)를 이끌고 있는 브라이언 존슨(Bryan Johnson)은 매년 200만 달러를 회춘을 위해 자신에게 투자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약 스타가 됐다. 30대에 이미 억만장자가 된 브라이언 존슨은 스타트업을 운영하면서 노화가 가속화된 자신의 신체 나이를 18세로 되돌리겠다는 목표로 최고의 의료진과 체력관리사들의 도움을 받아 2021년부터 3년째 프로젝트를 계속 이어오고 있다. 매일 아침 5시부터 시작되는 그의 하루는 체중·체질량·체지방·혈당·심박수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는 오전 11시에 마지막 식사를 하며 잠들기 전 2시간 동안은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고글을 쓴 채로 휴식을 취하는 등의 루틴을 하루도 빠지지 않고 지키고 있다. 그 결과 그는 46세의 나이에도 신체 나이는 37세, 피부 나이는 28세, 구강 상태는 17세 수준, 폐활량은 18세 수준으로 젊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의 목표는 자신의 회춘을 넘어 전 인류의 회춘, 즉 역노화를 일상화시키는 데 있다.
역노화에 대한 투자는 실리콘밸리에서 현재 가장 주목받는 혁신 분야다. 오픈AI(OpenAI)의 최고경영자인 샘 올트먼은 2023년 초 캘리포니아의 회춘 비즈니스 스타트업인 레트로바이오사이언스(Retro Biosciences)에 1억8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2021년 제프 베이조스는 캘리포니아의 안티에이징 연구 스타트업인 알토스랩(Altos Labs)에 30억 달러를 투자했다. 이 회사들은 모두 인간 세포를 노화로부터 더 강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은 노화를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라 질병으로 정의하고 인간이 극복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믿고 있다.
이들이 이렇게 역노화에 매달리는 것은 기대수명의 연장이 아닌 건강수명의 연장이 지금 인류 최대의 과제이기 때문이다. [그림 1]를 보면 지난 10년간 대한민국의 기대수명은 2세가량 늘어났지만 건강수명은 큰 변화 없이 답보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결국 우리는 2012년에 비해 2년 더 침대에 누워 무기력하게 생의 마지막을 맞이할 준비를 한다는 사실이다. 건강수명이 늘지 않은 기대수명의 증가는 사회복지 비용의 증가, 의료비 지출 증가 등 여러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시발점이 된다. 바로 이 지점이 글로벌 주요 투자자들이 역노화 프로젝트에 과감하게 투자하고 있는 이유다.
최근 헬스케어 업계에서는 자신의 신체 기관의 노화도를 체크해 볼 수 있는 ‘노화시계(aging Clock)’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의 마이디엔에이지(myDNAge)는 혈액 샘플 분석으로 자신의 나이와 실제 신체 기관의 나이를 비교해 개개인의 신체 상황에 최적화된 맞춤형 식단 및 운동 요법을 설계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국의 노보스랩스(Novos Labs)는 더 젊고 건강한 삶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보이지 않는 노화의 여정을 구체적으로 설계해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추적 관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전 세계적으로 건강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수 클리닉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 최초의 장수 클리닉 중 하나인 ‘치 장수클리닉(CHI Longevity)’은 개인화된 영양 및 운동 계획뿐만 아니라 매달 영양사, 심리학자, 물리치료사 및 간호사와 상담을 통해 총체적인 장수 계획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은퇴 없는 계속 성장영화 ‘인턴’에서는 주인공인 벤이 은퇴 후 다시 시니어 인턴으로 출근하게 되는 전날의 설렘을 생생하게 화면에 그려냈다. 오랜 사회생활 끝에 충분한 부를 쌓고 홀가분하게 남은 삶을 즐겨도 될 법한 벤은 자신의 삶에서 항상 허전함을 느낀다. 벤이 가지고 있었던 ‘사회 구성원으로 유효한 삶’은 지금 대한민국의 수많은 은퇴한 베이비부머가 느끼는 감정이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투자자들에게 보낸 2024년 연례 서한에서 “65세가 적절한 은퇴 연령이라는 기준은 오스만 제국(1299~1922년) 시절 유래했다”며 일하는 60대 이상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실질적 은퇴 연령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노후 기간이 예상 밖으로 길어지면서 베이비부머들이 은퇴를 번복하고 다시 일자리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들이 처음 은퇴 시 계획했던 것보다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고, 또 오래 살게 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증가하는 노년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일자리를 찾는 일은 당연해 보인다. 문제는 이미 은퇴를 위한 충분한 자산을 모아 놓은 사람들조차 스트레스와 압박감이 낮은 파트타임으로 일자리를 바꾸면서 계속 일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이다. 미국의 HR 스타트업 페이첵스(Paychex)에 의하면 미국 은퇴자 6명 중 1명은 다시 직장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13%는 이미 직장으로 다시 돌아가 사회생활을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시니어 인구는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삶을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해 보수와 상관없이 사회적으로 여전히 영향력 있는 일을 하고 싶다는 바람을 갖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여전히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은 베이비부머들에게 있어 소셜미디어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영향력을 쌓을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뉴욕에서 거주하는 62세의 전 마케팅 전문가인 헬렌 폴리스(Helen Polise)는 틱톡 계정인 @The Muthership을 운영하며 110만 명이 넘는 팔로워에게 소셜미디어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팁을 전수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에서 거주하는 59세의 코미디언 리사 페다스(Lisa Pedace)는 짧은 코미디 스케치로 83만 명이 넘는 팔로워를 모았고 아마존(Amazon)과 발렌티노(Valentino)를 포함한 다양한 브랜드 협력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한편 캘리포니아에서 거주하는 62세의 @Gym Tan(팔로워 27만2000명 이상)은 미국 의류 브랜드 DKNY의 사장으로 일하면서 쌓은 패션 노하우를 공유한다.
베이비부머의 은퇴 지연은 한국 사회에서도 매우 의미가 있는 현상이다. 출산율 하락으로 노동생산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지금 그들이 꾸준하게 경제활동을 하고 더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오랫동안 활동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세대가 어울려 함께 팀을 이뤄 작업하는 직장 문화가 자리를 잡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 사회에 만연한 나이를 기준으로 한 연공서열보다는 수평적인 동료 문화를 정착시키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지식, 특히 디지털과 AI 관련 신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사내외 교육 프로그램의 강화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테크로 연결하기다양한 혁신 기술이 삶의 현장에 도입되면서 시니어 인구의 일상생활 편의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도움으로 이제 시니어들은 타인의 도움 없이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게 됐다. 최근 한 실험에 따르면 요양원의 노인들이 2주 동안 최대 18시간 동안 로봇(특히 간단한 대화를 나누고 사람들의 관심사를 학습할 수 있는 로봇)과 상호작용한 결과 정신 건강이 상당히 개선됐고 외로움을 덜 느낀다는 보고서가 발표돼 시니어 인구의 외로움, 고립의 문제를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팬데믹 기간 중에 발생한 급격한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현재 시니어 인구의 86%는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어렵지 않게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친구 및 가족과 연결되기 위해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대부분의 기술이 시니어 사용자들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지 않고 젊은 사용자들의 관점에서 개발된다. 이와 같은 기술 경험은 시니어들이 새로운 기술이나 신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주저하게 만드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시니어들의 디지털 사용을 고려할 때 같은 시니어 간에도 그 격차가 크다는 점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지금 60대 은퇴자들은 최소 10년가량 스마트폰과 각종 디지털 기기를 사용한 경험을 갖고 있지만 80대 시니어는 대부분 은퇴 후에 처음 디지털 기기를 접하게 돼 일부 제한된 기능만을 사용하고 있다. 같은 시니어 그룹 내에서도 격차가 발생해 어느 한 집단을 기준으로 기술을 개발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스마트 기기는 시니어들이 더 오래 자율적으로 살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그들을 돌보는 간병인이 일상 업무를 처리하도록 돕고 있다. 호주의 슬립타이트(Sleeptite)의 스마트 침구 시스템 레미(REMi)은 수면 중 심장 박동수, 산소 수치와 같은 생체 신호를 추적해 간병인을 대신해 의료진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미국의 의료 장비 제조업체 데신(Design)의 로봇팔 오비(Obi)는 이동에 제한이 있는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식사할 수 있도록 돕는데 두 개의 큰 버튼을 통해 쉽게 제어된다. 이스라엘 스타트업이 개발한 엘리큐(ElliQ)는 활동의 제약이 있는 시니어들이 세상과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감정 지능 로봇이다. 아침에 인사할 때 주인이 어떻게 잤는지 묻고, 약을 먹으라고 상기시키는 등 일상생활 속의 소소한 감정적 소통을 통해 고독과 격리로부터 시니어 사용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계 인구는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고 이는 정해진 미래다. WHO의 발표에 의하면 2030년까지 6명 중 1명이 60세 이상이 될 것이다. 이미 고령화로 인해 여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비용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우리가 시니어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우리 사회의 미래가 달려 있다. 고령화라는 정해진 미래를 긍정적이고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