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외부 정보 중 87%를 시각 정보에 의존하며 이 가운데 색은 시각 정보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최고의 비주얼커뮤니케이션 요소다. 브랜드의 색은 정체성, 핵심 전략, 핵심 소비자를 포괄해야 한다. 짙은 색은 신뢰감, 따뜻한 색은 소속감을 브랜드에 불어넣는다. 온라인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디스플레이, 모바일 환경에서 색을 쓰는 전략도 중요해졌다. 온라인 세상은 바탕이 빛나는 흰색이기에 선명한 색을 써야 이용자들의 시선을 끌 수 있다. 그러데이션을 통해 공간감을 주거나 제품을 부각하는 방법도 주효하다.
마케팅 분야에서 세계적인 사상가로 꼽히는 세스 고딘이 자신의 대표 저서 『보랏빛 소가 온다』를 통해 소개해 화제가 된 용어 ‘보랏빛 소’란 압도적으로 ‘눈길을 끄는 독특한 것(remarkable, 리마커블)’을 뜻한다. 아무리 좋은 물건이나 광고도 반복되면 지루하게 느껴지기 마련이다. 이런 시대에 대중의 눈에 들기 위해서는 그냥 좋은 정도가 아니라 압도적으로 독보적인 마케팅을 해야 한다.
초원에 있는 수백 마리 소 중 보라색 소가 있다면 단 한 번만 봐도 잊히지 않을 것이다. 고딘은 여러 색깔 중에서도 개성이 강한 컬러인 보라색을 선택해 자신이 주장하려는 경영 개념을 독자들에게 강력하게 인지시켰다. 만약 고딘이 보라색을 선택하지 않고 빨간빛 소, 파란빛 소라는 이름을 썼다면 어땠을까? 책 제목이 ‘붉은빛 소가 온다’였다면 과연 ‘리마커블’이라는 개념이 독자들의 머릿속에 각인될 수 있었을까? 개념을 이미지로 만들고, 그 이미지에 강력한 색을 입히는 일 자체가 ‘리마커블’이라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을 사로잡는 과정도 이와 유사하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열광하는 사람들을 만들어내고, 그들이 입소문을 내도록 만드는 전략을 써야 한다. 그 비결을 바로 ‘색(Color)의 아름다움’에서 찾을 수 있다.
비주얼커뮤니케이션 시대, 왜 ‘색’일까
하루에도 수만 가지의 정보를 처리하는 인간의 뇌는 선택적으로 어떤 것은 빨리 인지하고, 어떤 것은 느리게 인지한다. 어떤 것은 오래 기억하고, 어떤 것은 금방 잊어버린다. 그렇다면 빨리 인지하되 오래 남는 정보는 어떤 종류일까. 바로 시각 정보다. 인간이 오감을 통해 받아들이는 외부 정보 중 87% 정도가 시각 정보에 해당한다. 시각 정보는 그 어떤 형태의 정보보다 빠르고, 한 번 인식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비주얼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은 바로 이 시각 정보를 활용한 상호 교감을 말한다.
게다가 소비자가 브랜드와 제품을 접하고 받아들이는 공간 역시 점점 더 비주얼커뮤니케이션 위주로 구성되고 있으며 관련 정보의 양도 엄청나게 많아졌다. 인스타그램과 유튜브에서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 사진과 영상으로 전 세계 사람이 소통한다. 고객에게 자기 제품을 알리려는 기업부터 콘텐츠 크리에이터, 소상공인까지 모두가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운영을 고민한다. 경쟁자가 많아지다 보니 콘텐츠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이미지를 어떻게 더 아름답고 인상적으로 만들지에 대한 고민도 점점 커진다. 크리에이터가 어떤 색상의 옷을 반복해서 입고 나오는지, 배경은 무슨 색을 쓰는지에 따라 소비자의 호감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모두가 어렴풋이 느끼고 있다. 이처럼 평범한 사람들도 비주얼 전문가가 돼가는 시대다. 이미지로 소통하는 일이 늘어날수록 어떻게 하면 더 빠르고, 더 눈에 띄고, 더 오래 기억에 남는 아름다운 이미지를 만드는지가 브랜드를 인지시키는 성공 전략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