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로봇 혁신기술 도입사업 오픈식이 열리고 있다. 스마트시티부산 제공
부산에서 미래 도시의 시범 모델인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시는 최근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내 입주 아파트 단지 두 곳에서 ‘로봇 도입 시범사업’을 공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에코델타시티는 세종시 연동면과 더불어 2018년 정부가 국내 첫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선정한 곳이다.
사업 시행을 총괄하는 스마트시티부산(주)은 이날 행사에서 순찰·바리스타·운반·청소 등 4종의 로봇을 공개했다. 시 관계자는 “로봇 통합 관제 플랫폼을 공동주택이 도입해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건 국내에서 처음”이라고 말했다.
‘부산 에코델타 국가시범도시’는 국토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 스마트시티다. 약 2.8㎢ 규모 부지에 상업·업무·주거·문화시설 등을 만들고 첨단 기술을 적용한 미래 도시를 추구한다. 앞으로 15년간 총 5조6000억 원이 투입된다.
앞서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민·관 공동출자 형태의 특수목적법인 스마트시티부산을 설립했다. 공공기관은 한국수자원공사, 부산도시공사가 포함됐고 기업은 LG CNS, 신한은행, 현대건설 등 11곳으로 구성됐다.
이 회사는 향후 5년간 국가시범도시 예정지 내 선도지구를 조성하고 10년간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로봇 혁신 기술을 도입해 다양한 분야의 첨단 서비스 체계를 구축한다. 그 첫 단계로, 이번에 공동주택 중심의 생활밀착형 로봇 서비스 4종을 시범 도입하게 된 것이다.
로봇 서비스는 에코델타시티 내 호반써밋아파트와 수자인아파트에서 내년부터 운영된다. 무상 운영하는 로봇 4종은 커뮤니티센터에서 식음료를 만드는 바리스타 로봇, 단지 내를 자율주행으로 돌면서 화재나 안전사고를 감지하면 관제실과 관리사무소에 통보하는 순찰 로봇, 아파트 내 공용 공간을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청소하는 청소 로봇, 지하 주차장에서 집 앞까지 짐을 나르는 운반 로봇 등이다. 고층 외부 창을 닦는 창문 청소 로봇과 입는 형태로 팔과 허리 근력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로봇은 유상 대여로 이용할 수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국가시범도시 조성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공적 역할을 다하고, 국토부 등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성명 기자 smkang@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인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