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무인지상차량(UGV)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어떤 무기든 사람이 타고 있으면 표적이 됩니다. 최근 방산업계가 무인화에 집중하는 이유입니다.”
10일 경기 성남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판교 연구개발(R&D) 캠퍼스에서 만난 최경석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무인복합센터 기반기술팀장은 최근 방산업계의 R&D 역량이 총동원되고 있는 인공지능(AI)과 무인화 무기 체계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무인지상차량(UGV)이 어떤 작전에서 어떻게 활약했는지, 정비와 충전·급유 환경은 어땠는지 등을 분석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최근 궤도형 무인차량 ‘테미스-K’를 공개했다. 2028년까지 6종류의 무인차를 개발해 ‘군인 없는 전장(戰場)’을 현실에 구현할 계획이다.
● 군인이 사라지는 전장, AI가 온다
LIG넥스원의 무인전투로봇 ‘G-SWORD’
한국이 AI 기반의 무인 무기체계를 구축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올 7월 국군 규모는 작전계획 수행의 ‘마지노선’인 50만 명보다 5만 명 적은 45만 명이었다. 사단급 이상 부대는 59곳에서 42곳으로 줄었다. 다음달에도 육군 제28보병사단이 해체된다. 2040년이 되면 국군 병력이 최소 27만, 많아도 35만 명 수준까지 쪼그라든다.
AI와 무인 무기는 줄어드는 병력을 대신해 적군과 싸울 ‘미래의 군인’이다. 이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서 드론 등 무인 무기의 실전 경쟁력이 입증됐다.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무인 무기에 의해 군인이 희생되는 ‘전장의 민낯’이 그대로 확산되면서 병력 감소 우려가 없는 국가들까지 속속 AI 기반의 무인화 무기 체계를 도입하고 있다. 중국이 올 9월 전승절 열병식 때 AI 기반 4족 보행 로봇개를 분열에 참여시킨 것이 대표적이다.
● AI 기반 무인화 나선 K방산
현대로템의 방산용 다족보행로봇. 현대로템 제공
국군도 AI 무인화 무기 체계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작년부터 일부 부대에 시범 도입된 현대로템의 작전용 다족보행 로봇개에는 AI가 탑재돼 있다. 목적지를 설정하면 스스로 판단해 경로를 찾아간다. 인간의 수신호를 알아보고 포복하거나 전진하는 등 ‘협동’ 기능도 갖췄다. 현재는 정찰 등에 제한적으로 쓰이고 있지만, 성능 개량을 통해 부상병 수색이나 공격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다.
완전 무인화 자주포로 개발 중인 K9A3.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사람이 조종하던 드론은 이제 스스로 적군을 구별한다. 한화가 2028년 목표로 개발 중인 ‘천무 3.0’은 K방산의 대표 수출품인 천무 미사일에 자폭 드론을 결합한 AI 기반 미사일이다. 드론이 80km 가량 미사일에 실려 날아가 분리된 뒤 스스로 적군을 식별해 타격한다. 이 회사는 자주포 K9의 차세대 모델인 ‘K9A3’를 완전 무인화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대한항공의 저피탐 무인편대기 ‘LOWUS’. 대한항공 제공
공군 현대화의 핵심 역시 무인화에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무인기가 시속 200km로 자율비행을 하며 위협을 회피하는 AI 파일럿 기술 ‘카일럿’을 개발 중이다. 자율비행은 물론 전투 결정까지 한다. 대한항공도 스텔스 저피탐 무인편대기(LOWUS)를 개발하고 있다. 무장 장착구에 미사일, 폭탄 등 무기를 넣어 전투용으로 쓰거나 또 다른 소형 무인기를 싣고 목적지에 떨굴 수 있다. 올 연말 초도 비행을 앞두고 있다.
천무 3.0의 운용 개념도.
방산업계에서는 이 같은 AI 무인화 무기 개발을 K방산의 새로운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호성 국립창원대 첨단방위공학과정 교수는 “재래식 무기 중심인 방산수출 구조를 AI 등 첨단무기 중심으로 재편하고 반도체, 엔진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이뤄야 ‘방위산업 4대 강국’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남=최원영 기자 o0@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인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