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정부·기업 구체적 대미투자 내역 공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가진 한미 정상회담에서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25.10.29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미국 백악관은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간 정상회담에서 “한국 기업이 미국에 수백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며 구체적인 투자 내역을 공개했다.
백악관은 29일(현지시간) 공개한 팩트시트에서 “대한항공은 362억 달러 상당의 보잉 항공기 103대를 새로 구매해 13만5000개의 일자리를 지원할 것”이라며 “137억 달러 상당의 별도 거래로 GE에어로스페이스 엔진도 구매할 예정”이라고 했다. 앞서 대한항공은 올 8월 해당 구매 내용이 담긴 업무협약(MOU) 각 기업과 체결한 바 있다.
또 백악관은 한국 공군이 23억 달러 규모의 항공통제기 2차 사업의 파트너로 L3 테크놀로지스를 선정했고 포스코 인터내셔널은 리엘리먼트 테크놀로지스와 미국에 희토류와 영구자석 생산 단지 설립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도 전했다.
한·미 간 핵심 협력 사업인 조선업과 관련해 HD현대가 서버러스 캐피털 매니지먼트와 함께 자국 내 조선업 부흥과 공급망 강화, 자율운항 등과 관련한 50억 달러 규모 투자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삼성중공업도 해군의 선박·유지·보수(MRO) 등 미국 국적 선박 건조와 관련한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백악관 홈페이지 갈무리.
한화오션은 펜실베이니아 필리조선소의 생산 능력을 10배 확대하기 위해 50억 달러 규모 인프라 확충 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 필리조선소는 한화오션이 지난해 6월 인수한 미국 내 조선소다.
한미간 에너지 분야 사업도 추진된다. 한국가스공사는 연간 330만t 규모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하고 한국수력원자력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의 센트러스 에너지와 협력해 오하이오주 파이크턴의 우라늄 농축 생산능력 확대를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LS전선은 2030년까지 미국 전력망 인프라에 3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국빈 방문은 한미의 확고한 동맹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시켜 미국 국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가져다줬다”며 “이번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과 말레이시아 등에 머무는 동안 확보한 역사적인 무역 승리와 인프라 공약을 바탕으로 수십억 달러의 투자와 수천 개의 일자리를 미국에 가져온 결과”라고 강조했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인기 뉴스